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고분

김해 양동리 고분군(사적), 금관가야 지배층 무덤

경남 김해시 주촌면에 있는 양동리 고분군(사적)이다. 가야 고분 중에서 가장 많은 유물이 출토된 곳이다.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에 걸쳐 형성된 고분군으로 500여기의 무덤이 흩어져 있다. 목관묘, 목곽묘, 석곽묘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양동리 마을 뒷산에 오밀조밀하게 모여 있었고, 그 면적은 3만여평 정도이다. 발굴, 조사된 무덤은 무덤양식의 변천과 연대를 규명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출토된 유물은 시기별 가야문화의 특징과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다. 출토유물을 통해 가야가 활발한 해상활동을 통해 교역을 하고 번성했음을 알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김해 양동리 고분군(사적)>

삼한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오랜 세월동안 조성된 무덤들이 모여있다.  옛 사진에는 발굴중인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지금은 일반적인 유적지의 모습으로 바뀌어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 정상부>

김해_양동리_고분군_전경_3
<최근 모습(2021년)>

양동리는 금관가야 중심지였던 김해 도심에서 서쪽으로 약 3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 삼각주에 형성된 김해평야와 산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해상무역에 종사했던 선박들이 정박했던 항구이자 물류거점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해 양동리고분(사적)1<김해 양동리고분군 위성사진>

OLYMPUS DIGITAL CAMERA<양동리 마을>

양동리 고분군에서는 청동거울과 투겁창 등 중국 및 일본계 유물들이 많이 출토되었다. 무덤 주인들은 중국, 일본과의 해상교역으로 부를 축적한 집단으로 추정된다. 대형 목곽묘와 외래계유물, 수정제 구슬 등 화려하고 풍부한 껴묻거리는 금관가야가 본격적으로 성립되기 이전 김해지역에서 활동한 주요 세력이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각종 토기와 다양한 철제 무기, 갑옷과 마구, 철제농기구, 청동제 단검과 거울, 청동제 솥 등이 발굴되었으며, 특히 유리.수정.마노.호박 등으로 만든 각종 장신구가 출토되어 해상교역을 통해서 축적된 경제력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26<김해 양동리 162호 무덤(나무덧널 무덤), 2세기, 동의대학교 박물관>

김해 양동리 162호묘(2세기)
<삼국지> 위서 동이전은 2세기 후반 무렵에 한(韓)과 예(濊)가 중국이 혼란한 틈을 타서 강성해졌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양동리 162호 무덤은 이 시기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나무덧널무덤입니다.(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0년)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06<쇠도끼, 1~3세기, 김해 양동리유적, 국립김해박물관>

여러장의 긴 철판을 연결하고, 고사리 문양을 붙여 만든 갑옷과 투구이다. 갑옷에 고사리 문양이나 새 문양을 붙이는 것은 가락국 갑옷의 특징이다.

중앙박물관특별전-가야무사-20200212_70
<갑옷과 투구, 4세기, 김해 양동리 78호묘, 국립김해박물관>

 청동 투겁창은 일본과의 교류관계를보여주는 유물이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1<청동 꺽창과 투겁창, 2~4세기, 1. 김해 가야의 숲 조성부지내3호묘, 국립김해박물관, 2. 김해 양동리고분, 대성동고분, 국립김해박물관, 대성동고분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2<청동 투겁창, 2~4세기, 2. 김해 양동리고분, 대성동고분, 국립김해박물관, 대성동고분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34<검, 2세기, 1. 김해 양동리 55호묘, 427호묘, 국립김해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35<검, 2세기, 2. 김해 양동리 55호묘, 427호묘, 동의대학교 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미늘쇠, 김해 양동리 무덤, 국립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36<사신격자 무늬 거울, 1세기, 3. 전 김해 양동리, 부산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08<3. 본뜬 거울, 김해 양동리유적, 국립김해박물관, 동의대학교 박물관>

수정 목걸이는 당시 가락국 사람들이 가장 귀하게 여기던 구슬이다. 양동리고분군에서는 다량의 목걸이가 출토되었는데 그중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보물), 322호분 출토목걸이(보물)가 가장 화려하면서 세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63
<수정 목걸이, 3세기 1. 김해 양동리 270호묘, 국립김해박물관, 보>

김해_양동리_322호분_출토_목걸이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보물)>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64
<목걸이, 2~3세기, 2. 김해 양동리유적, 국립김해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65
<목걸이, 2~3세기, 김해 양동리유적, 국립김해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66
<목걸이, 2~3세기, 김해 양동리유적, 국립김해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목걸이, 2~4세기, 김해 양동리유적, 국립김해박물관>

청동세발솥은 입술부분에 글자가 적혀 있다. 제작 시기는 1세기로 추정되는데 양동리고분군의 조성시기를 밝혀주는 중요한 유물이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37<1. 청동 세발솥, 3세기, 김해 양동리 322호묘, 국립김해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38<1. 쇠솥, 2~3세기, 김해 양동리 318호묘, 국립김해박물관>

가야 사람들이 말을 타고 다니던 흔적은 토기의 그림뿐 아니라 실제 사용한 말갖춤으로도 확인이 되고 있다. 후기 가야유적에서는 말갖춤과 관련된 많은 유적들이 출토되고 있다.

중앙박물관특별전-가야본성20200212_16<3. 말탄 사람을 새긴 단지, 3~5세기, 김해 양동리 195호묘, 동의대학교 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굽다리접시, 3.경남 김해 양동리, 1996년 발굴, 삼국시대(가야) 4세기>

OLYMPUS DIGITAL CAMERA<12.굽다리접시, 경남 김해 양동리(1990년 발굴)>

김해 양동리 고분군, 사적, 경남 김해시 주촌면 양동리
양동리 가곡부락 뒷산(해발 90m)에 위치한 이 고분군은 삼한~삼국 시대의 무덤 유적으로, 유적의 전체면적은 3만여 평 정도이다. 이 유적은 1969년에 이곳에서 우연히 출토된 유물로 인해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하였으며, 정식 발굴 조사는 문화재 연구소(1984년)와 동의대학교 박물관(1990~1996년)에 의해 이루어졌다. 여러 차례의 조사결과, 이곳에서는 모두 550여기의 무덤이 확인되었고, 5천여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곳의 무덤들은 좁은 범위 안에 매우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었는데, 오랜 기간동안 무덤이 만들어지면서 서로 겹쳐지는 것들도 많았다. 조사된 무덤의 종류는 나무널무덤, 나무곽무덤, 구덩식 들곽무덤, 독무덤, 유사 돌무지덧널무덤 등으로, 이들 무덤은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 후 5세기까지 순차적으로 만들어졌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 유적에서는 각종 토기와 다양한 철제 무기, 갑옷과 마구, 철제 농기구와 공구, 청동제 단검과 거울, 청동제 솥, 통형동기, 유리.수정.마노.호박 등으로 만든 각종 장신구 등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들 유물 중에는 중국이나 낙랑, 일본 등 외국과의 교류나 교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들도 많다. 이 고분군은 낙동강 하류의 여러 가야 고분 중에서도 특히 가야의 묘제나 유물의 변천상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따라서 가야 문물의 진수를 잘 보여줄 뿐 아니라, 가야사회의 성장과정이나 국가적 성격까지도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안내문, 김해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김해시청, 2011년
  2. 안내문, 김해박물관, 2012년
  3.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4.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0년
  5.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창원 다호리 고분군(사적), 삼한시대 지방유력 세력 무덤

경남 창원시 의창구 동읍 다호리에 있는 다호리 고분군(사적)이다. 삼한시대 고대국가 형성기에 낙동강 습지와 그 주변에 만들어진 무덤, 생활공간 등으로 이루어진 복합유적이다. 가야초기 널무덤 70여기와 삼국시대 돌덧널무덤, 돌방무덤 등이 발굴조사되었다. 출토유물로는 청동검, 청동거울, 오수전, 철검, 손칼, 쇠도끼, 쇠갑옷 등 철기제품과 칼집, 활, 화살, 붓, 부채 등 칠기제품, 그리고 민무늬 토기, 와질 도티 등이 있다. 청동거울과 오수전 같은 유물이 출토되어 기원전 1세기에서 1세가 후반 사이 유적임을 알려주고 있다. 통나무를 파서 만든 목널은 다른 지역과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으며, 문자생활의 증거인 붓과 현악기 등이 나왔으며, 청동거울과 오수전을 통해 중국, 낙랑과 활발한 교역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창원 다호리고분군(사적)>

창원 다호리고분<다호리고분군 유적 분포>

다호리 1호 무덤은 통나무를 반으로 쪼개고 속을 파낸 통나무널이다. 널아래에 구덩이를 파고 청동검, 철검, 쇠도끼, 중국거울, 붓 등이 남겨진 대나무 바구니를 묻었다. 이 지역에서 처음 확인된 무덤 형태로 삼한시대 해상교역을 통해 번성했던 이 지역 지배계층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OLYMPUS DIGITAL CAMERA<1호 무덤이 발견된 지역(도로 건너편)>

다호리 널무덤이 발견된 곳은 다른 지역 가야 고분과 달리 실제로 눈으로 보이는 봉분은 없다. 늪지가 논으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거의 없고 논이었다가 유적이 발굴된 지역임을 알려주는 안내표지판이 있다. 늪지에 있어 유물이 훼손되지 않아 무덤의 구조는 물론 유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 유적지 조망장소>

OLYMPUS DIGITAL CAMERA <창원 다호리 1호 무덤(나무널 무덤), 기원전 1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61
<한국식 동검>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62
<청동투겁창>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6<쇠도끼>

쇠도끼는 당시 철이 많이 생산되었던 변한지역에서 교역을 위한 화폐대용으로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7<쇠도끼>

붓은 나무판에 글을 쓰고, 칼은 나무를 깎아 지우는 용도로 사용했다. 문자를 사용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8<손칼과 붓>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9<붓글씨 재현품>

청동거울과 칠기 등의 유물들은 중국 한나라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들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낙랑을 통해 중국과 교류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20<청동 허리띠 부속구>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21<청동거울(성운문경)과 청동방울>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는 토기, 칠기, 목기, 대나무 등 여러 재질의 유물에 칠을 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칠기법은 같은 시기 낙랑이나 중국의 그것과 달라 독자적인 칠문화가 이미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22<칠그릇>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24<칠부채>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23<유리구슬>

중국 동전은 교류를 위해 바닷길을 오가던 이들이 남긴 중요한 유물로 이 무덤이 기원전 1세기에서 기원후 1세기 경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중앙박물관특별전-금관가야-20200212_10<1. 오수전>

이 청동고리는 각각의 무게가 5.25g, 10.25g, 11.55g, 22.73g이다.  무게의 배율이 1:2의 비율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팔저울의 추로 사용하였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청동고리>

유력개인의 등장
주남저수지에 인접한 다호리 유적은 평지에서부터 구릉 정상부까지 목관묘, 옹관묘, 목곽묘, 석곽묘 등 다양한 무덤이 분포한다. 목관묘는 통나무를 반으로 쪼개고 속을 파서 만든 통나무관과 판재를 조립하여 만든 관이 있다. 통나무관은 1호 무덤에서 실물이 나왔다. 1호무덤은 통나무관 아래에 껴묻거리 구덩이가 있었고, 여기서 청동검, 쇠칼, 여러가지 형태의 쇠도끼, 중국거울, 동전 등 금속기류와 붓, 부채, 검집, 화살통 등 칠기류가 나왔다. 청동과 쇠로 만든 검은 그 형태가 비슷하다. 이것은 청동기에서 철기로 바뀌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붓은 2,000년 전 우리나라에서 문자를 사용하였음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중국거울과 동전은 당시 중국과 교역하였음을 알려준다. 이런 유물을 소유한 무덤 주인은 당시 교역을 통해 부를 축적하고, 부를 통해 권력을 지녔던 사람으로 보인다. 따라서 다호리 유적은 삼국이 형성되기 전에 집단 내에서 개인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안내문, 김해박물관, 2012년)

OLYMPUS DIGITAL CAMERA<여러기의 널무덤이 출토된 지역>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 유적지>

창원 다호리는 낙동강 하류 습지인 주암저수지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 이북 밀양과 비화가야가 있었던 창녕, 금관가야 중심지 김해와 항구가 있는 마산과 육로와 낙동강 수로를 통해서 연결되는 교통의 요지이다. 습지에 위치하고 있었기때문에 적으로부터 방어가 용이하고 배를 이용한 낙동강 수운을 쉽게 이용할 수 있었기때문에 무역거점으로 발전한 것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 옆 습지>

OLYMPUS DIGITAL CAMERA<인근 주남저수지>

창원 다호리집단의 성장
가야가 건국되기 전인 기원전 2세기 경, 남해안에서 가장 눈에 띠는 교역항은 사천 늑도 유적입니다. 이곳에서는 일본 야오이 시대의 토기를 비롯해 낙랑토기와 한문화, 중국 동북 지역의 토기 등 다양한 문화가 확인됩니다. 한편 내륙지역에서는 창원 다호리 집단이 두각을 드러내어 변한의 중심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창원 다호리 유적은 현재까지 100기 이상의 널무덤이 조사되었으며, 중국 한대의 청동거울과 동전, 철기, 칠기, 왜계토기 등 국제적인 유물을 확인하였습니다. 하지만 2세기 이후에는 아무것도 확인되지 않고 있어, 이후 이 집단이 어떻게 되었는지 미궁에 빠져 있습니다.(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0년)

유적지에서 출토된 집모양토기를 통해 습지에서 살았던 다호리 사람들의 생활모습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집은 구덩이를 파서 만든 움집과 다락집이 있는데  움집은 보통사람들의 살림집으로, 다락집은 창고 또는 지배자의 거처로 추정된다. 다락집은 높은 기둥을 세워 만드는데 이것은 짐승과 습기로부터 곡물을 보호하거나 지배자의 권위를 과시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한나라 유물에서도 비슷한 유물들의 출토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집모양 토기(복원품)>

OLYMPUS DIGITAL CAMERA<창원 다호리 마을>

OLYMPUS DIGITAL CAMERA<다호리마을 유물전시관>

OLYMPUS DIGITAL CAMERA<다호리 마을>

기원전 1세기경 민무늬토기의 제작전통에 새로운 토기제작기술이 더해져 와질토기라는 독창적인 토기가 만들어진다. 새로운 토기 제작기술로는 회전판, 굴가마, 환원염소성, 타날 등이 있다. 와질토기로 밀폐된 굴가마에서 구워 회색을 띤다. 형태는 민무늬토기에서 변화된 것이 많으나 점차 굽다리가 붙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화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와질토기>

OLYMPUS DIGITAL CAMERA<주머니호>

OLYMPUS DIGITAL CAMERA<주머니호, 항아리>

OLYMPUS DIGITAL CAMERA<손잡이바리, 주머니호>

OLYMPUS DIGITAL CAMERA<야요이 토기>

의창 다호리고분군(사적 237호), 창원시 동읍 다호리
선사시대부터 가야시대까지의 수많은 고분군이 밀집되어 있는 유적이다. 1988년 3월 국립중앙박물관의 발굴조사를 통해 널과 함께, 칠기, 청동기, 철기의 생활용품과 무기류들이 출토되어 기원전 1세기 삼한시대의 역사와 문화를 밝혀 주었다. 이 유적에서 목재를 비롯한 여러 유물들이 거의 원형대로 남아 있었던 것은 수분이 많은 지형적 특징때문이었다. 철새도리지로 유명한 주남저수지 같은 많은 습지는 이러한 지형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칠기는 낙랑과의 교류를 다시 증명해 주었으며, 청동기와 철기는 이 지역의 가야사를 되살리고, 기원전.후부터 이 지역에서 고대국가가 형성되기 시작했음을 보여 주고 있다. (안내문, 창원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창원시청, 2011년
  2.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0년
  3. 안내문, 김해박물관, 2012년
  4.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5.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가야시대 지방세력 무덤들

부산시 동래구 복천동 일대에 있는 복천동 고분군(사적)이다. 동래읍성 북문 안쪽 구릉에 위치하고 가야시대 무덤들이다. 1969년 주택공사 중 우연히 무덤이 확인되어 여러차례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200여기의 무덤이 확인되었다. 무덤의 형태는 땅을 파서 방을 만들고 나무관을 넣은 덧널무덤, 땅속에 돌로 벽을 쌓고 천장을 덮어 만든 구덩이식 돌방무덤, 땅속에 시신을 바로 묻는 널무덤 등 여러 시기에 걸친 다양한 형식의 무덤들이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로는 4~5세기 낙동강 하류지역의 특징을 보여주는 토기들, 철제갑옷과 투구류 등 다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구한말까지 부산지역의 중심지였던 동래지역이 고대 이래로 지역의 중심지였음을 잘 보여주는 유적이다. 유적지 뒷편에는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볼 수 있는 복천박물관이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1-20211125<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3-20211125<복천동 고분군(아래쪽)>

무덤들은 2세기부터 7세기까지 구름 남쪽에서 북쪽으로 옮겨가며 만들어졌다. 1969년부터 2008년까지 8차에 걸쳐서 발굴,조사되었는데 191기의 무덤과 토기, 철기 등 12,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복천동 고분군 무덤 배치도>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9-20211125<복천동 고분군 입구>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0-20211125<무덤들이 있는 능선으로 들어가는 길>

복척동 고분군 능선 중앙에 위치한 전시관을 기준으로 위쪽에 위치한 무덤들이 먼저 발굴, 조사되었다. 1969년 처음 발견된 1호 무덤을 비롯하여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이 출토된 7호분, 금동관(보물)이 출토된 10, 11호분, 청동칠두령이 출토된 21, 22호분, 많은 양의 철제갑옷(보물)이 출토된 38호 분 등이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1-20211125<전시관 위쪽 능선에 있는 무덤들(1~40호분)>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4-20211125<전시관 위쪽 능선에 있는 무덤들(1~40호분)>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41-20211125<전시관 위쪽 능선에 있는 무덤들(1~40호분)>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1-20211125<금동관, 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2-20211125<금동관, 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81-20211125<말띠드리개, 5세기, 36호,15호, 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73-20211125<신발모양토기, 5세기, 3호, 5호 무덤>

OLYMPUS DIGITAL CAMERA<갑옷, 삼국, 부산 복천동 4호분>

7호 무덤에서 출토된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은 쇠뿔모양의 뿔잔(각배)를 대표하는 유물로 말 머리가 달린 뿔모양 잔이다. 2점이 출토되었는데 큰 것은 높이 14.4cm, 길이 17cm, 작은 것은 높이 12.1cm, 길이 17cm로 형태와 제작수법이 거의 동일한다. 각배는 낙동강 유역의 가야와 신라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며 남성적이고 신성한 말에 대한 신앙을 엿볼 수 있다. 이런 각배는 다양한 형태의 유물로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

이 금동관은 다른 지역에서 출토된 금동관에 비해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다. ‘出’자 모양을 하고 있는 신라 금관과는 달리 나뭇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판재를 잘라서 모양을 만들고 정으로 두드려 문양을 만드는 단순한 제작기법으로 만들어졌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5-20200212
<금동관, 보물, 10.11호 무덤,>

11호 무덤은 토기와 장식대도 등에서 신라적인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다. 금동관은 신라에서 제작했다는 견해와 가야에서 제작했다는 견해가 모두 있다. 또한 당시 부산 지역은 대체적으로 5세기 이후 신라의 영향이 크게 미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78-20211125<고리자루 칼, 5세기 11호 무덤>

복천동고분군에서는 4세기부터 대형무덤을 중심으로 말갖춤새의 모든 종류가 출토되고 있다. 5세기 중엽 이후부터는 신라의 영향으로 장식적인 금동제품들이 출토되고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79-20211125<가야 무사, 출토유물 형태로 복원한 모습>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6-20211125<투구, 5세기, 1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7-20211125<목가리개, 5세기, 1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2-20211125<갑옷, 5세기 10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9-20211125<팔뚝가리개, 5세기, 1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82-20211125<말안장, 5세기, 10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83-20211125<발걸이, 5세기, 10호, 22호, 2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84-20211125 <재갈, 5세기, 10호, 69호, 111호 무덤>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는 11호분에서 출토되었다. 가야시대 토기로 깨지거나 훼손된 부분이 없어 보전상태가 양호하다. 그릇받침 가운데에는 거북모양 토우 한마리가 붙어 있는데 삼국시대 토기 중 거의 유일한 사례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부산 복천동 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 보물, 김해박물관 소장>

복천동 구릉 정상부에 위치한 21.22호분은 돌덧널무덤으로 무덤의 규모나 부장품의 수량이 다른 무덤에 비해 상당히 많다. 청동제 칠두령(보물)을 비롯하여 고리자루큰칼, 철모, 목가리개, 말갖춤 등 많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5세기 전반 부산 동래지역 최고 지배자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9-20211125<21호, 22호 무덤 내부(모형)>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6-20200212<청동 칠두령, 보물, 5세기, 22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5-20211125<투구, 5세기, 2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8-20211125<목가리개, 5세기, 2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0-20211125<허리가리개, 5세기, 21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3-20211125<화살통, 22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43-20211125<복숭아모양 토기, 22호, 134호 무덤>

복천동 21.22호분
복천동 고분 구릉의 남쪽 정상부에 위치하는 21.22호분은 딸린덧널이 있는 돌덧널무덤으로, 복천동고분군 중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을 뿐 아니라 규모나 부장품의 양이 다른 분묘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으뜸덧널은 길이 680cm, 너비 640cm, 깊이 290cm의 네모난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475x160x160cm 가량의 석곽을 쌓아 4매의 뚜껑돌로 덮고 밀폐한 구조이다. 무덤구덩이와 석곽 사이를 흙과 활석으로 채워 보강해 나가면서 네 벽을 동시에 쌓아 올렸고, 바닥에 조그마한 깬돌을 깔고 가운데 부분에 나무로 만든 덧널을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인공이 있었던 자리에는 20매의 대형 덩이쇠와 함께 3점의 고리자루큰칼, 목걸이, 귀걸이, 청동제 칠두령과 토기, 철모, 곡도자 등이 출토되었다. 무덤의 남쪽에서는 굽다리접시, 항아리받침대, 복숭아모양토기 등 각종 토기류, 호록금구, 철촉군, 마구류, 목가리개, 전복, 명주개량조개 등이, 북쪽에서는 각종 토기류와 함께 철촉군, 도끼,낫, 보습 등의 농공구류 등이 출토되었다. 또 주인공 발치 아래에서 순장된 3명의 인골이 확인되었다. 딸린덧널은 으뜸덧널에서 약 50cm 가량 북쪽에 만들어졌으며, 길이 630cm, 폭 420cm, 깊이 270cm 가량의 큰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나무로 만든 곽을 설치한 구조이다. 북쪽에서는 대형의 발형 그릇받침과 밑이 둥근 항아리, 굽다리접시 등 토기류가 남쪽에서는 낫, 창, 손칼 등 철기류, 동쪽에서는 철제 투구와 목가리개, 허리갑옷 등이 출토되었다. 복천동 21.22호분은 다량으로 출토된 부장풍과 그 성격으로 볼 때, 5세기 전반 무렵 동래를 중심으로 한 이 지역 최고 지배자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중요한 무덤이다. (안내문, 복천박물관, 2021년)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75-20211125<귀때토기, 5세기, 34호 무덤>

38호 무덤은 복천동고분군 중 최초의 딸린덧널이 있는 무덤이자 바닥을 갖추고 순장의 흔적이 확인된 무덤이다. 철로 만든 판갑옷, 비늘갑옷, 투구 등 가장 이른 시기의 철제 갑옷이 발견되었다. 무덤의 구조나 출토유물로 볼 때 새로운 요소들이 등장하는 전환기 무덤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68-20211125<38호 무덤 내부(모형)>

부산 복천동 38호분 철제갑옷은 가야 초기인 4세기에 만들어진 철제 갑옷이다. 투구, 목가리개, 갑옷으로 구성되어 있다. 갑옷을 구성하고 있는 철판들을 두드려 얇게 만들었으며 철판들을 가죽끈으로 연결하였다. 철제갑옷 구성품이 온전이 남아 있으며 철제품임에도 보존상태가 양호하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1-20211125<복천동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보물>

철제갑옷 일괄은 복천동고분군 제5차 발굴조사(1993~1995년)시 복천동 38호분의 으뜸덧널에서 출토되었다. 판갑옷은 세로로 긴 철판을 가죽끈으로 연결하였고, 목가리개 역시 긴 철판을 연결한 형태이며 가죽끈 흔적으로 보아 판갑옷에 연결되어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투구는 ‘S’자형으로 긴 철판 20매를 엮어 만들었으며 그 위에 작은 복발을 얹었다. 아랫부분에는 각각 2매의 철판을 엮어 볼가리개를 만들었다. 갑옷의 몸통 앞쪽에는 보수를 위해 작은 철판을 덧댄 흔적이 있어 판갑옷이 실전용 갑옷이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복천동 38호 갑옷은 일괄로 확인되어 삼국시대 갑옷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데 기준이 된다. 또한 철제 방어구의 가장 빠른 사례이며, 지금까지 발견된 판갑 중 가장 가깝게 복원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가야의 뛰어난 금속제련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201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안내문, 복천박물관, 2021년)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80-20211125<통형동기, 5세기, 38호, 60호 무덤>

복천동 38호분
복천동 38호분은 고분의 남쪽 구릉에 위치하는 부곽이 있는 대형 덧널무덤으로 복천동고분군에서 묘광의 길이가 가장 길다. 봉분의 규모는 자세하지 않으나 토층상태로 보아 덧널 위에 점토와 모래, 파낸 흙을 얇게 깔아 층층이 쌓아 올렸음을 알 수 있다. 으뜸덧널은 길이 750cm, 너비 150cm 정도 크기의 구덩이를 파고 그 안에 두께 10cm 가량의 나무판 수십매를 사용하여 535x250cm의 목곽을 만든 구조이다. 또 긴 벽을 따라 너비가 25cm 가량 되는 사각기둥을 세워 목곽을 튼튼하게 보강하였다. 곽과 구덩이 사이의 공간은 모래가 섞인 흙과 점토를 번갈아 가면서 채웠다. 무덤 바닥에는 점년에 크고 작은 깬돌을 깔고 길이방향으로 큰 돌을 놓아 단면 형태가 凹자형이다. 돌을 놓은 가운데 부분에는 멍석을 깔고 400점 가량의 화살촉을 나란히 엮어 5열로 깔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서북쪽 모서리에 돌이 깔리지 않은 공간에는 순장자가 묻혔던 것으로 추정된다. 복천동 38호분은 복천동고분군 최초의 딸린덧널무덤이자 영남지역에서 최초로 바닥시설을 갖추고 순장의 흔적이 확인된 무덤이다. 또 가죽이나 나무가 아니 철로 만든 판갑옷, 비늘갑옷, 투구 등 가장 이른 시기의 철제 방어용 무구를 갖추고 있다. 뿌리가 없는 화살촉과 함께 단면 삼각형의 화살촉이, 단면 마름모꼴의 짧은 창과 함께 고사리장식이 달린 긴 창 등, 이 고분에는 구식무기와 신식 무기가 함께 부장되었다. 즉 당시로서는 최첨단 무기를 부장하고 있는 것이다. 복천동 38호분은 무덤 구조와 출토유물로 볼 때 과거의 요소가 사라지고 새로운 요소들이 등장하는 전환기에 만들어진 무덤으로 부산지역의 고대사를 해명하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안내문, 복천동박물관, 2021년)

무덤들이 있는 능선 중앙 53, 54호분 무덤 자리에는 전시관을 설치하여 무덤 내부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하고 있다. 전시관 아래는 43~51호 무덤이 확인되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2-20211125<무덤 내부를 볼 수 있는 전시관>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74-20211125<특이한 모양의 항아리 받침대, 5세기, 53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77-20211125<등잔모양토기,5세기, 53호 무덤>

능선 아래쪽은 대부분 1990년대 이후에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는데 총 28기의 묘가 추가 확인되었다. 정상부에 있는 무덤들은 부곽이 대형묘가, 옆쪽으로는작은 규모의 무덤들이 배치되어 있다. 무덤이 주요 지점에는 화양목을 심어 그 위치를 표시해 놓고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8-20211125<전시관 아래 43 ~ 51호 무덤 무덤이 확인된 자리>

아래쪽으로 73호, 69호, 71호, 78호 무덤 등이 표시되어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7-20211125<아래쪽에 있는 무덤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42-20211125<아래쪽에 있는 무덤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8-20211125<능선 아래 탐방로(동쪽)>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21-20211125<아래쪽 끝부분, 83호, 84호 무덤이 확인된 자리>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7-20211125<56호, 57호, 64호, 65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2-20211125<능선 아래 탐방로(서쪽)>

OLYMPUS DIGITAL CAMERA
<갑옷, 삼국, 부산 복천동 57호B>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4-20211125<투구, 5세기, 93호 무덤>

부산 복천동 고분군 (사적)_53-20211125<판갑, 5세기, 112호 무덤>

OLYMPUS DIGITAL CAMERA
<갑옷, 삼국, 부산 복천동 164호분>

복천동 고분군은 옛 동래읍의 주산인 마안선 능선에 자리잡고 있다. 이 지역은 조선시대 동래부 읍치가 있던곳으로 동래읍성이 고분군을 둘러싸고 있다. 고대 이래로 지역의 중심지였으며 부산항에서 울산을 거쳐 경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를 지키는 거점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5-20211125<능선 뒷편으로 보이는 동래읍성>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6-20211125<동래읍성 북문 부근에서 내려다 보이는 모습>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04-20211125<동래읍성 북장대에서 내려다 보이는 복천동 고분군과 동래부 읍치>

1996년 부산시립박물관 복천분관이 개관되어 이곳에서 출토된 주요 유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부산 복천동 고분군(사적) 16-20211125<복천박물관>

부산 복천동 고분군
부산 복천동 고분군은 옛 동래읍의 주산인 마안산에서 서남쪽으로 뻗어내린 낮은 구릉 위에 있다. 6.25 전쟁 이후 복천동 고분군이 위치한 구릉에는 판잣집이 빼곡이 들어서 있었는데 1969년 주택 개량공사 중 우연히 무덤이 확인되어 긴급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후 수차례의 수습 및 시굴조사와 8차에 걸친 발굴 조사를 실시하여 2세기 전반부터 7세기 초에 해당하는 200여 기의 무덤을 확인하였다. 구릉의 정상부에는 주로 4~5세기에 속하는 딸린덧널을 갖춘 대형의 덧널무덤과 구덩식 돌덧널무덤이 있다. 출토된 유물은 토기류, 철기류, 장신구류 등 10,000여 점에 이르며 철제 유물이 많다. 특히, 단일 유적으로는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수량의 철제 갑옷이 출토되어 가야의 우수한 철기 문화를 잘 보여준다. 주요 유물로는 복천동 7호분 출토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보물), 10.11호분 출토 금동관(보물), 21.22호분 출토 청동칠두령(보물), 38호분 출토 철제갑옷 일괄(보물), 10.11호분 출토 도기 거북장식 원통형 기대 및 단경호(보물) 등이 있다. (안내문, 부산시청, 2021년)

<출처>

  1. 안내문, 부산시청, 2021년
  2. 안내문, 부산 복천박물관, 2021년
  3.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7년, 2020년
  4.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6. 위키백과, 2022년

경주 대릉원(사적) 금령총

경북 경주시 노동동에 있는 경주 대릉원 127호 무덤인 금령총(金鈴塚)이다.  1924년 일본인 우메하라가 발굴 조사 하였다. 무덤은 바닥에 돌을 깔고 그 위에 널을 만들고 돌과 흙을 쌓아서 봉분을 만든 돌무지덧널무덤이다. 신라 황금문화의 전성기였던 마립간 시기 중 후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며, 많은 껴묻거리들이 출토되었다. 발굴,조사 이전에 봉분은 크게 훼손되었으며 바닥지름 18 m, 높이 4.5 m 규모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껴묻거리 중에 금제 방울이 있어 ‘금령총’이라 불린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대릉원(사적) 금령총>

OLYMPUS DIGITAL CAMERA<동남쪽에서 본 모습>

이 무덤에 묻힌 사람은 신라의 왕자로 추정되고 있으며, 무덤의 주인공을 묘사한 도제기마인물상에서는 사후 세계로 떠나는 쓸쓸한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다. 출토 유물로는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국보), 금관(보물), 금제방울, 유리잔 등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금령총(金鈴塚) 방울, 금>

금령총 금관(보물)은 과 신라 금관 중에서 가장 작고 간단한 형식을 하고 있다. 가운데에 ‘山’자모영이 4단으로 연결된 세움장식이 있고 양쪽에 사슴뿔 모양 장식이 달려 있다. 관테와 가지에는 나뭇잎모양의 원판을 달아 장식했다. 관테 좌우에는 귀고리 형태의 드리개로 장식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금령총 금관(보물)>

OLYMPUS DIGITAL CAMERA<금제 허리띠>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明器, 국보)는 말을 타고 먼 여행을 떠나는 주인과 하인을 모습을 하고 있는데 죽은이의 영혼이 저세상으로 떠나는 모습을 잘 표현하고 이다. 두꺼운 사각형 판위에 말을 타고 있는 모습인데 엉덩이 위에 등잔이 있고, 앞 가슴에는 물을 따를 수 있는 긴 대롱이 있고 속은 비어 있다. 신라사람들을 사후세계관, 복식, 말갖춤 등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사람의 표정 등이 잘 표현되어 있다.

국보91호01-20200212 <말탄사람토기(주인), 국보, 삼국시대(신라) 6세기, 경주 금령총>

국보91호03-20200212 <말탄사람 토기(하인), 국보, 삼국시대(신라) 6세기, 경주 금령총>

금령총에서는 등잔과 배모양 토기도 같이 출토되었다.  배는 영혼을 이승에서 저승으로 옮기는 수단으로 여겼다.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저승으로 나오는 5개의 강에 있는 배와 뱃사공 카론을 묘사한 것으로 보이며, 중앙아시아 지역과의 교류 등을 통해 비슷한 내세관을 가지고 있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통해 서역의 사후관에 영향을 받은 유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배모양 토기>

OLYMPUS DIGITAL CAMERA<등잔>

OLYMPUS DIGITAL CAMERA<잔>

OLYMPUS DIGITAL CAMERA<유리잔>

OLYMPUS DIGITAL CAMERA<부리달린 단지>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대릉원(사적) 노동동 고분군>

경주-대릉원-호우총-09-20220129 <경주 노동동, 노서동 고분군 주요 무덤들>

<출처>

  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3.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경주 대릉원(사적) 금관총, 일제강점기 신라 금관이 처음 발견된 곳

경북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경주 대릉원 128호 무덤인 금관총(金冠塚)이다. 1921년 경주 도심에서 주택공사를 하던 중 금관이 우연히 발견되어 신라고분의 존재를 알렸던 곳이다. 금관총은 돌무지덧널무덤으로 길이 48 m, 높이 13 m 규모로 대릉원 고분 중 중간 정도이다.  금관 및 금제관식(국보)과 금제 허리띠(국보)를 귀걸이.팔찌 등 장신구와 토기류 등 다양한 종류의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 2015년에는 금관총에 대한 발굴조사가 다시 실시되어 ‘이사지왕도(尒斯智王刀)’라는 명문이 새겨진 칼집 끝 장식을 비롯한 새로운 부장품이 발견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대릉원 금관총>

금관총은 일제강점기 발굴 당시부터 주택 등으로 사용되었던 곳으로 봉분은 원형이 파괴되어 있었다. 지금도 관심을 가지고 보지 않으면 금관총임을 인식하기는 쉽지 않고 단순한 공원 조경으로 보인다. 현재는 봉분의 일부만 남은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모습>

금관총은 내부에 목곽을 만들고 그 안에 시신을 넣은 목관을 안치 했다. 목관은 옻칠을 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목관 주위에는 덩이쇠가 열을 지어 있 큰칼 등의 무기가, 안쪽에는 신발이 놓여 있었다고 한다. 내부에는 많은 유무들이 출토되었는데 머리에는 금관을 쓰고, 목걸이, 금제 허리띠, 팔찌, 금반지 등으로 치장했다. 일제강점기에 일제가 작성한 조사보고서에 그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금관총 목관 내 출토된 유물>

OLYMPUS DIGITAL CAMERA<금관총 목관(棺) 내 유물 배치>

OLYMPUS DIGITAL CAMERA<일제강점기에서 작성된 보고서 자료>

금관총 금관은 신라 금관 중 가장 먼저 발견된 유물이다. 가운데에 ‘出’자(또는 나뭇가지 모양)과 양쪽에 사슴뿔모양의 장식이 있는 전형적인 신라금관이다. 장식의 앞면에는 133개의 달개와 57개의 곱은옥이 달려 있다. 세움 장식의 가장자리에는 한 주의 연속 점무늬, 관테에는 파도무늬가 새겨져 있다. 사슴뿔과 나무가지를 형상화한 시베리아 샤먼의 관과 비슷한 형상을 하고 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금관총 금관(국보)>

가슴걸이는 금관과 같이 출토되고 있는데 구슬로 가슴부분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가슴걸이>

금관총 금제 허리띠(국보)는 금관과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고 있는 유물이다. 원래 천이나 가죽에 덧대었던 것인데 금속제 장식만 남아 있으며, 드리개는 허리띠에 늘어뜨린 장식품을 말한다. 허리띠는 길이 109 cm로 39개의 순금제 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드리개는 17개로 옥(玉)같은 장식품과 칼, 향낭, 물고기 등을 표현하고 있다. 드리개는 유목민들이 이동할 때 허리띠에 매고 다녔던 생활도구들을 표현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금관총 금제 허리띠(국보)>

OLYMPUS DIGITAL CAMERA<굵은고리 귀걸이, 금>

OLYMPUS DIGITAL CAMERA<팔찌, 금>

OLYMPUS DIGITAL CAMERA<팔찌와 반지, 금>

OLYMPUS DIGITAL CAMERA<금동신발>

OLYMPUS DIGITAL CAMERA<곱은옥>

머리 윗쪽에 부장품 상자 속에는 각종 그릇, 장식품, 말갖춤, 무기 등이 껴묻거리로 묻어두고 있다. 중요 출토유물로는 새모양 관꾸미개와 관모(국보), 초두, ‘尒斯智王(이사지왕)’ 글자가 새겨진 큰칼, 유리잔 등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부장품 상자 속에서 출토된 유물>

관모는 얇은 금판을 오려서 만들었으며 모자 위로 새날개 모양 장식을 꽂아 놓았다. 관모는 얇은 금판을 오려서 만든 세모꼴 모자로 위에 두 갈래로 된 긴 새날개 모양 장식을 꽂아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금관총 관모(국보)>

금제관식(국보)은 관모 위에 꽂아서 사용한 새날개 모양 장식이다. 이 장식은 삼국시대 신앙을 반영한 것으로 샤머니즘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라의 화려한 황금문화를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금제관식(국보)>

OLYMPUS DIGITAL CAMERA<고리자루큰칼>

2013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금관총 출토 유물을 정리하던 중 고리자루 큰칼의 칼집 끝에서 날카로운 도구로 새겨 쓴 글자를 확인하였다. 판독결과 ‘尒斯智王(이사지왕)’이라는 글자였다. 또 칼 손잡이 부근에서 ‘尒(이)’자와 이사지왕이 새겨진 칼집 끝 뒷면에서도 ‘十(십)’자가 드러났다. 금관총의 또 다른 칼에서도 ‘八’, ‘十’, ‘尒’라는 글자가 추가로 발견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고리자루칼에 글자가 새겨진 부분>

OLYMPUS DIGITAL CAMERA<초두(鐎斗), 청동>

OLYMPUS DIGITAL CAMERA<금동제 뿔잔>

OLYMPUS DIGITAL CAMERA<금동제 신발>

OLYMPUS DIGITAL CAMERA<청동제 방울>

OLYMPUS DIGITAL CAMERA<투구 복발, 방울, 팔가리개 비갑(臂甲)>

OLYMPUS DIGITAL CAMERA<금제 장식구, 금동제 장식구>

OLYMPUS DIGITAL CAMERA<솟을장식, 말띠꾸미개>

OLYMPUS DIGITAL CAMERA<금동제 고배, 금동제 합, 유리제 용기, 금제 완>

OLYMPUS DIGITAL CAMERA<가는 고리귀걸이, 금>

OLYMPUS DIGITAL CAMERA<유리잔>

OLYMPUS DIGITAL CAMERA<장군>

네귀달린 청동항아리는 고구려에서 보내온 것을 추정되는 유물로 무덤 주인이 고구려와 관계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네귀달린 항아리, 청동>

OLYMPUS DIGITAL CAMERA<청동완>

OLYMPUS DIGITAL CAMERA<뚜껑접시, 토제>

OLYMPUS DIGITAL CAMERA<짧은목 항아리, 토제>

금관총의 발견과 신라 고분 조사
우리나라에서 근대 고고학 조사는 일제강점기 일본인 연구자에 의해 이루어졌다. 당시 일본인 연구자는 신라 고분을 여러 번 조사하였으나 돌무지덧널무덤의 복잡한 구조를 이해하지 못해 제대로 조사하지 못했다. 그들은 공사도중 우연히 발견된 금관총으로 인해 신라고분에는 화려한 유물이 묻혀있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후 연속해서 금령총(1924), 식리총(1924), 서봉총(1926) 등을 발굴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연구는 조선총독부가 주관하였고 일본인이 담당했다. 당시 금관총의 조사와 연구는 교토제국대학 하마다 고사쿠 교수가 주도하고 우메하라 스에지, 고이즈미 아키오, 사와 슌이치 등이 참여했다. 현재 일본 교토대학에 보관중인 보고서 원고와 사진 자료는 당시 금관총에 대한 관심이 어떠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특별전, 2014년)

OLYMPUS DIGITAL CAMERA<금관총 발굴 보고서, 일본 교토대학교, 1924년, 1927년>

OLYMPUS DIGITAL CAMERA<발굴당시 금관총 금관 사진>

OLYMPUS DIGITAL CAMERA<발굴당시 금관총>

봉황대에서 금관총을 바라보다’, 일제강점기(1924년)에 일본이 그린 금관총과 주변 풍경이다. 금관총이 위치한 노서동 일대는 경주 도심 주택가로 당시에도 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일제강점기 금관총을 그린 그림>

금관총은 5세기 후반으로 추정되는 신라시대의 돌무지덧널무덤이다. 일제강점기인 1921년 9월에 가옥 공사를 하던 중 우연히 고분이 노출되어 긴급하게 수습 조사가 이루어졌다. 수습 조사 결과 수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특히 화려한 금관이 우리나라에서 처음 출토되어 ‘금관총’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2015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하여 정식 발굴조사가 실시되어 ‘이사지왕도(尒斯智王刀)’라는 명문이 새겨진 칼집 끝 장식을 비롯한 새로운 부장품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지상식 돌무지덧널무덤의 축조과정을 알 수 있는 무덤구조가 새롭게 확인되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20년)

OLYMPUS DIGITAL CAMERA<금관총이 있는 경주 노서동 고분군>

경주-대릉원-호우총-09-20220129<경주 노동동, 노서동 고분군 주요 무덤들>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20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5. 안내문, 경주박물관 특별전, 201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