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고인돌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달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달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대산리로 넘어가는 보검재 고개 아래에 있는 40기의 고인돌들이다. 주변에 있는 고인돌군 중에서는 그 규모가 작은편이다. 고갯길 아래쪽에 큰 규모의 고인돌인 달바위가 있고 주변에 작은 고인돌들이 줄지어 있다. 맞은편 높은 언덕에는 고인돌 채석장이 보인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모산마을에서 보검재(해발 188.5 m)를 넘어 춘양면 대산리로 연결되는 약 5 km의 고갯길 주면에 흩어져 있는 596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고창 고인돌 및 강화 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달바위 고인돌군. 화순 대산리로 넘어가는 보검재 고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달바위를 중심으로 40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다.

달바위는 보검재를 지나다닐 때 산등성이에 있는 큰 고인돌이 보름달처럼 생겨 달바위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모가 가장 큰 달바위 고인돌이 한쪽에 치우쳐 있고 작은 고인돌들이 산비탈을 따라 줄을 지어있다. 2004년 주변을 정비하는 과정에서 돌화살촉과 돌조각이 발견되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OLYMPUS DIGITAL CAMERA달처럼 생겼다고 해서 달바위라 불리는 고인돌. 높이가 높은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아래쪽에 작은 돌들이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달바위 옆으로 줄지어 있는 작은 고인돌들.

OLYMPUS DIGITAL CAMERA덮개돌이 납작하게 생긴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안쪽으로 보이는 작은 고인돌들.

OLYMPUS DIGITAL CAMERA달바위고인돌군에서 보검재로 이어지는 도로.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위쪽으로 보이는 고인돌 채석장.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아래쪽으로 보이는 고인돌군.

보검재는 보성과 나주를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로로 나주와 남평에서 능주를 거치지 않고 보성으로 갈 수 있는 지름길이다. 전설에 따르면, 산적들이 이 고개에 자주 나타나 지나가는 사람드을 괴롭히자 사람들은 말을 탄 장수가 나타나서 보검을 꺼내어 산적들을 물리쳐 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고개 중턱에 있는 핑매바위 밑에 보검을 숨겨두었다. 그래서 보검재로 불렸고, 또 보성 원님이 이 고개를 넘어 남평으로 갔다고 해서 보성재라고도 부른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OLYMPUS DIGITAL CAMERA보검재 고개. 해발 188.5 m의 낮은 고개지만 나주에서 보성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이다. 선사시대 이래로 중요한 교통로였기 때문에 주변에 마을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화순 효산리 및 대산리 지석묘군, 사적 410호
화순고인돌 유적은 2000년 12월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화순고인돌이 전 인류를 위하여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탁월한 문화유산임을 널리 인정받은 것이다. 화순고인돌은 남쪽 산기슭을 따라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산리를 잇는 보검재(일명 보성재, 해발 188.5 m) 계곡 일대 약 5 km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특징은 좁은 지역 내에 고인돌 여러 개가 한 곳에 모여 있으며 당시의 자연환경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또한 고인돌 덮개돌 채석장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어 돌을 캐는 것과 캔 돌을 쌓아 고인돌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유적은 국가 사적 제 410호로 지정되었고, 거점 지역별로 괴바위 고인돌군(47기), 관청바위 고인돌군(190기), 달바위고인돌군(40기), 핑매바위 고인돌군(133기), 감태바위 고인돌굴(140기), 대산리 발굴지(46기) 등에 596기의 고인돌이 빽빽히 분포해 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화순군청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관청바위 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관청바위 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계곡 중간쯤 저수지 부근에 분포하고 있는 190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계곡 북쪽 언덕을 따라 많은 고인돌들이 밀집하여 규칙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들은 대부분 4각형의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 언덕에는 떼었던 큰 채석장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모산마을에서 보검재(해발 188.5 m)를 넘어 춘양면 대산리로 연결되는 약 5 km의 고갯길 주면에 흩어져 있는 596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고갯길 입구에서 조금 지나서 작은 저수지 주변에 190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는 관청바위고인돌군을 볼 수 있다. 화순 고인돌유적지 중에서 가장 많은 고인돌이 모여있는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저수지 아래 계곡에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관청바위 고인돌군은 도로 옆을 따라서 고인돌들이 규칙적으로 나열되어 있다.

관청바위 고인돌군은 보성 원님이 쉬면서 관청 일을 보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고인돌군은 화순 고인돌 유적지에서 가장 큰 무리를 이루고 있는 대표적인 곳이다. 고인돌은 산기슭을 따라 규칙적으로 줄을 지어 분포하고 있으며 규모가 가장 큰 고인돌은 2003년 조사 결과 덮개돌 밑을 빙 둘러 받침돌이 놓여 있고 땅을 평탄하게 한 후 돌을 구획하여 깐, 묘소의 경계를 정한 구역이 확인되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OLYMPUS DIGITAL CAMERA도로를 따라서 고인돌들이 이어지고 있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덮개돌들을 볼 수 있는데 바둑판 형태의 덮개돌이 상대적을 많다.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에 볼 수 있는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 고인돌군.

OLYMPUS DIGITAL CAMERA고인돌군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옆에 볼 수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관청바위라 불리는 상당히 크고 넓은 고인돌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도로에서 연결되는 탐방로에서 첫번째로 보이는 고인돌군.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으로 보이는 채석장.

OLYMPUS DIGITAL CAMERA바닥판을 올려놓은 모습을 하고 있는 전형적인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탐방로를 따라서 보이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탁자식 고인돌처럼 넓직하게 생긴 덮개돌.

OLYMPUS DIGITAL CAMERA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아래쪽에 작은 돌을 깔아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탐방로를 따라 이어지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와 만나는 지점에 볼 수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의 고인돌들.

OLYMPUS DIGITAL CAMERA상당히 큰 덮개돌 아래에 받침돌을 받히고 있는 고인돌.

화순 효산리 및 대산리 지석묘군, 사적 410호
화순고인돌 유적은 2000년 12월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화순고인돌이 전 인류를 위하여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탁월한 문화유산임을 널리 인정받은 것이다. 화순고인돌은 남쪽 산기슭을 따라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산리를 잇는 보검재(일명 보성재, 해발 188.5 m) 계곡 일대 약 5 km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특징은 좁은 지역 내에 고인돌 여러 개가 한 곳에 모여 있으며 당시의 자연환경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또한 고인돌 덮개돌 채석장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어 돌을 캐는 것과 캔 돌을 쌓아 고인돌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유적은 국가 사적 제 410호로 지정되었고, 거점 지역별로 괴바위 고인돌군(47기), 관청바위 고인돌군(190기), 달바위고인돌군(40기), 핑매바위 고인돌군(133기), 감태바위 고인돌굴(140기), 대산리 발굴지(46기) 등에 596기의 고인돌이 빽빽히 분포해 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화순군청

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모산마을 부근 괴바위고인돌군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중 괴바위고인돌군이다. 전체 5 km 지역에 분포된 569기의 고인돌 중 화순군 효산리 모산마을 부근에 분포되어 있는 47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유적지 입구에는 고인돌이 조성되었던 청동기시대의 주거지를 재현해 놓은 체험장이 있고 춘양면으로 연결되는 길옆 언덕에 고인돌들이 분포되어 있다. 그 중 괴바위 고인돌은은 길이 5.3 m, 폭 3.6 m의 거대한 고인돌로 다른 고인돌에 비해서 그 규모가 크고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제단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들판이 내려다보이는 언덕이라 고인돌이 많이 분포되어 있지는 않다.

전남 화순군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은 화순군 도곡면 효산리 모산마을에서 보검재(해발 188.5 m)를 넘어 춘양면 대산리로 연결되는 약 5 km의 고갯길 주면에 흩어져 있는 596기의 고인돌군을 말한다. 대부분 덮개돌만 보이는 청동기시대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조사결과 고인돌 뿐 아니라 돌방무덤, 독무덤 등 다양한 형태의 무덤이 확인되었으며 청동기시대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특히 주변에는 덮개돌을 떼었던 흔적인 채석장도 확인되고 있다.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화순 효산리와 대산리 지석묘군(사적 410호) 입구인 화순 효산리 모산마을.

OLYMPUS DIGITAL CAMERA모산마을 입구에는 현재 목책과 망루 등이 있는 청동기시대 마을을 조성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 입구. 고인돌들은 효산리에서 대산리로 연결되는 도로 주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유적지 입구에 주차장이 있으며, 관람객이 많지 않을 때에는 자동차로 5 km에 이르는 유적지를 돌아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입구. 이곳에서 보검재를 넘어 화순군 춘양면 대산리까지 약 5 km 에 이르는 도로 주변에 고인돌들이 분포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 입구에 조성해 놓은 체험장. 청동기시대 주거형태인 움집과 화덕자리, 목책, 고인돌 등을 조성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제험장에 조성해 놓은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체험장에서 내려다 보이는 모산마을고 주변 들판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에서 가장 먼저 보이는 2기의 고인돌이다. 덮개돌만 보이는 바둑판식 고인돌이며 원래 주변 논둑에 있던 것을 옮겨 놓았다.

논둑 고인돌군, 이 고인돌군은 원래 논둑에 걸쳐 있던 것인데, 1기는 받침돌 2매가 받쳐져 있는 바둑판식 고인돌이며 발견 당시 다른 1기는 훼손된 상태였다. 2003년 발굴 조사 시 논둑에 걸친 고인돌 남쪽에서 고인돌 시대 이후의 유물이 나왔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OLYMPUS DIGITAL CAMERA유적지 입구 부근에 분포된 47기의 고인돌 중 가장 눈에 뛰는 괴바위고인돌이다. 길이 5.3 m의 거대한 고인돌이며 비교적 높은 언덕에 자리잡고 있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고양이형상을 하고 있어 괴바우라 부른다.

괴바위 고인돌은 지형적으로 고양이 모양의 땅 위에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고인돌은 길이 530 cm, 폭 360 cm, 두께 300 cm인 초대형 덮개돌이며 주변에서 보이는 고인돌과는 달리 약간 높은 터에 있어 제사를 지내려고 마련한 재단적 성격이 강하다. 이곳을 발굴하고 조사할 때 주변에서 민무늬토기 조각과 돌화살촉이 발견되었다. 실제로 마을 사람들은 고양이 모양이 이 바위가 맞은 편의 쥐 모양의 땅과 다투는 것처럼 보여서 괴바우라 불렀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OLYMPUS DIGITAL CAMERA괴바위 고인돌 주변에 흩어져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들판을 지나 저수지가 있는 골짜기에 들어서면 고인돌들이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을 내려다 볼 수 있는 휴게소 옆에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옆 언덕에 있는 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주변에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 아래 개울 주변에 분표되어 있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전형적인 바둑판식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낮고 넓직한 모양의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비교적 큰 규모의 바둑판식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도로옆에 있는 평범한 바위처럼 보이는 고인돌.

OLYMPUS DIGITAL CAMERA계곡 입구에 조성해 놓은 체험장.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으로는 고인돌을 만들었던 돌을 채취했던 채석장 흔적이 보인다.

화순 효산리 및 대산리 지석묘군, 사적 410호
화순고인돌 유적은 2000년 12월 고창고인돌 및 강화고인돌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이는 화순고인돌이 전 인류를 위하여 보호받을 가치가 있는 탁월한 문화유산임을 널리 인정받은 것이다. 화순고인돌은 남쪽 산기슭을 따라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산리를 잇는 보검재(일명 보성재, 해발 188.5 m) 계곡 일대 약 5 km 범위에 분포되어 있다. 특징은 좁은 지역 내에 고인돌 여러 개가 한 곳에 모여 있으며 당시의 자연환경이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또한 고인돌 덮개돌 채석장이 여러 곳에서 발견되어 돌을 캐는 것과 캔 돌을 쌓아 고인돌을 만드는 일련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유적은 국가 사적 제 410호로 지정되었고, 거점 지역별로 괴바위 고인돌군(47기), 관청바위 고인돌군(190기), 달바위고인돌군(40기), 핑매바위 고인돌군(133기), 감태바위 고인돌굴(140기), 대산리 발굴지(46기) 등에 596기의 고인돌이 빽빽히 분포해 있다. (안내문, 화순군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5.  화순군청

강화 삼거리고인돌군, 유네스코문화유산

삼거리고인돌군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청동기시대 무덤인 고인돌유적이다. 강화도의 주산인 고려산 서쪽 능선에 자리잡고 있는 약 10여기의 고인돌을 말한다. 남아 있는 고인돌은 대부분 쓰러져 있으나, 남아 있는 뚜껑돌과 굄돌이 원형을 제대로 유지하고 있다. 고인돌의 형태는 굄돌과 판돌로 4면을 막고 뚜껑을 덮은 탁자식 고인돌이며, 뚜껑돌에는 성혈로 보이는 구멍이 여러개 패여 있는 것이 있다. 주변에는 채석장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유네스코에 등재된 곳은 강화, 화순, 고창지역 고인돌이며, 그 중 강화도에는 고인돌을 대표하는 부근리지석묘(사적137호)를 비롯하여 9곳의 고인돌군이 있다. 강화도 고인돌은 강화도의 주산인 고려산 서쪽 능선을을 따라 160여기의 고인돌이 분포하고 있다. 고인돌은 예전에 아이스크림 광고나 만화의 영향으로 원시인들이 살았던 집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는 역사시대가 시작되었던 청동기시대 대표적인 무덤양식이다. 고인돌은 세계적으로 다양한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데, 그 형태로 문화교류의 흔적 등으로 볼 때 동일한 역사성을 갖는 것은 아니라 유사한 문화를 가졌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반도부근에서는 중국 요령성에서부터 일본큐슈지방까지 고인돌이 발견되는데 그 중 대부분이 한반도에 산재해 있다. 이런 까닭에 고인돌이 발견되는 영역은 당시 고대국가였던 고조선, 그리고 고조선과 교류했던 지역으로 보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 삼거리 고인돌군은 고려산 서쪽 능선 끝자락에 위치한 청동기시대 무덤이다. 능선에 약10여기의 고인돌이 모여 있고, 주변에서는 돌을 채취한 채석장 흔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SANYO DIGITAL CAMERA강화군 고려산 서쪽으로 뻗어나간 능선에 남아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인 강화 삼거리고인돌이다. 능선에 약 10여기의 고인돌이 남아 있는데 그 중 원형이 잘 남아 있으면서 웅장한 형태를 하고 있는 고인돌이다.

SANYO DIGITAL CAMERA능선에는 약 10기가 남아 있어 고인돌군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 상석과 굄돌이 쓰러져 있으나 그 원형들이 잘 남아 있는 편이다.

SANYO DIGITAL CAMERA꽤 큰 굄돌이 남아 있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규모가 크지 않은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안쪽편에 있는 무너져 있어서 크게 보이지는 않지만 굄돌과 뚜껑돌의 크기로 볼 때 꽤 큰 규모였던 것으로 보이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넓고 평평한 뚜껑돌만 남아 있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능선을 따라 산재해 있는 고인들의 흔적. 굄돌만 남아 있는 경우도 있고, 뚜껑돌만 남아 있는 경우도 있다.

SANYO DIGITAL CAMERA 삼거리 고인돌군에는 뚜껑돌에 직경 5cm 정도의 성혈이 보이는 구멍이 패여있다고 하는데, 멀리서 성혈처럼 보이는 구멍이 보이는 것 같다.

SANYO DIGITAL CAMERA능선에 자리잡고 있는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능선을 오르는 길에 볼 수 있는 뚜껑돌

SANYO DIGITAL CAMERA 작은 크기의 고인돌들이 숲속에 흩어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SANYO DIGITAL CAMERA산속에 흩어져 있는 작은 고인돌

SANYO DIGITAL CAMERA마을부근에 볼 수 있는 반으로 갈라진 뚜껑돌

SANYO DIGITAL CAMERA삼거리고인돌군이 있는 능선으로 오르는 길. 주변에 크고 작은 고인돌을 볼 수 있다.

SANYO DIGITAL CAMERA삼거리 고인돌군이 있는 마을길.

강화 삼거리고인돌군, 강화군 하점면 삼거리
강화지역에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묘제인 고인돌이 산재해 있으며, 특히 이들 중 10~20여기에 달하는 군집을 이루는 고인돌군이 5개가 있다. 이 중 하나인 삼거리 고인돌군은 고려산 북쪽 능선에 위치하며, 모두 10여기의 북방식 고인돌이 3개의 소군집을 이루고 있다. 삼거리고인돌 중에는 덮개돌에 성혈이라고 하는 작은 구멍이 패여있기도 하는데 이를 별자리와 연관짓기도 한다. 2000년 12월 2일, 화순의 고인돌군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출처:강화군청>


크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