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관아

충청도 해미현 관아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해미읍성(사적)에 잏는 해미현(海美縣) 관아이다. 해미현은 1407년 정해현(貞海縣)과 여미현(餘美縣)을 합쳐서 설치하였다. 이 지역은 충남 서해안 연안 해로를 지키고 관리하기 위한 중요한 요충지이다. 왜구의 침입이 빈번했던 조선초에는 충청병영과 충청수영이 모두 이곳에 있었다. 이후 충청병영은 청주로, 충청수영은 보령으로 이전하였다. 해미현 수령은 총6품 현감으로 무관을 임명하여 영장토포사(營將討捕使)를 겸하게 하여 주변 고을의 군사적인 업무를 총괄하였다.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1<서산 해미현 관아, 2023년>

해미현 관아 건물로는 읍성내에 동헌, 내아, 객사 등이 있다. 원래 있던 건물들은 아니고 해미읍성을 유적지로 정비할 때 고증을 통해 복원하였다. 충청병영이 있었다고 하나 건물들은 종6품 현감이 수령인 고을의 위상에 걸맞게 아담한 규모이다.

서산 해미읍성(사적)<해미읍성과 해미현 관아>

SANYO DIGITAL CAMERA<해미현 관아, 2009년>

SANYO DIGITAL CAMERA<서문 근처에 본 모습>

조선시대 객사는 관아의 중심건물이다. 특히, 병영이나 수영의 객사는 군사작전 등을 위해 건물규모가 상당히 큰 편인데 비해 해미현 객사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정청과 좌.우익랑의 구분없이 앞면 7칸 규모의 단일 건물이다. 가운데 3칸은 정청이고 좌, 우에 2칸씩 익랑을 두고 있다.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3<해미현 객사>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1<옆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남문 문루에서 보이는 객사>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2<객사에서 보이는 읍치>

해미읍성 객사
객사는 건물의 중앙 정청에 궐(闕)자가 새겨진 위패를 모시고 삭망(매월 초하루, 보름)에 관아의 대소 관원들이 국왕에 대한 예를 올렸으며, 양편 익식은 조정이나 상부에서 파견된 관원 및 귀빈들의 숙소로도 사용했던 곳이다. 해미읍성 객사는 발굴조사와 고증을 거쳐 1999년 7월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안내문, 서산시청, 2023년)

동헌 출입문으로 2층 문루를 두고 있다.  문루에는 ‘충청좌영’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SANYO DIGITAL CAMERA<동헌 문루>

동헌은 해미현감겸영장의 집무실로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 등이 행해지던 건물이다. 해미현감겸영장은 인근 12개 군, 현의 병무행정과 토포사를 겸한 지위였다. 동헌 건물은 앞면 5칸으로 약간 큰 편이다.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2<동헌 마당>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7<동헌>

동헌 뒷편에 있는 건물은 책방 또는 책사라 불렀다고 한다. 현감겸영장의 사적인 일을 돕거나 그들 자제에게 글을 가르치기도 하던 곳이다.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5<동헌 뒷편 책방>

동헌 서쪽에는 하급관리들이 근무하던 부속건물이 있다. ‘ㄱ’자형 건물로 사무실 용도의 방과 창고로 구성되어 있다.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6<동헌 부속 건물>

동헌은 병마절도사를 비롯한 현감경영장(縣監兼營將)의 집무실로 관할지역의 일반 행정업무와 재판 등이 행해지던 건물이다. 해미 현감겸영장은 인근 12개군, 현의 병무행정과 토포사(討捕使)를 겸한 지위였다. (안내문, 서산시청, 2023년)

동헌 옆에는 해미현감 가족들이 생활하던 관사 건물인 내아가 있다. 앞면 5칸의 일자형 주택 건물로 부엌과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규모는 크지 않다.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8<내아 마당>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0<내아>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19<내아 앞 부속 건물>

해미읍성 내아
관리와 가족들이 생활하던 관사 건물로 동헌이 고을의 공무를 수행하는 곳인데 반해, 내아는 살림집이다. 해미읍성 내아는 발굴조사와 고증을 거쳐 2000년 11월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안내문, 서산시청, 2023년)

해미현 관아 뒷편 동산에는 정자 건물이 청허정이 있다. 높지는 않지만 멀리 천수만이 내려다 보이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고 군사작전을 지휘하는 장대(將臺) 역할을 했던 공간이다.

SANYO DIGITAL CAMERA<관아 뒷편 동산>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4<언덕에서 내려다 보이는 해미읍성>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6<청허정>

서산 해미현 관아 20230127_25<정자에서 멀리 내려다 보이는 서해바다>

청허정
정자는 일반 가옥과 달리 자연을 배경으로 특별히 지은 건물이다. 청허정은 조선 성종 22년(1491) 충청도병마절도사 조숙기가 세웠던 것을 다신 복원한 것으로 조선전기 대표학자 성현의 개인문집 <허백당짐>에 그 유래가 정한다. 정자의 이름인 ‘청허淸虛’는 잡된 생각이 없이 마음이 맑고 깨끗하다는 뜻으로, 이곳에 오는 이들에게 한결같은 마음가짐을 당부하는 의미를 갖고 있다. 조선초기의 해미읍성은 충청도 육군사령부 역할을 하는 충청병영성으로 최고 책임자는 병마절도사였다. 조숙기가 병사로 부임하여 해미읍성을 수리하면서 숲이 우거진 뒷동산에 청허정을 지었다. 이후 이곳에 온 관리들은 청허정에서 무예를 익히거나 휴식을 취하는 등, 시를 짓고 글을 남겼다. 1494년 방문한 충감사 조위는 청허정 주변 소나무와 멀리 보이는 바다의 풍경에 대한 시를 남겼고, 권오복의 문집 <수헌집>에 절도사와 수령이 일을 마치고 청허정에 모여 지은 시가 전한다. 1579년 충청병영에서 근무했던 이순신, 1790년 해미로 귀양 왔던 다산 정약용도 이 청허정에 머물렀을 것이다. 1872년 <해미현지도>에는 예터로 표기된 것으로 보아 1800년대에 없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는 이 자리에 일본식 신사가 세워졌다가 광복 후 철거되었고, 1976년 복원한 후 2011년 다시 정비하였다.(안내문, 서산시청, 2023년)

해미읍성은 구한말 천주교 박해와 관련이 있는 곳이다. 초기 천주교 신자들이 이곳 옥사에서 투옥되어 문초를 받았다고 하며 옥사 앞 회화나무에는 그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SANYO DIGITAL CAMERA<해미읍성 옥사>

SANYO DIGITAL CAMERA<해미읍성 옥사>

해미읍성은 우리나라의 천주교와 깊은 연관이 있는 곳 이다. 교도들을 투옥하고 문초하였던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터만 남아 있던 옥사를 발굴 작업 뒤 복원, 재현하였다. 1935년에 간행된 <해미 순교자 약사>의 기록을 토대로 복원하였으며 내옥과 외혹이 있고, 각각 정면 3칸의 건물로 남녀의 옥사가 구분되어 있다. 1790년부터 100여 년간 수많은 천주교 신자들을 국사범으로 규정하여 이곳에서 투옥 및 처형을 하였는데, 김대건 신부의 증조부도 이곳에서 옥고를 치르고 순교했다고 전해지고 있다.
(안내문, 서산시청, 2023년)

해미읍성 회화나무는 수령 300년 이상의 고목으로 이곳에 수감된 천주교 신자들을 매달아 고문했던 곳 이라 한다.

SANYO DIGITAL CAMERA
<해미읍성 회화나무>

 <출처>

  1. 안내문, 서산시청, 2009년,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실록위키,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

 

강원도 영월부 관아(사적)

강원도 영월군 중앙로(영월읍)에 있는 영월부 관아(사적)이다. 영월부(寧越府)는 조선시대 영월지역을 다스리던 지방관청이다. 삼국시대 때 고구려에서 내성군을 서러치했으며 고려떄는 원주의 속현이었다가 고려말에 영월군으로 승격하였다. 조선후기 숙종 때(1698년) 노산군이 단종으로 추승되고 장릉으로 천릉하면서 영월부로 승격하였다. 영월부 관아는 단종이 폐위되어 영월 청령포에 머물다 홍수가 나면서 관아 객사 동익헌(관풍헌)에 머물렀던 유서깊은 곳이다. 관아터에는 사찰에서 사용하고 있는 객사와 단종이 자주 올라서 시를 지었던 곳으로 전해지는 자규루(子規樓)가 남아 있다.

영월부 관아 (사적) 01-20220822<영월부 관아(사적)>

보물_월중도(제7면_읍치)<영월부 관아 지도, 월중도(보물)>

영월을 부사로 승격하고 김시습에게 증직과 사제를 행하도록 명하다
“장릉(莊陵)의 헌관(獻官)은 의당 영월 군수(寧越郡守)로 차정(差定)하여야 하니, 영월을 부사(府使)로 승격시켜 사체(事體)를 높이소서.”
하니, 임금이 모두 옳게 여겼다.
(숙종실록 33권, 숙종 25년 2월 10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영월부 객사는 조선초 태조 때(1396년)에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면 정조 때(1791년)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정청은 앞면 3칸, 서익헌은 앞면 4칸 규모이며 단종이 머물렀다는 동익헌(관풍헌)은 앞면 5칸 규모이다. 다른 지방의 객사 건물과는 달리 동익헌은 온돌시설이 있어 단종이 머물렀던 숙소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조선후기에 그려진 월중도(보물)에 그려진 객사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과 동일하여 조선후기 중수 후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월 영월부 관아(사적) 11-20220822<영월부 객사>

영월부 관아 (사적) 03-20220822<관풍헌>

영월부 관아 (사적) 04-20220822<정청>

영월부 관아 (사적) 05-20220822<서익헌>

관풍헌(觀風軒)
영월객사의 동헌으로서 조선 태조 7년에 건립되었다고 전해진다. 단종께서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청령포에서 유배생활을 하시던 중 홍수를 피해 이곳으로 이어하시어 머무르시다가 1457년(세조 3) 10월 24일 승하하셨다. 1997~1998년 드잡이 및 번와 등 전면보수를 하였다. (안내문, 영월군청, 2022년)

관아 앞쪽에 위치한 자규루(子規樓)는 조선초 세종 때(1428년) 처음 창건된 누각 건물이다. 단종이 청령포를 떠나 영월군 관아에 머물 때 자주 올르 자규시를 읊은 것을 계기로 자규루로 불리게 되었다. 원래의 건물은 허물어지고 단종이 복위된 조선후기 이후에 다시 중건했다.

영월부 관아 (사적) 02-20220822<자규루>

자규루(子規樓)
이 누각은 세종 10년(1428)에 창건, 신숙근이 중근. 신숙근은 연산조에 영월군수를 역임하였다. 후에 단종께서 관풍헌으로 이어하시어 머무시는 동안 이 누각에 오르시어 자규사 및 자규시를 읊으신 것이 계시가 되어 자류루로 불리게 되었음. 그후 선조 36년(1605) 큰 홍수로 인하여 이 누각이 허물어지고 그 자리에 민가가 들어설 정도로 폐허가 되었으나 정조 15년(1791) 강원도 관찰사 윤사국과 영월부사 이동욱이 의논하여 중건하였다고 기록되었다. (안내문, 영월군청, 2022년)

영월부 관아(사적)<영월부 관아 위성사진>

영월부 관아(寧越府)
영월 객사와 관풍헌 및 자규로는 조선 제6대 임금인 단종이 이곳에 유배되어 노산군으로 강봉된 채 17년간의 짧은 생을 마감한 곳으로 전해진다. 세조 3년(1457) 노산군으로 강봉된 단종이 영월 청령포에 유배되어 지내다가 홍수가 나게 되자 당시 영월부 객사의 동익헌이었던 관풍헌으로 처소를 옮겨 침전으로 사용하였고, 자규로(당시 매죽루)에 자주 올라 임금의 자리에서 쫓겨난 어린 임금의 비통함과 애처로움이 배어 있는 시를 지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안내문, 영월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영월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숙종실록,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울진 대풍헌, 울릉도를 방문하는 관리들이 순풍을 기다리던 곳

경북 울진군 기성면 구산봉산로에 있는 대풍헌(待風軒)이다. 조선시대 울릉도를 감독하기 방문하던 수토사들이 머물렀던 건물이다. 대풍헌이 언제부터 있었는제 알 수 없지만 조선후기 철종 때(1851년)에 건물을 중수하고 ‘대풍헌’이란 현판을 걸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구산포에서 울릉도로 가는 배가 순풍을 기다리는 곳으로 건물보다는 수토사들이 울릉도를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감독, 관리하였음을 보여주는 곳이다.

울진 대풍헌 02-20220711<울진 대풍헌>

 건물은 앞면 4칸의 일자형 건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다. 근대에 들어서 여러차례 수리를 하면서 원래모습을 잃었는데 최근에 옛모습으로 복원하였다. 가운데 3칸은 넓은 대청마루를 하고 있으며, 동쪽편 1칸 온돌방이 있다.

울진 대풍헌 01-20220711<옆에서 본 모습>

대풍헌에는 1910년 이전에 만들어진 12점의 현판들이 문화재로 선정되었다. 건물 앞에 걸려 있는 <기성구산동사>, <대풍헌> 현판과 대청마루에 있는 <구산동사중수기> 등 10점의 현판이 있다.

울진 대풍헌 10-20220711<’대풍헌’ 현판>

울진 대풍헌 09-20220711<’기성구산동사’ 현판>

울진 대풍헌 11-20220711<대청마루에 걸려 있는 현판들>

수토사는 삼척 진장이나 월송 만호가 그 역할을 맡았는데 수토사 일행의 접대를 위해 소요된 경비를 경감할 수 있는 내용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평상시에는 객사처럼 이 지역을 방문한 관리나 유력인사들이 머물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울진 대풍헌 08-20220711<대풍헌이 있는 공간>

울진 대풍헌 06-20220711<대풍헌 뒷편 전망대>

울진 대풍헌 04-20220711<대풍헌 뒷편 언덕에서 내려다 보이는 구산포>

울진 대풍헌 07-20220711<구산포와 그 너머로 보이는 월송정 주변 해안>

울진 대풍헌 05-20220711<언덕에서 보이는 울릉도 방향 동해바다>

대풍헌 소장 문서들은 수토사들을 접대하기 위해 소요되었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관아에서 결정했던 내용을 적은 문서로 <완문(完文)>과 <수토절목(搜討節目)>이 있다. 조선시대 국가에서 울릉도를 관리, 감독하였음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울진대풍헌소장문서(완문2)<완문>

울진대풍헌소장문서(수토절목2)<수토절목>

울진 대풍헌<울진 대풍헌과 월송정>

울진 대풍헌(待風軒), 경붕 울진군 기성면 구산봉산로
대풍헌은 동해안 해변의 작은 포구 구산리 마을 중심부에 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은 원래 동사(洞舍)였으나, 18세기 말부터 구산항에서 울릉도로 가는 수토사(搜討使)들이 순풍을 기다리며 머물렀던 장소가 되었다. 이 건물은 정면 4칸, 좌측면 4칸, 우측면 3칸의 일자형 팔작집으로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1851년(철종2) 중수하고 ‘대풍헌’이란 현판을 달았다. 이후 몇차례 보수과정을 거쳐 여러 부분이 변형되어 2010년 해체.,복원하였다. 또한 대풍헌 소장 문서는, 삼척 진장과 월송 만호가 2~3년에 한 번씩 울릉도를 수토할 때 평해 구산항에서 출발한다는 것과 수토사 일행의 접대를 위해 소요되는 각종 경비를 전담했던 구산동민들의 요청에 따라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방책에 대해 평해군에서 결정해준 내용의 <완문(完文)>과 <수토절목(搜討節目)>이다. 그동안 문헌사료에 19세기 들어서면서 울릉도에 수토사를 파견했다는 기록이 거의 보이지 않았으나, 정기적으로 순찰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대풍헌은 조선시대 울릉도를 순찰하던 수토사들이 머문 장소로 그 역사적 의미가 크다. (안내문,  울진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울진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믽고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

 

강원도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강원도 삼척시 성내동에 있는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이다. 관동팔경으로 손꼽히는 죽서루(보물)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관아에서 운영했던 누각인 죽서루만 남아있고 객사와 동헌 등 관아건물은 남아 있지 않다. 발굴,조사 결과 객사, 동헌, 내아 등의 건물터와 읍성 남문, 성벽 등이 있던 자리가 확인되었다. 2022년 현재 객사 건물은 복원공사가 진행중이며 추후 동헌 등 일부 건물들을 복원할 예정이라 한다. 일제강점기 때 있었던 옛 관아 건물 사진이 남아 있어 옛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1-20220710<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삼척지역에는 신라 때부터 삼척군이 설치되었으며 조선초 삼척이 태조의 5대조인 목조의 외향이라 하여 도호부로 승격되어 구한말까지 유지되었다. 고을의 규모는 크지 않았으나 군사적으로 중요하여 삼척진관이 별도로 설치되어 첨사가 파견되었다.

삼척 죽서루<삼척도호부 공간배치>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5-20220710<삼척 죽서루 유적지>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2-20220710<죽서루가 있는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객사는 진주관(眞珠觀)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복원공사가 진행중이다.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7-20220710<복원공사 중인 객사>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6-20220710<죽서루(보물)>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4-20220710<관아 서쪽을 흐르는 오십천>

삼척도호부 관아지(사적) 03-20220710<오십천 건너편에서 보이는 죽서루>

0 R<삼척도후부 관아 옛 사진>

<출처>

  1.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3. 위키백과, 2022년

 

 

거제 거제현 관아(사적)

경남 거제시 거제면 동상리에 있는 거제현 관아(사적)이다. 거제현은 고려말 왜구의 침략으로 섬을 비웠다가 조선 초 세종 때(1423년) 피난갔던 주민들이 돌아오면서 사등면에 사등성을 쌓고 관아를 설치하였다다. 이후 지형적인 조건 등으로 읍치를 고현성으로 옮겼다. 임진왜란 때 고현성이 함락되고 주요 관아건물들이 사라졌다. 이후 삼도수군통제영 겸 경사좌수영이 통영으로 옮기면서 통영과 가까우면서 방어에 유리한 현재의 위치로 관아를 옮겼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거제시의 중심이 고현성이 있는 신현읍으로 옮기면서 작은 시골 면소재지가 되었다.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1-20220221<거제 거제현 관아(사적)>

거제현 관아터에는 객사였던 기성관(보물)과 하급 실무자들의 업무공간인 질청이 남아 있으며, 동헌과 내아가 있던 자리에는 면사무소 건물이 자리잡고 있다. 객사는 구한말 이후 초등학교로, 질청은 등기소로 사용되다가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거제현 관아는 ‘진입로-관아 건물-계룡산(수정봉)’이 남서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특이하게 동헌이 객사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거제현 관아<거제현 관아 공간 배치>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2-20220221<객사 출입문>

객사인 기성관(보물)은 조선후기 현종 때 관아가 있던 고현성을 폐쇄하고 현재의 위치로 옮길 때(1665년) 지어졌다. 이후 여러차례 중건을 거치면서 1909년까지 관아 건물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초등학교 교시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1976년에 옛모습을 복원하였다. 해체수리과정에서 상량묵서와 상량문 등이 발견되어 창건 내력 등의 내용이 잘 남아 있다. 관아객사이지만 내부는 전체가 넓은 대청마루로 구성되어 있어 통제영 객사인 세병관(국보)과 마찬가지로 군사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4-20220221<거제 기성관(보물)>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5-20220221<기성관 내부>

객사 마당에는 조선후기 이후 거제현에 흩어져 있는 역대 고을 수령들의 송덕비들을 모아 놓고 있다. 모두 14기의 비(碑)가 있는데 그중 6기는 철비(鐵碑)이며, 8기는 석비(石碑)이다. 다른 고을에 비해 송덕비는 많지 않은 편이다.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3-20220221<거제현 관아 송덕비군>

거제현 관아 송덕비군 (巨濟縣 官衙 頌德碑群)
현재의 거제면은 거제구읍(巨濟舊邑)으로, 옛 거제현의 치소(治所)가 자리하였던 곳이다.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고려~조선초 거제 현민들은 거창, 진주, 영선 등지로 피난을 갔었는데 1422년(세종 4) 돌아와 사등성(沙等城)을 수축하였으나 협소하고 물이 귀해 이듬해 고현으로 옮겨 9년 만에 고현성(古縣城)을 낙성하여 거제 현아(縣衙)를 두었다. 이후, 1592년 임진왜란으로 고현성이 함락되고, 1664년(현종5) 현재의 거제면으로 현아를 옮겨 조선말까지 거제부의 치소로 기능하게 되었다. 현재 거제현 관아지에 남아있는 기성관(岐城館), 질청(秩廳), 향교 유적 등은 모두 고현에서 이건한 것이다. 원 거제현 관아에는 다수의 송덕비가 있었으나 세월의 변천에 따라 대부분 산실되었고, 현존하는 14기는 향교 입구와 동상리, 서정리 등에 있던 것을 1970년 거제유림과 거제면민이 합심하여 옮겨 모은 것이다. 비들은 1974~1976년 기성관 해체 복원 작업 시 기성관 안으로 옮겨 오늘에 이르고 있다. 6기는 철비(鐵碑)이며, 8기는 석비(石碑)이다. 이들은 조선 후기 거제의 역사를 반영하는 기념물로 문화재적 가치가 높다. (안내문, 거제시청, 2022년)

객사인 기성관 앞쪽에는 하급 실무자들이 사용했던 관아 건물이 질청(秩廳)이 남아 있다. 남아 있는 건물은  ‘ㄷ’자형인데 27칸으로 지방관아 건물 중에는 큰 편이다. 건물은 넓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ㅉ고에 작은 온돌방을 두고 있다. 대청마루가 넓은 것으로 볼 때 회의 등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6-20220221<질청 출입문>

현재 남아 있는 건물은 ‘ㄷ’ 형태를 하고 있는데 원래는 ‘ㅁ’자형 이었다고 한다.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8-20220221<질청>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9-20220221<대청마루>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07-20220221<작은 마루와 온돌방이 있는 왼쪽 날개채>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10-20220221<오른쪽 날개채>

질청(秩廳)
거제현 관아는 조선시대 거제현의 일반 행정과 군사 업무를 총괄하기 위한 지방 행정기구이다. 그 중에서 질청(株廳)은 하급 관리들의 사무실이나 서재로 사용되던 건물이다. 1926년부터는 등기소로 사용되었으며, 지금의 건물은 1984년에 해제 복원한 것이다. 질청은 현재 남아있는 것만 해도 27칸이 넘는 대규모의 건물이며, 전체가 ‘ㄷ’자형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거제현 지도에는 ‘ㅁ’자형으로 나와 있어 일제강점기 이후 도시화 과정에서 도로와 맞닿은 앞부분이 철거된 것으로 보인다. 질청 건물의 중앙부에는 사무를 보는 큰 대청이 있고 양쪽에는 주거용 방이 있다. 기성관처럼 화려한 장식이 없지만 검소하면서도 엄숙함을 느끼게 한다. 거제현 관아의 부속건물이었던 질청은 기성관과 함께 조선시대 관아의 전형적인 기능적, 구조적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 (안내문, 거제시청, 2022년)

동헌과 내아가 있던 자리는 현재 면사무소 건물이 들어서 있으며 그 앞에 크고 오래된 고목이 남아 있어 이곳이 관아터였음을 알 수 있다.

거제 거제현 관아 (사적) 12-20220221<동헌이 있던 자리>

거제현 관아는 남해안 방어를 위한 군사적 요충지에 있기는 하나 왜구가 없었던 임진왜란 이후에 현재의 위치로 이전했기때문에 읍성을 쌓지 않았다. 구한말 병인양요, 신미양요를 거치면서 방어를 읍성 축성을 추진했으나 승인받지 못하고 읍치 뒷편에 산성을 쌓아 이를 보완하였다.

거제 옥산성 30-20220221<거제 옥산성>

거제현 관아(巨濟縣 官衙), 사적 제484호
거제현 관아는 조선시대 거제현의 일반 행정과 군사 업무를 총괄하기 위한 지방행정기구이다. 주요 건물은 객사인 ‘기성관’, 수령이 업무를 보던 ‘동헌’, 하급 관리가 업무를 보던 ‘질청’ 등이 있다. 현재는 기성관과 질청이 남아 있으며, 지금 거제면 사무소가 있는 곳에는 당시 동헌이 자리하고 있었다. 고려 말 왜구침략으로 인한 공도정책으로 행정상 공백지였던 거제에 조선시대 세종 4년(1422) 피난 갔던 거제백성들이 돌아오면서 거제현관아가 설치되었다. 최초로 현재 수월동에 설치 되었으며, 사등성을 거쳐 단종 1년(1453)에 고현성으로 거제현관아가 이전되었으나,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고현성이 함락되어 관아의 주요 건물이 사라짐에 따라 현종 5년(1664)에 지금의 위치에 새로 지었다. 거제현 관아는 ‘진입로-관아 건물-계룡산(수정봉)’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어 서울의 ‘광화문-경복궁-백악산’과 유사한 지형적 배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조선시대 관아의 전형적인 건물 구조와 배치 등을 보여주는 곳으로, 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안내문, 거제시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거제시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