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관아

서울 우정총국(사적), 구한말 우편업무를 담당하던 관청

서울 종로구 우정국로에 있는 우정총국(郵征總局, 사적)이다. 구한말 근대적인 우편업무를 위해 설치된 관청이다.  1884년 갑신정변의 현장이었던 이유로 폐쇄되었다가 1893년 이후 전우총국이라는 이름으로 우편업무는 재개되었다. 옛 사진을 참고하여 건물을 복원하였다. 앞면 5칸, 옆면 3칸의 팔작 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옛 관아 건물 중에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현재 우정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갑신정변은  근대적인 우편제도를 도입하고 그 업무를 담당하기 위한 우정총국을 설립하면서 그 기념식에서 김옥균을 위시한 개혁세력이 쿠데타를 일으켰던 사건을 말한다.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2<서울 우정총국(사적)>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4<’우정총국’ 현판>

이곳에는 도화서, 전의감 등 기술과 관련된 관청들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표지석이 도로에 있다. 건물은 구한말의 전형적인 관청의 모습을 하고 있어 당시 관청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1<정면에서 본 모습>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50<옆에서 본 모습>

내부는 전시공간으로 사용하고 있어 원래 업무를 보던 모습은 살펴볼 수 없다. 현재 우정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우표와 문헌, 유물 등이 전시되어 있다.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5<체전부, 전선부의 의복, 모자, 모표>

한국 최초 집배원과 집배원이 착용한 의상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6<옛 집배원 모습>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7<괘판>

1900년대 우체사에서 사용된 사무용 서식자를 인쇄하던 나무판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09<날짜 도장>

1900년대 경상북도 안동, 전라북도 남원, 충청남도 홍주, 전라북도 전주, 경상남도 진주 우체사에서 사용한 날짜 도장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10<저울과 자>

1900년대 우편물의 중량고 규격 측정을 위해 사용되던 도구이다.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11<우체요금표>

1900년도 대한제국 통신원에서 제정한 국내외 우체요금표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13<고종황제 즉위 40주년 우표><태극우표>

태극우표
1895년 우정사업 재개와 함께 사용된 4종의 우표로, 5푼, 1돈, 2돈 5푼, 5돈 등의 단위로 발행되었다. 미국 워싱턴 앤드류 비그래이엄 조폐창에서 인쇄되었으며, 태극기 문양이 들어 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14<이화우표>

1900년 대한제국 농상공부 인쇄국에서 발행한 14종의 우표로, 최초의 국산 우표이다. 대한제국 황실 문장인 오얏꽃 문양이 들어 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15<매우표>

1903년 프랑스 정부 체신청 인쇄국에서 발행된 13종의 우표로, 근대 한국의 우표 중 가장 큰 크기의 우표이다. 대한제국이 본격적인 국제우편 업무 실시에 대비하여 프랑스에 발주, 위탁 제조한 우표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51
<우전선로도본>

대한제국기 전국의 우체사, 전보사의 위치와 선로가 표기된 지도이다. 이 지도를 통해 당시 우편물의 배송 경로와 소요시간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통신권이 일본에 넘어가기 전인 1905년까지의 철로, 전보선로, 전화선로, 수로 상황도 함께 표기되어, 당시 대한제국이 주도적으로 이룩한 근대화 정책의 성과를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18<우체사 관인>

서울 영등포, 경남 창원, 진주, 전북 옥구, 충남 은진 등 다섯 곳의 우체사에서 사용했던 관인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한걸음의 의미
조선의 개화정책은 갑신정변으로 잠시 위기를 맞고, 우정사업 역시 중단된다. 하지만 우정총국의 개설과 근대 우정사업의 실현은 그 자체로 조선이 이룩한 최초의 개화 성과로서 의미가 있다. 더불어 조선이 전세계 네트워크 속으로 들어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한국 근대사의 중요한 발자취이다. 이후로도 조선은 세계 속의 조선을 향한 노력을 포기하지 않고 이어갔다. 그 결과 우정사업 창설 초기부터 목표했던 만국우편연합에 가입하여, 당당한 독립국으로 국제 사회의 일원이 되고자 했던 바람을 이루어 낸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20<만국 우편연합 위임장 및 여권>

1897년 제5차 만국우편연합 총회에 참석한 전권위원 민상호의 위임장과 여권이다. 만국우편연합의 가입은 조선 최초의 국제기구 가입이며, 이를 통해 조선은 독립국으로서 국제사회의 당당한 일원이 되고자 하였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21<만국우편연합 상징조형물>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22<문위우표 5종>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 다섯 종으로 5문, 10문, 25문, 50문, 100문의 단위로 발행되었다. 특히 국제우편에 필요한 100문의 고가 우표를 통해 국제우편 업무가 우정사업 개시 당시부터 계획되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24<코리안 포스탈 가이드>

1897년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에게 배포한 영문 우체업무설명서이다. 우정사무가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외국인에게 홍보와 안내 작업을 하였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26<일안(日案)>

1884년 11월 우정 업무를 개시하면서 일본 공사관에 통지한 공문이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28<미안(美案)>

1884년 11월 우정 업무를 개시하면서 미국공사관에 보낸 공문이다. 조선 정부는 각국 공사관에 ‘우정규칙’을 송부하고 우정사무 개시를 통지하였으며, 미국 공사관측은 업무 개시에 대한 축하 인사를 답변으로 보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31<한성순보>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32<대조선국 우정국사무장정>

1884년 우정국 설치 당시 제정한 사무장정이다. 우정국은 서울 본국과 인천분국이 함께 설치되었으며, 서울 본국에는 관리사무를 관장하는 규획과 중앙우정국의 업무를 담당하는 발착과,, 경리사무를 담당하는 게산과 등 세 개의과를 두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33<대조선국 우정규칙, 우정규칙적요>

우정국 개설과 함께 마련된 우정사업 관련 규칙이다. 우편물의 종류와 요금 등 우편물 취급에 관한 기본 법규들이 기록되어 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35<경성내 우정집신분전 구역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36<승정원일기>

1884년 4월 국왕 고종이 우정총국 창설 교서를 반포하고 그 취지를 밝힌 기사이다. 우정총국의 설치는 공사 간 이득을 취한 것임을 명시하였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근대 우정제도가 조선에 도입되다
1880년대 조선은 급변하는 세계 속의 당당한 일원이 되기 위해 각종 개화정책을 추진해 나아간다. 새로운 근대제도와 문물을 하루 빨리 도입하고자 하는 활발한 움직임 중에서도 우정사무의 개시는 그 핵심사업이었다. 이에 1882년 본격적인 우정사무의 개시를 공식적으로 선언하는 한편, 근대 신문물에 낯선 반응을 보이는 백성을 설득하기 위한 홍보 작업도 진행한다. 마침내 1884년 4월 우정총국을 창설하라는 왕명이 내려지고, 조선에 근대 우정제도가 실시된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39<통리교섭통상 사무아문장정>

1882년 개화정책 담당기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에서 반포한 우정사 업무규정이다. 이로써 우리나라에 우정업무의 개시가 공식적으로 선언된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0<우정총국 옛 전경(1906년경)>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2<우정총국 초대총판 홍영식>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4<보빙사>

1883년 미국에 파견된 조선사절단 보빙사의 모습이다. 보빙사 시찰을 통해 조선은 서양의 근대제도와 문물을 직접 확인하였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6<조미조약>

1882년 미국과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조선은 서구 사회와 직접 교류하는 첫 걸음을 내디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7<홍영식복명문답기>

홍영식이 보빙사 임무를 마치고 돌아온 후 국왕 고종에게 올린 귀국보고이다. 이 자리에서 홍영식은 조선의 개화를 위해 우정과 전신을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을 주장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8<일본문견사건>

1881년 일본에 파견된 조사시찰단의 보고서 중 일본의 근대 우정에 대한 탐방 기록이다. 근대화된 일본의 변화상 중 우정 분야에 대한 조선의 관심을 볼 수 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서울 우정총국 20221116_49<일본공부성>

1881년 일본에 파견된 조사시찰단의 보고서 중 일본의 근대 전신에 대한 탐방 기록이다. 우정과 함께 전신 분야에 대한 조선의 관심을 알 수 있다.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출처>

  1. 안내문, 우정기념관, 2022년
  2. ‘사적 우정총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강원도 강원감영(사적), 관찰사가 근무하던 곳

강원 원주시 일산동에 남아 있는 강원감영(사적)이다. 강원도 26개 부,목, 군현을 관할하던 강원감영이 있던 곳이다. 조선 태조 때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여 강원도라 하고 원주에 감영을 설치하였다. 건물들은 임진왜란때 대부분 소실되었고, 1634년 원주목사가 재건하기 시작하였으며, 1895년에는 55동에 이르는 건물들이 있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군청 등 관공서 건물 등으로 사용되기도 했으며, 현재는 강원감영 정청 건물이었던 선화당과 살림집인 내아, 출입문인 포정루가 남아 있다. 2000년대 이후 우체국이 들어섰던 후원에 건물과 연못 등을 복원하였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1<원주 강원감영(사적)>

조선전기 관찰사는 관할지역을 돌아다니면서 근무하는 순력이 중심이어서 감영 건물이 많이 필요하지 않았으나, 조선후기에는 지방을 통치하는 상설기관으로 바뀌면서 많은 건물들이 필요하였다. 감영에 설치된 건물로는 국왕을 상징하는 궐패를 모시는 객사가 가장 중요한 건물이었고, 관찰사가 집무공간인 선화당, 숙소인 내아가 있었고 감영에 소속된 관리들이 근무하는 비장청 등과 호적 등 서류를 보관하던 창고 등 설치되었다. 감영은 대도시에 소재했기 때문에 상업지역이나 관공서로 바뀌어 그 흔적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 전라감영 전주객사, 공주 충청감영 선화당, 대구 경상감영 선화당 등이 대표적인 감영 관아 건물들이다.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2<강원감영 읍성 및 관아 건물 배치>

원주 강원감영<강원감영 건물배치, 위성사진>

강원 원주목(여지도)
<원주목지도, 여지도, 18세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년>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8<관찰사 및 목사 선정비>

관찰사 및 목사 선정비
강원감영의 중삼문과 내삼문 사이에는 총 17기의 비석이 있다. 이 비석들은 조선시대 때 강원감영과 원주목 관아에서 관찰사와 목사로 재잭하였던 관인들의 업적을 남기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선정비는 관찰사와 목사에게 하나의 모범 사례가 되기도 하였으며, 동시에 새로 부임하는 관찰사나 목사를 경계하는 의미도 깃들어 있었다. 원주지역 곳곳에는 강원도 관찰사와 원주목사의 선정비가 많이 세워졌으나, 대부분 사라져 찾기가 어렵고 강원감영을 복원하면서 일부 남아있던 선정비를 옮겨왔다. 이 중 2기의 비석은 후원 권역에 있던 원주우체국을 철거하면서 찾은 것이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선화당 권역

강원감영 선화당 권역은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공간으로 일반적인 지방 관아에서는 동헌이 있는 영역이다. 옛 건물로는 관찰사 집무공간인 선화당(보물), 포정루가 남아 있다. 2000년대 이후 강원감영(사적) 복원사업이 진행되면서 내아를 비롯하여 중삼문, 내삼문, 행각, 책방 등의 건물들이 복원되었다. 이외에도 보선고, 비방청, 호적고, 약방 등 실무관리들이 근무하던 사무실과 창고 등이 선화당 권역에 있었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4<선화당 권역 출입문인 포정루>

포정루는 강원감영 선화당을 출입하는 문루이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의 전형적인 2층 문루 건물이다. 1층 가운데 칸에 널문을 달았으며 2층은 난간을 두르고 사방을 개방하였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6<안쪽에서 본 포정루>

포정루(布政樓)
포정루는 강원감영으로 들어가는 첫번째 출입문이다. ‘포정’이란 어진 정사를 베푼다는 의미로 중국 명나라의 지방관청이 포정사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원래 있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타서 없어지고, 현재의 건물은 17세기에 다시 세운 것이다. 고종 32년(1895) 강원감영이 폐지된 이후, 원주 진위대가 강원감영을 사용했을 때는 ‘선위루’라 하였고, 한국전쟁 이후에는 ‘강원감영문루’라고 하였다. <여지도서> 등의 문헌에 근거하여, 1995년 조선시대 강원감영 정문의 명칭인 포정루로 편액을 바뀌 달았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포정루를 지나면 두번째 출입문인 중삼문이 있다. 건물터만 있던 것을 복원한 건물이다. 주변의 담장과 부속건물들은 남아 있지 않다.  건물은 앞면 5칸 규모로 양쪽에 작은 문간방이 있다. ’관동관찰사영(關東觀察使營門)’이라는 이름이 있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5<중삼문>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20<안쪽에서 본 모습>

중삼문(中三門)
관찰사의 집무실인 선화당으로 출입하는 진입공간에는 포정루.중삼문.내삼문이 있다. 중삼문은 진입공간의 배치상 가운데 위치한 문으로 포정루를 지나온 사람들이 중삼문에서 재차 본인의 신원과 방문 목적을 밝혀야 했다. 중삼문은 ‘관동관찰사영(關東觀察使營門)’이라는 고유한 명칭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강원감영의 관찰사를 만나기 위해 들어서는 문을 의미한다. (안내문, 2023년, 원주시청)

내삼문은 선화당 마당을 출입하는 문으로 ‘징청문’이라는 이름이 있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강원도 관찰사가 근무하는 공간인 선화당 건물이 보인다. 내삼문에서 선화당까지는 박석이 깔린 길이 연결되어 있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9<내삼문>

내삼문(內三門)
내삼문의 고유한 이름은 징청문(澄淸門)으로, 포정루.중삼문을 지나 관찰사의 집무공간인 선화당과 직접 연결되는 문이다. 내삼문은 강원감영의 진입공간에서 가장 안쪽에 위치해 있으며, 방문자는 이곳에서 관찰사를 만나기 전 마지막 신원절차를 거쳤다. 징청문이란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방문자는 문을 들어서면서 맑고 깨끗한 정신으로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야 하는데, 이는 관찰사를 만나러 온 방문객뿐만 아니라 관찰사를 포함하여 이 문을 들어서는 모든 관인들이 새겨야 할 덕목이었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선화당(보물)은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강원감영 정당(正堂) 건물이다.  1664년 경에 건립된 건물로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현재 위치에 세워진 이래 여러 차례 중수가 있었지만 실물이 그대로 계승되어 왔으며 조선시대 감영 선화당 건물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하고 있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21<강원감영 선화당(보물)>

내부는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으며 온돌시설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양쪽 1칸씩은 누마루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부공간 배치로 볼 때 판결 업무가 많았던 지방관아 동헌과는 달리 관찰사는 감영에 속한 지방관 등과 회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부처 정청과 비슷한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3<선화당 내부>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2<선화당 앞 측우대(복원품)>

내아는 관찰사가 기거하는 살림집이다. 조선시대 관찰사는 가족없이 단신으로 부임하는 경우가 많고 임기도 짧으며 관할지역을 돌아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선화당에 비해 건물규모가 상당히 작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3<내아>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22<내아 툇마루>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6<뒷편에서 본 모습>

내아(內衙)
내아는 관찰사와 그의 가족들이 생활하던 공간이다. 온돌방과 창고가 함께 있는 건물로, 오랫동안 생활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여지도서>의 기록에는 ‘대은당’으로, <관동지>에 실린 강원감영지 기록에는 ‘내아’로 기록되어 있다. 내아는 17세기 후반에 관찰사가 감영에 머물면서 강원도의 다른 지방을 살펴보던 유영(留營)체제가 자리잡으면서 생겼을 것으로 추측된다. (안내문, 원주시청, 2011년)

선화당 뒷편에는 도서와 출판 업무를 담당하던 책방이 있다. 조선시대 감영에서는 산하 고을에 문서를 작성하여 배포하는 기능과 함께 도서의 수집과 보급, 인쇄와 출판의 기능이 있었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5<책방>

책방(冊房)
책방은 도서와 출판 업무를 담당하던 곳이다. 책방에는 감영에서 수집한 도서자료 외에, 강원도 각 지역에서 온라온 인구.세금.날씨 등에 대한 보고자료, 분쟁.갈등에 대한 소송관계 문서 등이 보관되었다. 대구 경상감영의 사례로 볼 때, 강원감영에서도 도서의 수집.보급, 인쇄.출판 등이 책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또한 관찰사의 수행비서격인 책사가 선화당과 가까운 거리인 책방에 근무하면서 관찰사에게 조언을 하기도 했다.  (안내문, 원주시청, 2013년)

강원감영 선화당 영역에서 실무관리들이 근무했던 여러 행각 건물들이 있었다. 확인된 건물로는 보선고(補繕庫), 공고(工庫) 등이 있다.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1<행각>

행각
행각은 궁궐의 중심건물인 정당(正堂) 좌우에 배치되어 있는 보조 건물을 말한다. 강원감영도에는 선화당 왼편으로 세 채의 건물이 확인되는데 북쪽으로부터 차례로 행각, 보선고(補繕庫), 공고(工庫)가 자리해 있다. 2000년 강원감영터 발굴 당시에는 행각의 건물 흔적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았고, 몇개의 건물구조가 서로 얽혀 있었기 때문에 현재의 행각 자리와 좌측의 공방고지 일대는 옛 지도 기록에서 보이는 행각, 보선고, 공방고지의 여러 건물이 함께 어우러져 있었던 공간으로 추정된다. 행각의 건물 복원은 정면 7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구조로 이루어졌다. (안내문, 원주시청, 2013년)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7<공방고 터>

공방고터(工房庫 址)
조선시대 강원감영에는 행정업무를 수행하던 육방(六房)이 있었다. 그중 공방은 공용지를 관리하고, 건축물을 짓거나 보수하는 역할을 했다. 공방고 터는 공방이 있던 자리로 고(庫)는 창고보다는 기관을 뜻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당시 강원감영은 원주목과 같은 관아를 사용했는데, 공방고 또한 원주목과 함께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굴조사 당시, 바닥에서 온돌시설 일부가 드러나 공방고에 난방 시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강원감영 선화당 권역
강원감영 선화당 권역은 감영의 업무가 이루어지던 공간이다. 선화당 권역 안에는 중심건물인 선화당, 진입공간에 해당하는 포정루.중상문.내삼문, 그밖에 내아.공방고 터.행각.책방 등이 있다. 감영의 본청인 선화당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선화당 권역은 진입 공간과 집무 공간으로 나뉘는데, 강원감영의 진입 공간은 포정루에서 시작해서 중상문.내삼문으로 연결되는 삼문(三門) 구성을 이루고 있다. 강원감영을 찾아온 손님들은 각 문을 지날 때마다 신분을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중삼문에서 꺾어서 내삼문으로 들어가면 선화당이 정면으로 보이는데, 이러한 과정을 거쳐 선화당으로 들어가는 방식은 경기.전라.황해감영에서도 볼 수 있다. 집무공간의 중심 건물인 선화당은 관찰사가 업무를 보던 공간으로, 관찰사는 이곳에서 강원도에 속한 각 지역의 행정.농정.조세.민원.군사.재판 등에 대한 업무를 수행했다. 1592년 임진왜란 때 대부분의 건물들이 불에 타고, 17세기 중반부터 선화당을 비롯하여 관찰사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집무실과 많은 건물들이 세워졌으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도시화 과정을 겪으면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졌다.  (안내문, 원주시청, 2013년)

객사 권역

감영 동쪽편에는 객사를 중심으로 강원감영에 속했던 많은 부속건물들이 있었다. 군사시설인 중영(中營), 화약고(火藥庫), 군기고(軍器庫), 군향고(軍餉庫) 등과 죄인을 매질하거나 잡아오던 나장(羅將)이 일하는 군뇌방(軍牢房), 곡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사람이 근무하던 사창(司倉)이 이 객사 앞쪽에 있었다. 일제강점기 이후 원주의 대표적인 상업지구로 바뀌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도심 상업지구에서 볼 수 있는 옛지도를 표현한 그림>

OLYMPUS DIGITAL CAMERA<상업지구로 변한 객사 주변 지역>

후원 권역

강원감영 선화당 뒷편에는 손님들을 접대하는 공간인 후원이 있다. 후원에는 큰 연못을 조성하고 3개의 섬을 조성하여 삼신산을 구현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 후원에는 원주우체국이 자리하였는데 2018년 강원감영 복원사업이 끝나면 옛 후원의 모습을 복원하였다.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7<강원감영 후원 권역>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8<영주관>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0<봉래각>

봉래각(蓬萊閣)
봉래각은 강원감영 후원의 건물들 중 가장 먼저 지어졌다. 1684년 관찰사 신완이 연못 북쪽에 처음으로 봉래각을 세웠다. 그러나 물이 넘쳐 누각이 여러 차례 허물어지자, 1704년에 관찰사 홍만조가 기존 봉래각을 헐어내고 섬을 견고하게 만들어 그 위에 봉래각을 새로 지었다. 봉래각을 처음 건립한 관찰사 신원은 <봉래각상량문>에 ‘봉래’가 강원도에 있으므로 강원도를 신선이 머무는 곳이라 하였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1<채약오>

채약오(採藥塢)
채약오는 신선이 먹는 불로초를 캐는 언덕이라는 뜻으로, 봉래산을 비롯한 삼신산에는 영험한 약인 불로초가 있다는 신선세계의 전설을 따른 것이다. 1771년 관찰사 서명선이 연못 속에 6개의 기둥을 세워 건립하였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12<뒷편에서 본 후원>

원주 강원감영(사적)_20230511_09<후원에서 보이는 선화당 권역>

강원감영 후원 권역
강원감영의 후원 권역은 관찰사의 사적인 공간으로, 후원에는 연못을 조성하여 봉래.영주관 등을 건립하고 손님 접대와 연회의 장소로 사용하였다. 연못 가운데와 한쪽 끝에는 정자를 세워 연못을 내려다보며 후원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강원감영의 후원에서는 다른 감영에서는 볼 수 없는 신선 세계를 엿볼 수 있다. 연못 안에는 전설의 신산인 삼신산을 상징하는 세 개의 섬을 만들어 전각을 짓고, 모두 신선 세계의 이름을 부여하였다. ‘봉래산’인 금강산을 관할했던 강원감영의 후원에 이에 어울리는 신선 세계를 만들었던 것이다. 관찰사들은 후원에서 풍류를 즐기면서 스스로를 ‘봉래주인’, 즉 신선세계의 주인이라 칭했다. 강원감영의 후원은 일제강점기까지는 유지되었으나 이후 후원 자리에는 한때 원주우체국이 자리했으며, 2018년 강원감영 복원사업이 완료되어 아름다운 후원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적,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
원주 강원감영은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가 직무를 보던 관청으로 강원도 지방행정의 중심지였다. 조선왕조는 태조4년(1395) 강릉도와 교주도를 합하여 강원도라 하고, 원주에 강원감영을 설치하여 관찰사를 파견하였다. 강원감영이 원주에 설치된 이유는 원주가 강원도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지리적으로 수도인 한양과 가까워서 임무를 수행하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었기 때문이다. 관찰사는 행정과 군사의 최고 책임자로, 왕의 명령으로 파견되어 각 고을의 수령들이 백성들을 올바르게 돌보고 있는지 살펴보는 역할을 했다. 조선 전기 관찰사의 임기는 1년이었으며, 감영에 잠시 머물면서 강원도 각 지역을 돌아보는 순력(巡歷) 체제로 업무가 이루어졌다. 17세기 중반부터 관찰사의 임기는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나게 되고, 관찰사는 강원감영에 머물면서 때때로 강원도의 다른 지방을 돌아보았는데 이러한 변화를 유영(留營)이라고 한다. 강원감영의 건물들은 1592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으나 1634년 원주목사 이배원이 다시 짓기 시작한 이후 여러 목사와 관찰사들이 계속하여 다시 지었다. 강원감영은 선화당을 비롯하여 포정루.보선고.내아.비장청.호적고 등 40여 동에 달하는 웅장한 모습으로 1395년부터 1895년까지 500년 동안 강원도의 중심역할을 수행했으나, 1895년에 8도 제도가 23부 제도로 바뀜에 따라 그 기능을 잃어버렸다. 1900년 이후 강원감영은 원주의 지방군대인 진위대 본부로 사용되었고,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도시화 과정에서 대부분의 건물들이 없어졌다. 한때는 원주군청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2018년 강원감영 복원사업이 완료되어 500년 동안 강원도의 중심 역할을 수행한 강원감영을 다시 볼 수 있게 되었다. (안내문, 2023년, 원주시청)

<출처>

  1. ‘사적 원주 강원감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2.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3. 안내문, 원주 강원감영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 강원감영(사적)에 있는 강원감영 사료관이다. 전시내용은 강원감영의 역사적 배경, 감영에서 일하던 사람들의 구성과 모습, 관찰사의 임무 등을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원주 도심에 있는 강원 감영 건물들은 원래 위치에 원형에 가까운 건물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편이며, 전시유물이 많지 않지만 관찰사가 근하던 감영이 어떻게 생겼는지, 관찰사가 어떤 일을 했는 잘 정리해 놓고 있다.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1<강원감영 사료관>

OLYMPUS DIGITAL CAMERA<사료관 내부>

강원감영 사료관
강원감영 사료관은 조선시대 500년간(1395~1895) 국가의 지방통치기구였던 강원감영의 역사를 살펴보는 공간이다. 원주에 강원도를 관할하던 감영이 설치된 역사적 배경, 감영에서 실제 일하던 구성원들의 모습, 관찰사의 역할과 임무, 일제시기 사진자료에 실려 있는 감영의 모습, 관찰사의 역할과 임무, 일제시기 사진자료에 실려 있는 감영의 옛 모습, 그리고 1887년 4월 오횡묵 정선군수가 생생하게 묘사한 당시의 감영 전경 등에 대한 이야기를 볼 수 있다. 또한 2000년 감영터를 발굴할 당시 출토된 많은 유물들 중 당시의 생활상을 보여주는 상평통보, 비녀와 수저, 나막신과 쌍육 및 기와류, 백자접시와 토기향로를 비롯한 자기류가 전시되어 있다. 이곳 사료관은 옛 감영의 건축물 중 행각 건물에 해당한다. 행각은 일반적으로 궁궐, 관아, 사찰에서 가장 중심이라 할 수 있는 건물 옆에 세우는 보조 건물로 감영에서 근무하는 군인들이나 일꾼들이 대기하거나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포정사문루 20230511_01<강원감영 포정루>

강원감영
강원감영은 지금으로부터 약 600년 전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지방관청입니다. 새로운 나라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는 서울을 중심으로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만들기 위해 전국을 여덟개의 도로 나누었습니다. 그리고 8도 아래에는 더욱 작은 지역으로 오늘에의 ‘시’나 ‘군’과 같은 ‘목’과 ‘군’, ‘현’이라는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각 도의 관찰사는 왕을 대신하여 자신이 담당한 지역을 책임지고 다스렸습니다. 우리가 현재 서있는 이곳 강원도는 경상도, 충청도, 전라도 등과 함께 전국 팔도의 한 행정구역이며, 강원감영은 1395년부터 1895년까지 500년 동안 강원도 전체를 다스렸던 관찰사가 머물던 곳입니다. 강원감영은 1665년(현종 6) 선화당이 세워지면서 많은 관리들이 일하는 건물이 지어지기 시작하였고, 1895년 당시에는 총 57개의 건축물이 있었다고 합니다. 현재 감영에는 관찰사가 일했던 선화당, 감영의 정문인 포정루, 관찰사를 만나기 위해 거쳐가야 했던 중삼문과 내삼문, 관찰사의 일을 돕는 사람들이 있었던 행각과 내아 건물이 남아 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2<강원감영 모형>

작은 도성, 감영(監營)
강원감영을 찾는 모든 사람들은 포정루의 문을 두드리기 전에 먼저 감영 외곽에 세워져 있는 4대 문을 통과해야 합니다. 방위에 따라 동.서.남.북에 세워져 있는 4대문은 각각 수명문(壽命門, 동문), 취적문(翠滴門, 서문), 진남문(鎭南門, 남문), 공북문(拱北門, 북문)이라 했는데, 이 4대문의 경게가 곧 강원감영에 들어서는 첫번째 관문이 되고, 여기를 지나 관찰사가 일하는 감영의 정문인 포정루에 도창하게 됩니다. ‘포정(布政)’이란 원래 중국 명나라에서 각 지방을 통치하는 기구였던 포정사(布政司)에서 연유한 말이지만 여기에 깃들어 있는 의미는 관찰사가 강원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잘 살 수 있도록 좋은 일을 하고, 또 한 해의 농사가 어려워지면 도와주는 등 뭇 사람들을 잘 보살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포정루 건립과 함께 17세기 후반부터 강원감영에는 선화당과 관풍각, 감사를 보좌하는 사람들의 집무실, 창고들이 설치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후 감영의 규모는 점차 늘어나 1750년에는 31동 509칸, 1870년에는 33동 454칸, 1875년에는 43동 459칸, 1891년에는 55동 670칸의 건물이 있었습니다. 감영 내에 지어진 많은 건물들은 각기 고유한 기능과 용도가 있었는데, 각건물은 당(堂).사(舍).각(閣).누(樓).청(廳).방(房).창(倉).고(庫) 등의 명칭으로 구분되었습니다. 왕을 상징한는 전궐패를 모시고, 손님이 묶었던 객사(客舍), 관찰사의 주거공간으로 사용되었던 내아(內衙), 후원에 있던 봉래각과 부평각, 관풍각, 환선정, 군사시설인 중영(中營), 화약고(火藥庫), 군기고(軍器庫), 군향고(軍餉庫) 등과 죄인을 매질하거나 잡아오던 나장(羅將)이 일하는 군뇌방(軍牢房), 곡식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사람이 근무하던 사창(司倉)이 있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22<관찰사 신완의 편지, 조선시대(1646~1707)>

OLYMPUS DIGITAL CAMERA<관찰사 서명선의 편지, 조선시대 1728~1791년>

관찰사
조선의 왕이 각 도의 책임자로 보낸 관리를 당시에는 관찰사(觀察使) 또는 감사(監司)라고 불렀습니다. 이들은 자신이 맡은 지역에 대한 행정권과 서법권, 군대 통솔권을 가지고 있었고, 1년에서 2년 정도에 걸쳐 강원도 곳곳을 다니며 목, 군, 현을 다스리는 수령이 어떻게 백성들을 돌보고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이렇게 관찰사가 여러 곳을 살펴보 돌아다니는 일을 순력(巡歷)이라고 합니다. 여름에는 주로 영동지역인 강릉과 삼척에 머물렀고, 봄.가을.겨울에는 춘천과 원주에 있었답니다. 17세기 중반부터는 관찰사는 원주에 계속 머물게 됩니다. 감사의 임기도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나는데, 이때 선화당을 비롯하여 감사가 안정적으로 일할 수 있는 집무실과 많은 건물들이 건축됩니다. 관찰사는 주로 원주의 감영에 머물면서 강원도의 다른 지방을 때때로 순력하는데 이러한 변화를 유영(留營)이라고 부릅니다. 관찰사는 높은 지위와 그만큼의 책임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조선시대에 관청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지위를 품계라고 하는데, 종2품 이상의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 다른 부서에 있는 사람들의 추천을 받고, 또 까다로운 심사를 통과해야 관찰사로 임명될 수 있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9<휴대용업무편람, 조선시대>

비장과 중군
조선의 중앙정부에서는 관찰사의 일을 도와줄 사람들을 함께 파견하였습니다. 정6품이나 종5품의 도사(都事), 정3품(무관)의 중군(中軍), 종4품의 경력(經歷), 판관(判官) 등의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관찰사의 참모와 같은 역할을 한 사람을 비장(裨將) 또는 막료(幕僚)라고 불럿습니다. 비장은 거두어들인 곡식 장부를 감시하거나, 관찰사를 대신해서 강원도 내의 농사 형편을 살피기도 했고, 식량이 모자라는 봄철에 가난한 사람들을 돕기도 했답니다. 비장청은 8명에서 10명 정도의 인원으로 구성됩니다. 중군은 관찰사의 안전을 담당하거나 군사업무를 책임진 사람이었습니다. 중군은 2년의 임기동안 관찰사를 보좌하고 감영에 있는 군대를 이끌었습니다. 또 중군을 보좌하는 군관이 2사람, 그 외 29명 정도의 인원이 함께 업무를 도왔는데 이들은 군대와 관련된 업무와 더불어 치안을 담당한 오늘의 경찰이나 검찰과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심약과 검율
심약(審藥)은 관찰사의 건강을 돌보는 사람입니다. 종9품관인 심약은 주치의처럼 감사의 건강과 질환을 살펴보았고, 관찰사의 순력에 동행하면서 짋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치료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임금에게 바치던 삼(蔘)을 책임지기도 했고, 매년 1월부터 10월까지 여러 지역의 약재를 모아 중앙에 올리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강원감영의 옛 건물 중에는 심약이 머무는 심약당, 약재를 모으는 채약방(採藥房), 인삼을 보관하는 보삼고(補蔘庫) 등이 있습니다. 재판을 하는 관찰사에게 법률적인 조언과 자문을 해주는 검율(檢律)도 있었습니다. 종9품관인 검율은 관찰사의 법률 보좌관으로 법률의 해석과 적용, 집행에 대한 사무를 책임지며, 법규와 형벌 집행을 도왔습니다. 즉 관찰사가 범죄사건을 처리할 때 사건내용을 잘 살펴서 처리하는 방법을 자문하는 역할을 했답니다. 감영 내에서 검율이 머무는 곳은 검율당(檢律堂)이라 합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영아전과 무임, 기술직 장인
감영에는 감사와 중군 및 영리를 보조해주는 비서격의 업무를 보던 영아전(營衙前), 각종 군사 및 경찰업무를 담당했던 무임(武任), 기술적인 업무를 담당했던 장인(匠人) 등의 사람들이 함께 일했습니다. 영리(營吏)는 감영의 6방(房) 행정사무를 담당한 사람으로 조선시대 당시 강원도내 26개 군현 중 14개 군현에서 뽑힌 120명의 영리가 감영에서 교대로 일했다고 합니다. 영아전은 영리와 비슷한 사무를 담당한 이들로 감영이 소재한 곳, 즉 원주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로 충원되었습니다. 그리고 감영 내에서 각종 군사 및 경찰 업무를 담당하는 무임이나 장교, 관노비도 대부분 감영 소재지에 거주하였습니다. 강원감영에는 군관(軍官) 3명, 화사(畵師) 1명, 사자관(寫字官) 1명, 집사(執事) 16명, 지인(知印) 51명, 사령(使令) 28명, 군뢰(軍牢) 27명, 세악수(細樂手) 10명, 관노(官奴) 42명, 관기(官妓) 19명, 영비(營婢) 9명 등이 있었고, 이 사람들은 집사청(執事廳)이나 관노청(官奴廳), 비장청(裨將廳), 영노청(營奴廳) 등에서 각기 배정된 역할과 임무를 수행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영리와 영노비
감영에는 오늘날 도청의 공무원과 같이 강원도에 사는 백성들과 만나고 대화하며, 각종 문서와 서류, 세금업무 등을 처리하던 영리(營吏)가 있었습니다. 이들은 강원도 각 지역에서 대대로 살아왔던 지방의 향리들 중 한 사람씩을 뽑아 임명하였습니다. 영리는 감영의 실무를 담당한 사람들로 관찰사의 명령을 받아 각 지방 수령이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사정을 얼마나 잘 살피고 있는지를 감시했고, 관찰사가 순력할 때는 안내자 역할을 했습니다. 실질적인 감영의 업무는 6조(六曹)가 있는 것처럼 6방(六房)으로 나누어 영리들이 맡고 있었습니다. 이방(吏房)에서는 주로 인사와 비서의 업무를, 호방(戶房)에서는 세금과 농사 등에 관한 업무를, 예방(禮房)에서는 제사와 예절, 손님접대 등에 관한 업무를, 병방(兵房)에서는 군사 및 병선에 관한 업무를, 형방(刑房)에서는 재판과 죄인, 감옥에 관한 업무를, 끝으로 공방(工房)에서는 수공업과 건물의 건축과 수리 등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방에는 비장(裨將)이라고 하는 수장을 두었으며 호방과 이방, 형방의 우두머리를 삼공형(三公兄)이라고 불렸습니다. 영노비(營奴婢)는 감영과 병영에 소속된 노비로 건물을 새로 짓고 수리하는 일, 창고를 지키는 일, 군량을 운반하는 일 등을 맡아 하였고, 대략 31명 정도로 구성되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21<조선시대, 과거시험 우등답지 묶음, 조선시대>

감영 향시(監試) 주관
조선시대에 지방에 사는 지식인이나 양반들이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해 먼저 향시(鄕試: 문과향시, 무과향시, 생원진사시 초시)를 거쳐야 했습니다. 즉 강원도내의 응시자들은 과거를 보려면 감영이 있는 원주로 모여야 했고, 감영에서는 향시를 준비하고 시행하였습니다. 과거시험을 보기 전에 감사는 도회소(都會所)라는 ‘과거시험준비-시행위원호’를 설치하여 과거를 준비합니다. 그리고 도회소 주관 아래 경시관, 도사 등이 감사가 지정한 문신 수령인 참사관 2인과 함께 과거를 준비하고 채점하였습니다. 또한 과거시험을 치르기 전 녹명소를 통해 응시자 본인에 대한 확인 및 증명서 발급의 업무가 있었습니다. 녹명소는 별도 기관이 아닌 임시기구였으며, 행정자료인 호적을 함께 대조해야했기 때문에 감영이 이를 담당하였습니다. 또한 과거의 예비시험인 조흘강(照訖講)도 감영에서 시행되었는데, 감사는 생원진사시 초시, 문과 초시, 무과 초시 등의 향시를 주관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속업무 또한 관장하였습니다. 응시자와 합격자의 성명 및 인적사항의 보고, 과거 시험의 과정인 초장-중장-종장이 실제로 어떻게 시행되고 몇명이 몇장의 시험지를 제출하였는가와 관련한 보고 우수 답안지의 편집 및 보고 등은 모두 감사가 담당하였습니다. 감영에서 이루어진 과거시험(생원.진사시)에 합격한 사람들의 이름과 생년월일, 주소 등을 상세하게 적은 명단을 <사마방목(司馬榜目)>이라 하는데 태조 때부터 1894년까지 치러진 총 230회의 시험결과를 보면 전체 47,997명의 합격자 가운데 원주에 거주한 사람이 570명이었다고 합니다. 이는 전국에서 네번째로 많은 합격자수를 보여주고 있는 내용인ㄷ, 그만큼 우너주의 향학열이 높고 지역에 우수한 인재가 많았던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OLYMPUS DIGITAL CAMERA<강원도 각읍무변이력성책, 조선시대, 원주역사박물관>

군사훈련과 재판
관찰사는 나라의 정책을 시행하고 백성들을 보살피는 역할과 함께 자신이 담당한 지역을 지키고 보호하기 위한 군사 훈련에도 책임을 맡고 있었고, 그래서 매월 군사 훈련을 시행한 결과를 중앙에 있는 왕에게 보고하였습니다. 군사훈련을 당시의 표현으로 조점(操點).합조(合操)라고도 해쓴데, 원주에서는 치악산을 무대로 산성에서 훈련을 실시했다고 합니다. 강원감영의 옛 모습을 보여주는 지도에는 군사훈련에 사용된 무기를 보관한 군기고(軍器庫), 화약을 보관한 화약고(火藥庫), 군인들의 식량을 보관한 군향고(軍餉庫) 등 군대와 관련된 건물이 확인됩니다. 오늘날 법원에서 많은 사람들이 서로 다투고 논쟁하는 가운데 판사의 결정으로 옳고 그름이 가려지는 것처럼 관찰사는 당시 조선시대 사람들이 서로 싸우고 도둑질을 하거나 심각한 분쟁이 일어났을 때 이를 조정하고 판결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습니다. 감영에는 죄인을 가두는 감옥이 있었고, 관찰사의 판결과 심문에 따라 곤장을 맞기도 하고, 금전으로 배상을 하기도 했으며, 무거운 죄를 짓거나 자신이 저지른 잘못을 인정하지 않을 때는 옥살이를 했답니다.(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20<강원감영중기, 1891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원감영에서 산하 10개 창고의 각종 재물 상황을 기록한 것>

한해의 농사
관찰사 순력하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던 부분은 무엇보다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 있는가 하는 점이었습니다. 사람들의 삶이 여유로울수록 나라의 살림 또한 풍족해지기 때문입니다. 흉년일 때는 반대로 사람들이 굶주림에 시달리게 되고, 나라는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을 도와주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펼쳐야 했습니다. 실제 관찰사가 매달 왕이 있는 중앙에 보고하는 문서에는 농사에 필요한 강우량, 즉 비가 얼마나 많이 왔는지에 대한 측정이 빠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농작물의 생산량은 얼마나 되는지,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예전보다 더 넓어지지는 않았는지에 대한 조사가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농사를 짓고 살았지만, 농경과 함께 전국 각 지방의 관청에서는 그 지역에서만 생산되는 특산물에 대해서도 매년 조사하여 중앙에 보고하였습니다. 그리고 이사를 가거나 오는 전입.전출 현황, 주소지 변경과 출생. 사망 신고 등 인구의 증감 사항에 대한 통계도 주기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1<강원감영 선화당(보물)>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3<글씨 새긴 암키와, 조선시대 1760년, 내아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4<내아 상량기, 조선시대, 내아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5<여러무늬 수키와, 조선시대, 포정루>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6<쌍륙말, 조선시대, 연못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7<나막신, 조선시대, 연못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8<잔, 조선시대, 연못 석축>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09<백자접시, 조선시대, 연못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0<백자제기, 조선시대, 연못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1<토기향로, 조선시대, 내아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2<분청사기음각문병, 백자병, 조선시대, 연못터, 내삼문옆 담장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3<갈유병, 조선시대, 연못 석축>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4<동전(상평통보), 조선시대, 공방고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5<금동허리띠고리, 조선시대, 선화당 남동 담장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6<숟가락, 조선시대, 연못터>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7<비녀, 조선시대, 연못 석축>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18<신분증명패(호패), 조선시대>

선화당과 후원
선화당은 관찰사가 일하던 곳으로 강원감영의 중심건물입니다. 관찰사는 이곳에서 강원도 각 지역에서 올라온 행정과 농사, 세금을 거두거나 재판하는 등에 대한 첩보를 상세하게 읽어보았고, 문제가 되는 일을 처리하였습니다. 선화당 뒤편 후원에는 관찰사가 휴식을 하거나 사람들과 중요한 회의를 할 때, 손님을 맞이하여 음악을 듣거나 춤을 감상하는 연회를 열었던 관풍각(觀風閣)과 환선정, 봉래각이라는 건물이 있었습니다. 옛 선비들이 남긴 시에는 연못에 떠있는 누각과 정자를 오가는 조각배 두척이 연못을 가로지른 다리 밑에 매여 있었는데, 감영의 아름다운 후원 풍경과 노를 저으며 아담한 누각과 정자를 드나드는 사람들 모습이 마치 신선이 사는 것처럼 아름다웠다고 합니다. 수백년 전에 있었던 많은 건물들은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무너지긷, 다시 세워지기도 하였고, 이름이 바뀌기도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건물의 위치가 옮겨지기도 했습니다. 현재 강원감영에 남아 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된 옛 건물은 바로 포정루와 선화당입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사료관 20230511_23<홍만조 시고, 18세기>

강원도의 중심 도시 원주
원주에 강원도 전체를 다스리는 강원감영이 설치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첫째로 원주는 중앙에 있는 왕의 명령을 다른 각 지방으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지리적 조 건을 갖추었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원주지역이 강원도에서 인구와 토지면적이 가장 풍부한 지역으로 도시의 규모가 그만큼 컸기 때문에 강원도 곳곳에서 사람과 물자가 모여들기 편리한 동시에 사람과 물자가 다른 지역으로 전달되기도 편했습니다. 이례로 육로와 함께 남한강 물길이 서울과 바로 연결되어 있어서 강원도 각 지방에서 거두는 대부분의 세금을 이곳 원주에서 모아 서울로 옮겼습니다. 이곳 원주에 강원감영이 자리잡은 이유는 바로 서울과 강원도를 연결하는 통로가 될 수 있었으며, 강원도 전체를 책임진 강원감영이라는 국가 기관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원주지방은 강원도 행정의 중심으로 기능한 동시에 역사적으로 조선시대 이전부터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했습니다. 삼국시대는 물론 이후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지방 행정권역과 군사 배치 권역이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원주는 고구려 때에 신라와의 대치 관계 속에서 국원성(國原城)을 지키는 주요한 중심지역으로 평원군(平原郡)이라 불렸고, 통일신라시대에는 5소경의 하나인 북원경(北原京)이었으며, 고려시대에는 5도양계(五道兩界)의 지방제도에서 양광도(楊廣道)에 속하는 영군(領郡) 중 하나로 수령이 파견된 원주(原州)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오래 전부터 국가의 지방통치제도가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원주가 변함없는 행정적.군사적 요지로 주목받아왔던 사실을 보여줍니다. (안내문, 원주감영 사료관, 2023년)

<출처>

  1. 안내문, 원주 강원감영사료관, 2023년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관아 건물

강원도 원주시 일산동에 있는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이다. 조선시대 강원도 관찰사가 집무를 보던 강원감영 정당(正堂) 건물로 그 원형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기록에 따르면 1664년 경에 건립된 보인다. 현재 위치에 세워진 이래 여러 차례 중수가 있었지만 실물이 그대로 계승되어 왔으며 조선시대 감영 선화당 건물 중에서 가장 큰 규모를 하고 있다.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1<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선화당은 앞면 7칸, 옆면 4칸으로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상당히 큰 규모의 관아 건물이다. 평면구조는 앞뒤와 양쪽 1칸씩이 복도로 되어 있으며 가운데에 집무공간이 있다. 이런 평면배치는 지방관아 동헌 건물에서는 볼 수 없으며 중앙부처 정청 건물과 같은 형태이다. 관찰사의 정치적 위상을 잘 보여주는 건물 형태이다.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13<정면에서 본 모습>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14<앞과 옆에서 본 모습>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12<옆과 뒤에서 본 모습>

건물은 높지 않은 기단  위에  올려져 있으며 사방이 문으로 둘러져 있다.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11<건물 기단>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4<선화당 현판과 출입문>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7<앞면 복도>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8<뒷면 복도>

내부는 넓은 대청마루로 되어 있으며 온돌시설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 양쪽 1칸씩은 누마루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내부공간 배치로 볼 때 판결 업무가 많았던 지방관아 동헌과는 달리 관찰사는 감영에 속한 지방관 등과 회의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중앙부처 정청과 비슷한 공간배치를 하고 있다.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5<관찰사 집무공간>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9<옆에서 본 모습>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3<누마루 기능을 겸하고 있는 오른쪽 공간>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10<내부 모습>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보물) 20230511_06<왼쪽 공간>

선화당(宣化堂)
선화당은 강원감영의 중심이 되는 건물로, 임금의 덕을 선양하고 백성을 교화하는 건물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곳은 고종 32년(1895) 강원감영이 폐지될 때까지 500년 동안 관찰사가 강원도의 정무를 보던 집무실인 정청이다. 관찰사는 이곳에서 강원도에 속한 각 지역의 행정.농정.조세.민원.군사.재판 등에 대한 업무를 수행했다. 선화당은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없어진 것을 현종 6년(1665) 이만영 관찰사가 다시 짓기 시작하여 1667년 이후산 관찰사 때 완공되었다. 선화당은 한때 일본군수비대, 원성군청, 강원도청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500년 동안 이곳 선화당을 거쳐 간 관찰사는 500여명으로, 황희, 정철 등도 이 선화당에서 백성을 살폈다.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원주시청, 2023년
  2. ‘원주 강원감영 선화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충청도 면천군 관아

충남 당진시 면천면에 있는 옛 충청도 면천군(沔川郡) 관아터이다. 관아 건물들은 일제강점기 이후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면서 허물어지고 그 터만 남아 있다. 2007년 옛 동헌 출입문인 풍락루를 복원했으며, 면천초등학교가 사용했던 객사터는 2016년 학교가 이전하면서 객사건물을 복원하였다. 읍치를 둘러싸고 있던 읍성 성벽과 객사터에 남아 있는 수령 1,100년의 면천 은행나무, 객사터 앞 오래된 낡은 주택들과 상점들이 읍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18<충청도 면천군 관아터>

면천군은 종4품 군수가 고을수령인 비교적 큰 규모의 고을로 아산만 연안수로를 지키는 해상교통의 거점이었다. 군사조직은 홍주진관에 속했으며 종4품 동첨절제사를, 산하에 수군(선군,船軍)을 두고 있었다. 조선초에는 충청지역 세금으로 걷어들인 곡식을 면천지역으로 운송하여 창고에 두었으나 성종 때 공세곶으로 창고로 옮기면서 그 기능이 약해졌다. 경기도와 가까운 지역으로 해산물과 소금의 산지이기도 했다. 읍치에는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여 견고한 읍성이 세워졌다.

GM33496IL0006_058
<면천군지도, 여지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3년>

충청도 면천군<면천군 읍치 위성지도>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6<면천군 객사>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3<가운데 정청>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4<왼쪽 건물>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5<오른쪽 건물>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7<면천초등학교로 사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교문>

객사 마당에는 수령 1,100년이 넘는 오래된 은행나무가 남아 있다. 고려 개국공신인 복지겸과 관련된 전설이 있는 나무이다.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2<면천은행나무(천연기념물)>

면천 은행나무, 천연기념물
이 두 그루의 은행나무는 나이가 약 1100년 정도 된 것으로, 면천두견주와 함께 면천의 명물로 손꼽힌다. 동남쪽에 서 있는 나무는 운동장을 정리할 때 1m 정도 흙을 덮었다고 하나 서장이 좋은 편이다. 운동장 안쪽에 서 있는 나무는 밑줄기가 썩어 커다란 구멍이 있었으나 치료한 후 정상적으로 자라고 있다. 이들 은행나무에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복지겸과 관련된 전설이 깃들어 있다. 복지겸이 면천에 귀향하여 병을 얻어 앓고 있었는데 모든 약이 효과가 없었다. 그의 딸이 아버지의 병환을 낫게 해달라고 아미산에 올라가 백일기도를 드렸더니 신령이 나타나 아미산의 진달래 꽃과 안샘물로 술을 빚어 드리고 집 앞에 은행나무를 심고 정성을 드리면 나을 것이라고 하여 그대로 행하였더니 병이 나았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2016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08<관아터에 남아 있는 고목>

동헌 건물은 복원되지 않고 빈터만 남아 있으며 문루인 풍락루만 2007년에 옛 사진을 참조하여 복원하였다.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11<동헌 건물터>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15<동헌 문루인 풍락루>

풍락루(豊樂樓)
풍락루는 지금은 사라진 면천관아의 문루였던 누각으로 정확한 기록이 없어 건립연대는 알 수 없다. 원래는 반월루라 하였으나 1852년 당시 면천군수였던 이관영이 중수한 후 ‘풍락루’라 이름 지어 현판을 걸었고 풍락루기를 남겼다고 한다. 풍락루라 한 것은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으로 살기 좋은 땅에서 백성과 더불어 평안하고 풍년이 들기를 기원하는 마음을 담아 명명한 것이라고 한다. 그 후 노후와 붕괴될 위험이 있어 1943년 철거하였다가 2007년 철거 전의 사진자료를 토대로 하여 2층 누각형식의 팔작지붕 건물로 복원하였다.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관아터 앞에는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옛 읍치에서 살았던 사람들 살고 있는 지역중심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낡은 상점들에서 옛 읍치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17<관아터 앞 큰 길과 상점들>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10<낡은 2층 상점건물>

읍치를 둘러싸고 있는 면천읍성은 초선초 해안을 노략질하던 왜구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쌓은 읍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세종 때 읍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충청도 면천군 관아 20230316_14<면천읍성>

<출처>

  1.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3년
  3. “면천군(沔川郡)”, sillokwiki,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