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근대건축

통영 해저터널

경남 통영시 당동에 있는 통영 해저터널이다. 일제강점기인 1932년에 건설된 동양 최초의 해저터널로 통영 도심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터널이다. 일제강점기에 선박을 통행을 위해 통영반도와 미륵도를 연결하는 지협에 통영운하를 개설하면서 같이 건설되었다.  터널은 길이 483 m, 폭 5 m로 해수면 아래 10 m 정도의 깊이에 있다. 광복 이후 통영운하를 연결하는 다리가 개설되면서 지금은 보행자 통행만 가능하며 사실상 관광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통영 해저터널 08-20220220<통영 해저터널>

터널 입구에는 용문달양(龍門達陽)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는데,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통영군수가 지은 것이라 한다. 터널 입구에는 일제강점기 건축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왕대공 트러스 구조로 만들어진 복도형태로 구조물로 연결되어 있다.

통영 해저터널 01-20220220<통영 도심 터널 입구>

통영 해저터널 16-20220220<터널로 연결되는 통로>

통영 해저터널 13-20220220<안쪽에서 본 통로>

터널은 통영운하를 개설할 때 양쪽에 방파제를 막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터널을 만든뒤 방파제를 철거하여 바닷물을 통과시켜 해저터널을 완공하였다. 해방 이후 통로 양쪽에 상수도관 등을 묻은 구조물이 추가되면서 폭이 좁아졌다.

통영 해저터널 14-20220220<터널 입구>

통영 해저터널 12-20220220<터널 내부>

해저터널이 보행자 공간으로 바뀌면서 관광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터널 중간에는 해저터널과 통영을 소개하는 공간이 있다.

통영 해저터널 10-20220220<터널 중간>

통영 해저터널 09-20220220<미륵도로 이어지는 터널>

통영 해저터널 07-20220220<미륵도 출구 부근>

통영 해저터널 06-20220220<미륵도 출구>

통영 해저터널 05-20220220<나가는 길>

통영 해저터널 03-20220220<일제강점기 건축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목조구조물>

통영 해저터널 02-20220220<미륵도 방면 출구>

통영 운하는 일제가 통영반도와 미륵도 사이 지협을 준설하여 건설한 것으로 길이 1,420 m, 너비 42 ~ 55 m, 간조수심 3.1 m 규모이다. 해저터널과 함께 1932년에 완공되어 부산과 여수 사이 연안항로에 이용되고 있다. 원래는 너비 10 m 정도의 좁은 물길로 간조시에는 걸어서 지나다닐 수 있었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왜선들이 이곳 물길을 더 크게 내어 도망치려 했다고 하여 ‘판데목’이라 불렀다.

통영 해저터널 15-20220220<해저터널 위 통영운하>

통영 해저터널 11-20220220<통영운하>

통영 해저터널, 국가등록문화재
통영 해저터널은 1932년 만들어진 동양 최초의 해저 구조물로서, 통영과 미륵도를 연결하는 터널이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인의 이주가 본격화됨에 따라 두 지역 간 거리 단축을 위해 만들어 졌으며, 길이 483m, 폭 5m, 높이 3.5m, 해수면 아래 최대 10m 깊이 규모의 철근콘크리트조로 이루어져 있다. 비록 공사의 시행이 일제에 의한 것이라고 해도, 우리의 인력과 자재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있다. (안내문, 통영시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통영시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위키백과, 2022년

보성 벌교읍 옛 보성여관 건물, 벌교읍에 남아 있는 일본식 가옥

전남 보성군 벌교읍에 있는 옛 보성여관 건물이다. 이 건물은 조정래 소설 ‘태백산맥’의 배경이었던 벌교읍 옛 일본인 거리에 남아 있는 건물이다. 일제강점기인 1935년에 지어진 것으로 한옥과 일본식 가옥의 양식이 섞여 있는데 일본식 건물양식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 건물은 2층으로 된 주 건물과 부속건물들이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벌교읍에서 공공건물을 제외하고는 가장 큰 규모의 건물이었다고 한다. 소설에서는 토벌대의 숙소로 사용된 남도여관으로 소개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벌교읍에 남아 있는 옛 보성여관 건물. 벌교읍에서도 가장 큰 규모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한옥과 일본식 가옥 양식이 섞여 있는 건물이다. 오늘날 일반적인 여관과는 달리 지역을 대표하는 호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보성여관 출입문. 도로 방향으로는 상가건물처럼 지어졌다.

보성 벌교 보성여관 09-20180324출입문을 들어서면 숙소가 있는 마당으로 복도가 연결되어 있다.

보성 벌교 보성여관 10-20180324지금은 방문객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도로옆 공간. 식당 등으로 사용했던 공간으로 보인다.

보성 벌교 보성여관 11-20180324전시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는 부분.

보성 벌교 보성여관 08-20180324가운데 복도를 지나면 아담하게 꾸며놓은 작은 마당이 있다. 마당을 중심으로 손님들이 묵는 숙소가 배치되어 있다. 전통 한옥의 ‘ㅁ’자형 공간배치를 볼 수 있는 부분이다.

보성 벌교 보성여관 01-20180324전통한옥의 대청마루와 비슷한 느낌을 주는 넓은 마루.

보성 벌교 보성여관 02-20180324툇마루가 있는 한옥양식이 반영되어 있는 부분.

보성 벌교 보성여관 03-20180324일본식 목조주택 양식이 반영되어 있는 부분.

보성 벌교 보성여관 07-20180324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보성 벌교 보성여관 12-20180324
2층복도. 전형적인 일본식 가옥의 형태를 하고 있다.

보성 벌교 보성여관 05-20180324다다미를 깔아놓은 2층.

보성 벌교 보성여관 04-201803242층 창문에서 보이는 벌교읍.

보성 벌교 보성여관 06-201803242층 복도에서 내려다 보이는 마당과 숙소건물들.

OLYMPUS DIGITAL CAMERA보성여관이 있는 벌교읍 거리. 경전선 벌교역에서 낙안읍성으로 연결되는 도로 주위로 건물들이 들어서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이 조성한 일종의 신도시였던 공간이다. 1970년대를 지나면서 일본인 가옥들은 대부분 허물어지고 전형적인 시골 소읍 풍경으로 바뀌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벌교읍에서 랜드마크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이는 옛 보성여관 건물.

남도여관
검은 판자벽에 함석지붕, 전형적인 일본식으로 지어진 2층 건물은 옛 모습 그대로이다. 일본인들은 강점기 동안 전국적으로 이런 건물들을 수없이 지었는데 그동안 무차별적으로 헐어버리고 시멘트 건물들을 짓게 되었다. 그 영향으로 이런 건물들은 구경하기 어려운 귀물이 되어가고 있는 형편이다. 역사는 문자의 기록만이 아니다. 유물을 보았을 때 설명이 필요 없이 지난 시대를 한순간에 실감하게 된다. 수난과 고통의 역사일수록 그 시대의 유물은 남겨지고 보호되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 중심거리로 소위 본전통이라고 불렸던 이 길에 이 건물이 원형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것은 퍽 다행스러운 일이다. 소설의 배경이 되었던 그 시절에도 이 건물은 여관이었고, 그때의 실제 상호는 보성여관이었다. 소설에서는 임만수와 그 대원들이 한동안 숙소로 사용한다. (안내문, 보성군청, 2012년)

지금이 어느때라고, 반란세력을 진압하고 민심을 수습해야 할 임무를 띤 토벌대가 여관잠을 자고 여관밥을 먹어? (태백산맥 3권 85쪽)

<출처>

  1. 안내문, 보성군청, 2012년

원주 구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강원 원주시 중앙동 구도심에 있는  옛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건물이다. 원주에서 맨처음 생긴 은행으로 1934년에 지어졌다. 단층 건물로 외관은 서구식이지만 외벽은 모르타르로 마감하는 등 일제강점기 후반부에 많이 나타나는 공공건축물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원주지역에서 거의 유일한 일제강점기 흔적을 보여주는 근대식 건축물이다. 원주는 강원감영이 있던 곳이지만 일제강점기 강원도청이 춘천으로 옮겨지면서 당시 흔적이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원주 도심에 있는 옛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일제강점기 이후 생긴 은행 건물들과 비슷한 느낌을 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앞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는 출입문. 일제강점기 공공건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출입문 형태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창문은 수직적인 느낌을 강조하고 있다. 대리석 기둥을 본떠서 모르타르로 마감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은행 앞 거리. 강원감영 객사를 비롯하여 관아건물이 들어서 있던 곳으로 원주의 대표적인 상업지구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길바닥에는 타일로 옛 강원감영의 모습을 그려놓고 있다. 객사를 중심으로 관아 건물들이 있던 곳임을 알려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도심 거리가 시작되는 지점.

구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 일제의 경제적 침략에 큰 역할을 한 조선식산은행 원주지점으로, 원주 지역에서 맨처음 건립된 은행이다. 외관은 전체적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창문을 위아래로 길게 반복 배치하여 수직성을 강조하였고, 외벽은 인조석 질감의 모르타르로 마감하는 등 일제강점기 은행 건축물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안내문, 원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원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고성 화진포 이기붕 별장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에 있는 이기붕 별장이다. 화진포호수와 바다의 경계를 만드는 모래톱에 형성된 울창한 소나무 숲에 자리잡고 있다. 일제강점기 외국인 선교사들이 별장으로 지은 건물로 주변에 있는 별장 건물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해방이후 북한 공산당 간부휴양소로 사용되어 오다가 한국전쟁 이후 부통령이었던 이기붕씨의 부인이 개인별장으로 사용했었다고 한다. 한동한 폐쇄되어 사용하지 않다가 1999년 이후 다시 수리하여 역사안보전시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건물은 화진포 호수를 내려다 볼 수 있는 방향으로 지어졌다. 건물은 단층으로 방과 거실의 구분이 거의 없으며, 외벽은 계곡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몽돌로 마감하고 있다. 내부는 침실, 책상과 응접실이 놓여져 있는 집무실로 구성되어 있다. 별장의 화려한 이미지와는 달리 소박하면서도 편한 느낌을 주는 별장 건물이다.

OLYMPUS DIGITAL CAMERA화진포호수와 동해바다가 경계를 이루는 모래톱이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한 이기붕 별장.

OLYMPUS DIGITAL CAMERA강원도 계곡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로 외벽을 마감하고 있다. 크지 않은 단층건물로 소박하면서도 편안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호수 방향으로 출입문과 창문을 두고 있어서 호수의 경관을 즐기기 좋게 만들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앞면에 비해 폭을 상당히 좁게 만들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뒤쪽에서 본 모습. 바닷바람을 피하기 위해 창문을 작게 만들었으며, 출입문을 두고 있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출입문을 열면 손님을 맞는 접견실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넓은 거실은 집무실로 사용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침실

OLYMPUS DIGITAL CAMERA화진포호수 출구까지 형성된 모래톱을 따라 도로가 이어진다.

OLYMPUS DIGITAL CAMERA별장 뒷편에서 보이는 화진포해수욕장. 멀리 화진포호수 출구가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별장 뒷편 언덕에는 한국전쟁 이전 김일성 가족이 사용했던 별장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이승만 별장에서 보이는 모습.

이기붕 부통령별장
1920년대 외국인 선교사들에 의해 건축되어 사용된 건물로써 해방이후 북한 공산당의 간부휴양소로 사용되어 오다가 휴전이후 부통령이었던 이기붕씨의 부인 박마리아 여사가 개인별장으로 사용하다가 폐쇄되었으나 1999년 7월 역사안보전시관으로 개수하여 관람객에게 전시하고 있다. (안내문, 고성군청, 2011년)

<출처>

  1. 고성군청

고성 화진포 김일성 별장, 북한 김일성 가족이 별장으로 사용했던 곳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에 있는 ‘화진포의 성’이다. 화진포 해안에서 조망이 제일 빼어난 곳에 자리잡고 있는 곳으로 해방후 북한정부가 귀빈휴양소로 운영하면서 김일성 가족이 묵었다고 해서 김일성 별장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일제강점기인 1938년 독일 건축가 베베가 예배당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지은 건물이다. 옥상 전망대에 올라서면 동해바다, 화진포 해안과 호수와 멀리 백두대간의 높은 봉우리들이 빼어난 경치를 만들어 낸다.

건물은 계곡에서 볼 수 있는 몽돌로 외벽을 마감한 2층 건물로 기념관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건물 1층에는 통일관련 전시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2층에 북한이 휴양소로 운영하던 시절의 모습을 재현해 놓고 있다. 외벽에서 주는 느낌이 유럽의 성채처럼 보여서 ‘화진포의 성’으로 불리웠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고성 화진포 해안 언덕에 있는 ‘화진포의 성’. 중세 유럽의 망루같은 외형에다 자연석을 쌓아서 성채같은 분위기를 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별장이 세워져 있는 언덕. 높지는 않지만 주위 풍경이 한눈에 들어오는 전망좋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별장 아래에서 본 모습. 울창한 소나무숲이 별장을 둘러싸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별장 입구. 2층 건물로 1층은 전시실로, 2층은 김일성 가족이 사용했던 당시의 모습을 재현해 놓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집무실로 사용하던 당시의 모습을 재현해 놓은 거실.

OLYMPUS DIGITAL CAMERA망루처럼 주위 경치를 감상할 수 있는 넓은 거실.

OLYMPUS DIGITAL CAMERA거실에서 내려다 보이는 화진포 해안.

OLYMPUS DIGITAL CAMERA한쪽편으로는 이승만 별장과 금강산에서 뻗어 내려온 백두대간 봉우리들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 옥상 전망대.

OLYMPUS DIGITAL CAMERA맞은편 이승만 별장에서 보이는 모습.

화진포의 성(김일성 별장)
일본 강정기인 1937년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키면서 원산에 있는 외국인 휴양촌을 화진포에 강제 이주시켰으며, 독일 건축가인 H.Weber가 1938년 건립하여 예배당으로 이용하였으며, 해안 절벽 위 송림속에 우아하게 자리한 모습에서 “화진포의 성”으로 불리워졌으며, 1948년 이후에는 북한이 귀빈 휴양소로 운영하였고, 당시 김일성과 그의 처 김정숙, 아들 김정일, 딸 김경희 등이 묵고간 적이 있어 지금까지 “김일성 별장”으로 널리 알려져 있음. “화진포의 성은” 당초 선교사 셔우드 홀 부부에 의해 1938년 독일 망명 건축가 베베가 건축하였으며, 한국전쟁 중 훼손된 건물을 2005년 3월 옛 모습으로 복원하였다. (안내문, 고성군청, 2011년)

<출처>

  1. 고성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