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당간지주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국보)

충북 청주시 상당군 남문로에 있는 용두사지 철당간(국보)이다. 이 당간은 밑받침돌과 당간지주, 철당간이 온전히 남아 있어 오래된 사찰에서 볼 수 있는 당간지주의 옛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기둥은 원통모양의 철동 20개가 서로 맞물리도록 쌓아 당간을 이루게 했으며 당간지주 윗부분에는 고정장치를 두어 당간를 잡아매고 있다. 철통은 원래 30개였는다고 한다. 3번째 철통에는 이 철당간을 세우게 된 내력을 글로 적어놓고 있다.

철당간이 있는 이곳은 고려시대 용두사라는 사찰이 있던 곳이다. 금속활자를 만들었던 흥덕사나 많은 금속공예 유물들이 출토된 사뇌사 절터가 인근에 있어 이 지역은 예로부터 금속공예가 발달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말 전쟁 등으로 폐허가 되면서 이곳에 관아가 자리잡은 것으로 보인다. 청주 도심 중심지로 청주목 관아와 충청병영이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있었다. 절터는 그 흔적은 찾아볼 수 없고 철당간만이 절터임을 말해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국보)>

당간은 사찰입구 또는 불전 앞에 괘불이나 깃발을 거는 곳을 말한다. 많은 사찰 입구에는 철당간을 세웠던 당간지주가 남이 있지만 철당간은 이곳 청주를 비롯하여 계룡산 갑사, 안성 칠장사에만 남아 있다. 이곳에서는 당간지주에 철당간이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철당간과 당간지주>

OLYMPUS DIGITAL CAMERA<철당간을 받치고 있는 바닥돌>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당간지주>

철당간은 원래 30개의 철통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현재도 20개의 철통이 남아 있다. 철동은 아래위가 서로 맞물리도록 쌓아 당간을 이루게 했다.

OLYMPUS DIGITAL CAMERA<철당간>

OLYMPUS DIGITAL CAMERA<철당간(아래쪽)>

밑에서 세 번째의 철통에 <용두사철당기>가 새겨져 있다. 내용은  “962년 청주 호족 김예종이 병에 걸리자 철당간을 바쳐 절을 장엄할 것을 맹세하며 사촌형 희임 등과 함께 철통 20단을 주조하여 높이 60척의 철당을 세운다.”라 적혀 있다.  ‘준풍3년’이라는 광종의 독자적인 연호와 함께 청주호족과 관련된 내용이 있어 고려초기 지방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OLYMPUS DIGITAL CAMERA<글자가 새겨진 부분>

OLYMPUS DIGITAL CAMERA
<뒷면>

용주사지 철당간이 있는 이곳은 지금도 청주지역의 행정과 상업의 중심지로 오가는 사람들로 번화한 지역이다. 청주지역에서는 돛대와 같은 의미를 갖고 있어 홍수를 예방할 수 있게 해 준다는 설화가 있어서 도심에 있지만 오늘날까지 훼손되지 않고 보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용주사지 철당간이 있는 청주 도심>

OLYMPUS DIGITAL CAMERA<반대편에서 본 모습>

용두사지 철당간, 국보, 충북 청주시 상당구 남문로
당간은 사찰 앞에 세워 사찰을 알리는 깃발을 달았던 것이다. 신라와 고려시대에 사찰의 건립과 함께 많은 수의 당간이 세워졌으나, 현재는 대부분 당간을 받치고 있던 지주만이 남아 있다. 철당간이 서 있는 곳은 고려시대 청주의 대표적인 사찰이었던 용두사가 있던 자리이다. 이 당간은 화강석으로 지주를 세우고 그 사이에 둥근 철통 30여개를 연결하여 세운 것인데, 현재는 20개만이 남아 있다. 이 중 밑에서 세 번째의 철통에 <용두사철당기>가 새겨져 있다. 명문이 새겨진 철당간으로는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것이다. 철당기에는 당간을 세우게 된 내력과 건립연대, 그리고 건립에 관여한 사람들의 관직명이 적혀 있다. 당시 지방경영과 관련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철당기의 끝에는 ‘준풍 3년’(962년)에 주성하였다고 하여, 고려 광종 때 사용했던 독자 연호를 실물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안내문, 청주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청주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보물)

경북 경주시 보문동 절터에 남아 있는 연화문 당간지주(보물)이다.  이 당간지주는 보문사 금당터가 있는 중심영역에서 북쪽으로  50 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전체적인 모양은 가운데 부분이 두드러진 형태이며 윗부분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다. 특히 지주 윗부분에 네모난 틀을 두고 그 안에 연꽃잎을 새겨 놓고 있다. 이런 형태의 당간지주는 다른 사찰 당간지주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이다. 보문사 절터에는 현재 2개의 당간지주가 남이 있어 별개의 사찰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는데 확인되지는 않았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보문사지 연화문 당간지주(보물)>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연화문>

보문동 일대는 신라를 건국한 경주 6촌 중 명활산 아래에 자리잡고 있던 명활산 고야촌이 있던 지역이다. 신라가 6촌을 6부로 개편할 때 습비부가 되었으며 설(薛)씨 성을 받았다고 한다. 원효대사가 설씨를 대표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설총이 묻혔다고 전해지는 무덤이 마을에 남아 있다. 설씨 집안이나 원효대사와 관련된 사찰로 추정할 수도 있지만 확인되지 않았다.

OLYMPUS DIGITAL CAMERA<보문사지 절터>

경주 보문사지(普門寺址) 연화문(蓮華文) 당간지주(보물),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752-1
당간(幢竿)은 절에서 불교 의식이 있을 때 불(佛)·보살(菩薩)의 공덕을 기리거나 마귀를 물리칠 목적으로 달았던 당이라는 깃발의 깃대를 말하며, 이 당간을 받쳐 세우는 돌기둥을 당간 지주라 한다. 이 기둥은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로 높이는 146cm이다. 기둥의 아랫부분이 상당히 매몰되어 있어 간대나 기단부의 구조를 확인 할 수 없다. 현재까지 원위치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동서로 62cm정도의 간격을 두고 두 개의 기둥이 서로 마주 보고 있다. 기둥의 안쪽 윗부분에 있는 너비 13cm의 큼직한 구멍은 당간을 고정시켰던 장치이다. 특히 이 당간지주의 윗부분 바깥 측면에 설정된 방형구획 안에는 지름 47cm의 팔엽 연화문이 조각되어 있다. 이 당간지주의 원래 소속사원이 동남쪽에 터가 남아 있는 보문사 였는지는 알 수 없다. 제작연대는 8세기 중엽 이후로 생각되며,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 중에서 가장 특수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 점에서 주목 되는 작품이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위키백과, 2021년

남원 만복사지 당간지주(보물)

전북 남원시 왕정동 만복사지 절터에 남아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절터 입구에 동.서로 마주보고 서 있다. 현재 아래부분과 기단이 땅속에 묻혀 있어 전체적인 모습을 볼 수 없지만 전체 높이 5 m정도로 당간지주 중에는 상당히 큰 편이다. 전체적으로 별다른 장식이 없으며 조각수법도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전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만복사지 절터 입구에 세워져 있는 당간지주(보물)

SANYO DIGITAL CAMERA
당간지주는 아랫부분과 기단이 땅에 묻혀 있어 전체모습을 알 수 없다. 전체적으로 투박한 편이며 조각수법이 세련되지 못하다.

SANYO DIGITAL CAMERA
옆쪽에서 본 모습

만복사지 당간지주, 보물 32호, 전북 남원시 왕정동
당은 절에서 행사를 치를 때 문 앞에 내걸던 일종의 깃발로, 거기에는 부처의 공덕을 기리는 그림을 그렸다. 당간지주는 이러한 깃발을 받치기 위해 세운 버팀기둥이다. 기둥에는 위.아래에 구멍을 뚫어 깃대를 받쳐주는 빗장을 끼웠다. 이 당간지주는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커다란 돌을 아무런 꾸밈없이 거칠게 다듬어 육중하면서도 소박한 멋을 풍긴다. 흙에 묻힌 받침부를 고려하면 전체 높이는 5 m 정도일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큰 규모의 당간지주에서 그 옛날 웅장했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안내문, 남원시, 2010년)

 

  1. 안내문, 남원시청, 2010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년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보물)

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사 입구에 세워져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높이 3.5 m의 지주가 남북으로 마주보고 있다. 기단은 단층이며, 기단 위 당간을 세우는 받침에는 기둥과 둥근 형태의 무늬를 새겨 놓고 있다. 지주의 안쪽에는 조각이 없는 반면 바깥쪽에는 세로띠를 돋을새김으로 장식해 놓고 있으며,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멍을 3곳 뚫었는데 통일신라 전성기 양식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 한다. 기단부와 당간받침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 작품으로 장식은 거의 없지만 전체적으로 조각수법과 조형미가 뛰어나다. 통일신라 전성기 8세기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금산사 입구에 세워져 있는 당간지주(보물). 통일신라 전성기 때 조성된 것으로 조각수법이나 조형미가 뛰어나다.

SANYO DIGITAL CAMERA당간지주 기단과 받침. 기단은 1층이며 받침에는 기둥고 둥근 꽃무늬를 새겨놓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모습. 세로로 기둥모양을 돋을새김해 놓았다. 다른 당간지주에 비해 조각수법이 양호한 편이다.

SANYO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모습

당간지주, 보물 28호
당간지주는 사찰을 상징하는 깃발이나 괘불을 세울 때 버팀목으로 사용하는 석조물이다. 이 지주는 높이가 3.5 m이며 양 지주가 남북으로 상대하여 있다. 기단석과 간대를 완벽하게 구비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당간지주이다. 양 지주의 각면에 장식된 조각기법이 현저하게 두드러지며 한국 당간지주 가운데 가장 완벽한 형식을 갖추고 있다. 석력대, 석종, 석탑, 석등은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유물들인데 이 당간지누는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 후반에 건립된 것으로 보고 있다. (안내문, 김제 금산사, 2009년)

<출처>

  1. 안내문, 김제 금산사, 200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부석사에 있는 당간지주(보물)이다. 부석사를 오르는 은행나무길이 끝나는 지점에 세워져 있다. 깃발을 다는 장대를 지탱해 주는 높이 428 m의 돌기둥이 1 m 간격으로 세워져 있다. 기둥 사이에는 연꽃장식이 있는 당간을 받치는 받침돌이 있다. 외형이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간결하면서 세련된 조형미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적인 외형이나 조각수법 등을 고려해 볼 때 통일신라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20221029_04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OLYMPUS DIGITAL CAMERA<2개의 당간지주 사이에 있는 당간을 받쳤던 받침돌>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20221029_03<뒤에서 본 모습>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보물) 20221029_02<옆에서 본 모습(서쪽)>

SANYO DIGITAL CAMERA<옆에서 본 모습(동쪽)>

OLYMPUS DIGITAL CAMERA<2017년 겨울>

SANYO DIGITAL CAMERA<2009년 가을>

부석사 당간지주, 보물 255호
절에 법회나 기도 등의 행사가 있을 때 절의 입구에는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깃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기둥의 높이는 428 cm이며, 마주보는 안쪽 측면과 바깥쪽 측면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앞면과 뒷면에는 3줄의 세로줄이 새겨져 있다. 당간지주 윗부분 안쪽에는 깃대를 단단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네모모양의 홈이 파여 있다. 기둥 사이에 놓인 정사각형의 받침돌 위에는 연꽃을 조각하고 중앙에는 직경 30 cm의 구멍을 뚫어 당간의 밑면을 받칠 수 있게 하였다. 대체로 가늘고 길면서도 안정감을 주며, 꾸밈을 두지 않아 소박한 느낌을 주는 지주이다. 간격하고 단아한 각 부분의 조각기법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 9세기 전후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부석사, 2017년)

<출처>

  1. 안내문, 영주 부석사,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