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금석문

경주 숭복사 쌍거북비석받침

국립경주박물관 야외에 전시되어 있는 경주 숭복사 쌍거북 비석받침이다. 이 비석받침은 경주시 외동읍 말방리 숭복사 절터에 남아 있던 것이다. 숭복사는 원성왕릉 원찰 역할을 했던 사찰로 <삼국유사>에 최치원이 비문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2마리의 거북이 비석을 받치고 있는 형태는 흔치가 않은데 왕실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경주 창림사지와 무장사지에 비슷한 형태의 거북받침돌이 있다고 한다.  높이 0.77 m, 너비 1.8 m 규모이다. 통일신라 전성기에 조성된 것으로 사실적이고 생동감이 넘치는 표현이 특징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숭복사 쌍거북 비석 받침(崇福寺雙龜跌), 경주 숭복사터, 통일신라 9~10세기>

OLYMPUS DIGITAL CAMERA<숭복사지비 조각, 896년, 경주 숭복사지>

OLYMPUS DIGITAL CAMERA<숭복사지비 조각, 896년, 경주 숭복사지>

두 마리 거북이 붙어 있는 이 비석받침은 경주 외동읍 말방리 숭복사 터에 있던 것입니다. <삼국유사> 원성왕(元聖王, 재위 785~798)의 능은 토함산 서쪽 골짜기 곡사(승복사)에 있는데 최치원이 지은 비문이 있다.’ 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로써 승복사는 원성왕의 명복을 빌어주던 원찰이라는 것과 그 곳에 있던 비문을 최치원이 지 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쌍거북 비석받침은 또 어디에 있을까요? 승복사 외 에도 경주 배리에 있는 창림사 터와 경주 암곡동 무장사 터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다른 비석과 달리 쌍거북 받침일까요? 그 이유는 자세히 알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한 가지 유추해 볼 수 있는 것은 이 세 절 모두 신라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입니다. 승복사는 원성왕 의 명복을 빌기 위한 절이고, 창림사 일대는 박혁거세가 세운 신라 최초의 궁궐터라고 알려져 있으며, 무장사는 태종무열왕이 삼국을 통일한 뒤 병기를 숨겼다는 전설이 서려있는 곳입니다. 아마도 신라 사람들은 왕실과 관련된 비석을 좀더 화려하게 꾸미고 싶지 않았을까요?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

 

서울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이다. 신라 진흥왕이 고구려, 백제와의 경쟁을 이기고 한강유역을 장악한 후 북한산을 방문하면서 그 내용을 새겨 놓은 것으로 황초령, 마운령, 창녕에 세운 비석과 함께 4개의 순수비(巡狩碑) 중 하나이다. 진흥왕의 영토확장에 대한 활약과 강력한 왕권, 당시의 관직제도와 인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원래 북한산 비봉에 있었는데 현재는 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비의 건립연대는 창녕 척경비가 건립된 561년과 황초령비가 세워진 569년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보3호01-20200212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국보), 삼국시대(신라) 진흥왕 16년(555), 서울 북한산 비봉>

북한산에 순행하다 ( 555년 10월(음) )
〔16년(555)〕 겨울 10월에 왕이 북한산(北漢山)에 순행(巡幸)하여 강역을 넓히고 경계를 정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 제4 진흥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비는 직사각형의 잘 다듬어진 돌로 만들었는데 현재 남아 있는 비몸의 크기는 높이 1.54 m, 너비 69 cm이다.

국보3호02-20200212
<옆쪽에서 본 모습>

국보3호03-20200212
<옆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뒤에서 본 모습>

진흥왕 순수비는 조선후기 순조 때(1816년) 추사 김정희가 발견하여 그 내용을 판독하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비에는 모두 12행으로 행마다 32자의 글자가 해서체로 새겨져 있다. 내용은 왕이 지방을 방문하는 목적과 비를 세운 까닭 등이 기록되어 있다.

국보3호07-20200212<비에 새겨진 글씨, 윗부분>

국보3호06-20200212<비에 새겨진 글씨, 아랫부분>

국보3호05-20200212
<비에 적혀 있는 글씨>

국보3호04-20200212
<비석 옆면에는 추사 김정희가 이 비석을 조사했다는 내용이 그의 필치로 새겨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비석이 있던 북한산 비봉>

OLYMPUS DIGITAL CAMERA<2014년 전시 모습>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차지한 후 이 지역을 둘러본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진흥왕의 영토 확장과 순수의 목적, 순수에 참여한 인물들을 기록하고 있다. 이 비는 원래 북한산 비봉에 서 있었으나 현재는 국보 제3호로 지정되어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져 여기에 전시되고 있다. 비가 있던 원래 자리에는 원형을 본뜬 모형이 세워져 있다. 이 비는 1816년 추사 김정희가 비봉에 올라 조사한 결과 진흥왕순수비라는 사실이 판명되었다. 이후에도 김정희는 다시 이 비를 찾아 조사하였는데 옆면에 그런 사실이 그의 필치로 새겨져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20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2020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 신라가 저수지를 쌓고 세운 비석

경북 영천시 도남동에 있는 청제비(보물)이다. 삼국시대 신라가 이곳에 청못이라는 저수지를 쌓으면서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운 비석이다. 직사각형 화강암 판석에 글자를 새겨 놓았는데 앞면에는 536년(신라 법흥왕 23)에 제방을 처음 쌓을 때 새긴 것이고 뒷면에는 798년(통일신라 원성왕 14) 제방을 수리하면서 새겼다. 내용은 비를 세운 연원일, 공사명칭, 규모, 내용, 동원된 인원수, 공사관계자 등이다. 비석에 새긴 내용으로 신라의 수리시설, 통일신라 행정체제, 공사 동원 방식 등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청제비 서쪽에는 1688년(숙종 14)에 세운 ‘청제중립비’가 세워져 있다. 비문에는 최일봉 등이 파손되어 흙 속에 묻혀 있던 것을 다시 세웠다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고대비석의 해독과 보존 등 금석학에 대한 큰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1-20200105<영천 청제비(보물)>

삼국시대에 세운 청제비와 그 옆에 조선후기에 청제비를 다시 세우면서 세운 청제중립비가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9-20200105청제비 앞면. 신라 법흥왕 때(536년) 이곳에 청못을 쌓으면서 그 경위 등을 새겨놓고 있다. 비석의 높이는 130 cm 정도이며 판석형태의 화강암을 사용하였다.

OLYMPUS DIGITAL CAMERA영천 청제비 탁본, 삼국시대(신라) 536년, 영천군 금호면 도남동,

영천 청제를 쌓아 저수지를 만들면서 세운 비석의 탁본이다. 비 높이는 130 cm 정도이며 화강암을 가공하여 만들었다. 비의 양면에 각각 다른 시기에 기록한 내용이 담겨 있다. 앞면에는 병진년인 법흥왕 23년(536)에 처음으로 청제를 건립하면서 기록한 내용이 있는데, 비를 세운 연월일, 공사명칭, 규모, 동원한 인원수, 공사관계자 등이 기록되어 있다. 뒷면에는 정원貞元 14년인 원성왕 14년(798)에 청제를 새로이 수리한 내용이 담겨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2-20200105청제비 뒷면. 통일신라 원성왕 때(798년) 무너진 청못을 수리하면서 그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8-20200105청제중립비. 조선후기 숙종 때(1688년) 지역 선비들이 땅속에 묻혀 있던 옛 비석의 내용을 확인하고 수리하여 다시 세웠다는 내용이 적혀있다. 당시 지식인들의 금석학에 대한 큰 관심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3-20200105청제중립비 뒷면.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7-20200105옆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비각 바깥쪽에서 본 모습.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5-202001052기의 비석은 원래 다른 위치에 있었는데 지금은 청못 앞 한쪽편 비각에 보관되어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517호 04-20200105영천 청못. 삼국시대에 처음 세워진 인공 저수지로 그 규모나 형태는 바뀌었지만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영천 청제비, 보물 517호, 경북 영천시 도남동
이 비는 신라시대 청못이라는 저수지 수축과 관련 있는 양면비이다. 비는 화강암의 자연 판석으로 장방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크기는 높이 114 cm, 폭 94 cm, 두께 16 cm이다. 비면에는 행간이나 윤곽선은 없고 양면을 가공하여 글자를 새겼는데 그 양면의 비문은 각기 다른 연대와 내용을 담고 있다. 비의 한면은 병진년 (법흥왕 23년, 536년)의 간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을 처음 축조한 기념으로 새긴 것이다. 다른 면은 정원 14년(원성왕 14년, 798년)의 절대 연대가 적혀 있는 것으로 청못의 일부 무너진 둑을 다시 수리한 사실이 적혀 있다. 이러한 비문 내용은 신라시대 벼농사 및 수리시설과 관련이 있는 점에서 그 가치를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청제비 서쪽에 숙종 14년(1688)에 세워진 청제중립비가 있다. 비문에 의하면 효종 4년(1653)에 비가 두 동강이 나서 땅속에 매몰되어 그 고적이 전하지 못하게 된 것을 안타깝게 여긴 세사람이 다시 세웠다는 내용을 적고 있다. 위의 비문들은 1960년 12월 신라 삼산학술조사단에 의해 처음 발견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안내문, 영천시청, 2020년)

<출처>

  1. 안내문, 영천시청, 2020년
  2.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4년
  3.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0년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0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비화가야 점령을 기념하여 세운 비석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에 있는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이다. 신라가 창녕지역을 편입한 이후 진흥왕이 이 곳을 다녀간 후 세운 기념비이다. 비석은 자연석 앞면에 비문을 새겨두고 있다. 앞부분은 닳아서 잃을 수 없지만 뒷부분은 글자가 선명하게 남아 있어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비문의 내용은 다른 순수비처럼 이 지역을 점령하여 영토를 확장한 사실, 통치이념 등이 적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후반부에는 수행하던 신하의 명단이 나열되어 있어 당시의 행정조직, 신분제 및 사회조직을 파악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비문 내용중에 ‘순수관경(巡狩管境)’이라는 제목이 보이지 않아 단양 적성비와 함께 척경비로 일컫고 있으나, 비분의 내용과 성격 등을 고려해 볼 때 북한산, 마운령, 황초령의 순수비와 동일한 성격으로 보는 의견이 많다. 이 척경비를 세운 시기는 대가야를 멸망시키기 1년 전으로 대가야로 진출하기 위한 교두보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창녕 도심 만옥정공원에 있는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신라 진흥왕이 비화가야를 영토에 편입시킨후 이 지역을 다녀간 후 기념으로 남긴 비석이다. 원래 화왕산성 아래 산기슭에 있던 비석을 발견한 후 이곳으로 옮겼다.

SANYO DIGITAL CAMERA비석은 높이 1.8 m 정도의 큰 돌에 글자를 새겼는데 마멸이 심한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글자를 선명하게 남아 있는 부분이 많다.

SANYO DIGITAL CAMERA글자가 선명하게 남아 있는 부분. 진흥왕을 수행했던 인물들의 관직과 이름 등이 남아 있어 당시의 행정조직 등을 밝혀주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창녕 척경비 탁본, 중앙박물관특별전, 2011년>

SANYO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뒷면에는 글자가 새겨져 있지 않다.

SANYO DIGITAL CAMERA비석이 있는 창녕 만옥정공원. 화왕산 등산로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도심공원으로 신라 진흥왕 척경비(국보 33호)를 비롯하여 통일신라 때 만든 삼층석탑, 창녕객사, 창녕 척화비 등 문화재가 공원내에 있다.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국보 33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동
이 비는 삼국시대 신라 진흥왕(540~576, 재위)이 세운 기념비이다. 흔히 순수비로 통칭되나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에 있는 순수비처럼 순수관경이란 말이 없고 다만 왕이 새 점령지를 다스리는 내용과 이에 관련된 사람들을 열거했으므로 따로 척경비라 일컫는다. 단양 적성의 진흥왕비와 비의 성격이나 형태가 거의 비슷하다. 비문 첫머리의 “신사년 2월1일 입”은 진흥왕 22년(561)으로 추정되어 기존 3개의 순수비보다 수년 앞서 건립했음을 알 수 있다. 매끄러운 화강암의 자연판석을 약간 다듬어 비문을 새겼으며 개석이 없고 인명과 관등의 표기 방식이 독특하며 고졸한 해서체 등을 지녀 신라 비석 중 가장 오랜 형식을 보여준다. 전문 642자 가운데 400자 정도가 판독되었다. 앞 부분은 마멸이 심하고, 뒷 부분은 관련인사가 나열되어 있다. 모두 27행인데 대개 한 줄에 26자씩 적었고 끝 줄은 3자이다. 돌의 크기는 높이 178 cm, 폭 175 cm, 두께 약 30 cm이다. 본래 화왕산 기슭에 있었던 것을 1914년 발견하였고, 1924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안내문, 창녕군청, 2010년)

<출처>

  1. 안내문, 창녕군청, 2010년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
  3.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 ‘의좋은 형제’ 일화의 배경이 된 비석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옛 대흥관 관아 앞에 세워져 있는 ‘이성만 형제 효제비’이다. 이 비석은 인근 ‘개방이다리’ 옆에 있었는데, 예당저수지가 생기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예전 초등학교 교과서에도 실렸고, 농심라면 광고 모티브로 사용되었던 ‘의좋은 형제’ 이야기의 배경이 되었던 일화가 비석에 새겨져 있다. 대흥호장이었던 이성만.순 형제의 우애와 효행을 비석에 새겨 후세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도록 연산군 때 조정에서 비석을 세웠다고 한다.

대흥군(大興郡)은 충남 예산군 대흥면.응봉면.광시면.신양면 일대에 있었던 옛 조선시대 군현이다. 삼국시대 백제 임존성이 있었던 지역이며, 고려는 대흥군을 두었다. 조선 태종 때 현감이 고을 수령인 대흥현이 되었다가 숙종때 대흥군으로 승격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예산군 대흥면 소재지 옛 대흥군 관아 앞 공원에 세워져 있는 효제비. ‘의좋은 형제’ 일화의 배경이 되었던 비석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비석에는 총 171자의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두 형제의 우애와 효행과 관련된 내용이 적혀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농심라면 광고와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던 일화가 너무 잘 알려져 있어 이곳에 조성된 공원을 ‘의좋은 형제 공원’이라 부르며, 일화와 관련된 조형물이 세워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옛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렸던 내용

OLYMPUS DIGITAL CAMERA옛 대훙군 관아. 대흥군수가 근무했던 동헌 건물과 아문이 남아 있다.

예산 이성만 형제 효제비, 충남 예산군 대흥면 동서리, 1497년
이 비는 1978년, 의좋은 형제 이야기의 무대였던 충남 예산군 대흥면 상중리 ‘개방이다리’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그러나 예당저수지로 인한 수몰 위험이 있어, 현 위치로 옮겼다. 이 비가 발견되어 의좋은 형제 전설을 증명하게 되었다. 다음은 철저한 현장 조사와 기왕의 탁본을 토대로 작성한 비문에 따른 번역문이다. 판독된 비문은 이두, 속자(俗子), 고자(古字), 첩자기호등을 포함하여 총 171자이다.

영락 16년(1418) 11월 3일, 지신사 하연이 삼가 왕지를 받들어 ‘의리가 있는 남자와 절개가 있는 여자, 효성스런 아들과 손자를 찾아보고 보고할 일’로 각도에 공문서를 보낸 일이 있다. 충청도 대흥호장 이성만, 이순 등은 부모가 살아 계실 적에 맛있는 음식을 장만하여 봉양하고, 봄과 가을로 부모가 사랑하는 친구과 친척들에게 술과 안주를 대접해서 부모의 마음을 기쁘게 하였다. 부모가 돌아가신 뒤에는, 형은 어머님의 무덤을 지키고 동생은 아버님의 무덤을 지키면서, 아침에는 형이 아우의 집에 이르고, 저녁에는 아우가 형의 집에 나아가되 아침과 저녁으로 서로 맞찹고 같이 밥을 먹었고, 한가지 만난 것을 얻으면 모이지 않고서는 먹지 않았다고 임금꼐 상신을 올려 보고 드렸다. 앞서 효자 대흥호장 이성만, 이순 등을 임금께서 궐내로 불러 정표문려하시고, 자자손손에 이르기까지 조심하고 삼가고 지켜서 가품을 떨어뜨리지 말고 더욱더 힘쓰라 하시고, 영세토록 전하는 교훈이 되게 하셨다. 홍치 10년(1497) 정사 2월 세우고 표하다. (안내문, 예산군청, 2010년)

<출처>

  1. 예산군청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