Tag Archives: 고려시대

원주 본저전동 철조아미타불좌상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철조아미타불좌상이다.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고려시대 철조불상으로 강원도 원주시 본저전동에서 발견되었다. 고려초기 호족세력 주도로 조성된 철조불상으로 보이며 토석적인 얼굴에서 동시대 불상의 특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원주본저전동 철조아미타불좌상 20230809_01<아미타불(철조아미타불좌상), 고려 , 원주 본저전동>

원주본저전동 철조아미타불좌상 20230809_02<토속적인 면을 보이는 얼굴>

원주본저전동 철조아미타불좌상 20230809_03<옆에서 본 모습>

원주본저전동 철조아미타불좌상 20230809_04<뒤에서 본 모습>

즐거움만 가득한 곳, 극락정토를 주관하는 아미타여래입니다. 두 손을 마주하여 엄지와 검지를 맞댄 상품상생인의 수인을 취하고 있습니다. 강원도 원주 지역에서 출토된 다른 고려시대 철불에 비해 토속적인 얼굴 표현이 도드라집니다. 이 철불은 밀랍주조법으로 주조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목 주변에 분할주조선으로 추정되는 요철이 확인되기도 합니다. (안내문, 국립춘천박물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국립춘천박물관, 2023년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모니불 좌상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2구의 철조 석가모니불 좌상이다. 일제강점기에 원주시 학성동에서 발견되었 다고 한다. 고려초 10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비슷한 양식과 형태의 철불이 남아 있다고 한다. 통일신라에서 고려초에 조성되었던 철조불상의 형태가 잘 반영되어 있다. 항마촉지인을 하고 있는 석가여래를 표현하고 있다.

철조 석가모니불 좌상_원주 학성동 20230809_01<1번째 석가모니불, 고려 10세기, 원주 학성동>

철조 석가모니불 좌상_원주 학성동 20230809_02<얼굴>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모니불 좌상 20230809_03<옆에서 본 모습>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모니불 좌상 20230809_04<뒤에서 본 모습>

이 고려 철불은 1912년 경 원주 학성동 (읍옥평)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 철불과 얼굴과 몸체가 거의 비슷한 철불 한 점이 더 있는 것으로 보아 같은 곳에서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불상의 손모양은 항마촉지인으로, 2천 5백년 전 석가모니가 보리수 아래에서 온갖 번뇌를 물리치고 깨달음을 얻은 그 위대한 순간의 모습을 상징합니다. (안내문, 국립춘천박물관, 2023년)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모니불 좌상 20230809_11<2번째 석가모니불(철조 석가모니불 좌상), 고려 10세기, 원주 학성동>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모니불 좌상 20230809_12<옆에서 본 모습>

원주 학성동  철조석가모니불 좌상 20230809_13<뒤에서 본 모습>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 초기는 중국으로부터 선종을 들여오고 지방 호족들이 각기 세력을 키우던 전환기였습니다. 이러한 때에 철로 만든 불상이 유행하는데, 주로 지방의 선종 사찰에서 모셔졌습니다. 통일신라 말 선종의 지증대사(824~882)가 현계산 안락사 (원주 거돈사)에 금을 입힌 거대한 철불을 모셨던 사실이 문경 봉암사에 있는 그의 비문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안내문, 국립춘천박물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국립춘천박물관, 2023년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靑磁 象嵌梅竹鶴文 梅甁, 보물)”이다. 넓은 아가리에 볼록한 곡선을 이루고 있는 몸통 등 전형적인 고려시대 매병(梅甁)의 형태를 하고 있다. 흑백상감기법으로 앞.뒷면 매와와 대나무를 큼직하게 배치고 그 사이 새와 학, 풀을 표현하고 있다. 붓으로 그린듯한 회화적인 표현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고려시대 12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20230310_02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청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20230310_04<윗부분>

청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20230310_05<그림>

청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20230310_01
<반대편>

청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보물, 1986) 20230310_03<그림>

청자 상감 매화.대나무.학무늬 매병, 고려 12~13세기, 보물
서정적이고 우아한 분위기가 돋보인다. 여유로운 공간 배치와 붓으로 그린 듯 섬세한 상감무니가 뛰어나다. 전라북도 부안 유천리 가마에서 주로 만들어졌다. .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2. ‘보물 청자 상감매죽학문 매병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청자 상감당초문 완(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청자 상감당초문 완 (靑磁 象嵌唐草文 碗, 국보)”이다. 굽부분이 좁고 아가리가 벌어진 형태를 하고 있는데 굽에서 아가리까지 완만한 선을 이루고 있다. 대접 안쪽에는 꽃무늬를 새겼는데 바탕에 백토를 상감하는 역상감기법을 쓰고 있다. 바깥면에는 5곳에 국화를 한송이씩 두고 있다. 경기도 개풍군에서 무덤에서 조성연대(1159년)가 적힌 묘지(墓誌)와 함께 출토된 것으로 연대를 알 수 있는 상감청자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대접은 12세기 중엽 고려청자 상감기법의 발달과정과 수준을 잘 보여주는 작품은 청자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3세기에 만들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청자 상감당초문 (국보) 20230310_01<청자 상감 국화 넝쿨무늬 완(찻그릇), 고려 12~13세기, 전 문공유(?~1159) 묘 출토, 국보>

굽이 좁고 아가리가 벌어진 대접이다. 전체적으로 조형미와 비색의 청자빛깔, 장식 등이 양호한 편이다.

청자 상감당초문 (국보) 20230310_02<옆에서 본 모습>

청자 상감당초문 (국보) 20230310_03<반대 방향>

청자 상감 국화 넝쿨무늬 완(찻그릇), 고려 12~13세기, 전 문공유(?~1159) 묘 출토, 국보
1159년에 사망한 문신 문공유의 무덤에서 묘지와 함께 출토되었다고 전한다. 그동안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상감청자로 알려져 왔다. 최근에는 명종의 지릉이나 원덕태후의 곤릉에서 나온 청자와 비교하여 13세기에 제작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2. ‘국보 청자 상감당초문 완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만들어진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靑磁 象嵌牡丹菊花文 瓜形 甁, 국보)”이다. 고려 인종의 능에서 출토된 것과 비슷한 참외모양을 하고 있는 꽃병이다. 긴목의 아가리가 벌어진 것은 참외꽃 모양이고, 몸통은 참외모양을 하고 있다. 이런 형태의 병은 중국 당나라에서 만들어졌으며, 고려에 전해지면서 한국적인 형태로 바뀌었다. 몸통 중간에는 모란무늬와 국화무늬를 번갈아 가며 1개씩 장식하고 있으며 아래에는 연꽃무늬가 있다. 고려시대 12~13세기에 만들어졌다.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20230310_01
<청자 상감 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 고려 12~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국보>

몸통은 세로 방향으로 골을 내 8부분으로 나누어 참외모양을 하고 있다. 몸통 각 면에는 모란꽃이 표현되어 있다.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20230310_05<몸통 부분>

고려 청자 전성기에 전북 부안에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조형미가 뛰어나지만, 장식이 많아 약간 산만한 느낌을 준다. 장식이 거의 없는 인종의 능에서 출토된 참외모양병(국보)에 비해 약간 떨어지는 느낌이다.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20230310_02
<다른 방향에서 본 모습>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국보) 20230310_03
<반대편 방향>

청자 상감 국화.모란무늬 참외모양 병, 고려 12~13세기, 경기도 개성 출토, 국보
고려 왕실과 귀족은 정원을 만들어 꽃과 나무를 키우고 감상하는 취미를 즐겼다. 왕실과 종교 의례에서도 꽃을 바쳐 정성을 표현했다. 모란과 국화가 상감된 참외모양 병은 꽃을 꽂았던 꽃병으로 여겨진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3년
  2. ‘국보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