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대웅전

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에 있는 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이 사찰의 주불전으로 석가삼존불을 모시고 있다. 조선중기 인조 2년 흥국사가 중건될 때 새로 지어졌는데 동시대를 대표하는 불전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앞면 3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내부는 우물천장을 하고 있으며 불상을 모신 자리에는 닫집을 만들어 놓았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장엄한 분위기를 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여수 흥국사 대웅전(보물). 앞면 3칸 규모로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장엄한 느낌을 주고 있는 조선중기 이후 불전 형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현판. 공포는 기둥 사이에 3구의 공포를 배치하여, 겹처마와 함께 화려하게 보이도록 하고 있다. 기둥에는 용머리를 장식해 놓았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문살.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뒷면.

OLYMPUS DIGITAL CAMERA내부에는 석가삼존불(보물 1550호)를 모시고 있으며 뒷면는 영산회상을 표현한 후불탱화(보물 578호)가 있다. 불단 위에는 닫집을 두어 장엄함을 더해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을 오르는 계단.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앞 석등.

흥국사 대웅전, 보물 396호
1624년(인조 2년) 계특대사가 절을 다시 세울 때 지은 건물로 석가 삼존불을 모시고 있는 절의 중심 법당이다. 내부 중앙 불단에는 석가모니불을 본존으로 하여 좌우에 협시보살을 모셨고, 불단 뒷벽에는 흙벽에 바른 한지 위에 백의관음반가상을 그려 모셨다. 외부의 기단과 갑석에는 게와 거북이를 새겼다. 법당 앞에 거북이 등에 올라 있는 형상의 석등은 법당이 중생이 깨달음을 얻어 극락정토를 향해 타고 가는 배(반야용선)라는 의미를 표현하고 있다. 조선 중.후기의 대표적인 대웅전 건물의 하나로서, 내부 공간의 확장 기법을 선구적으로 도입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전체적으로 장중하고 호방한 느낌을 주면서도 조각, 단청 등 세세한 부분에서는 섬세하게 표현하고 있는 점도 눈길을 끈다. (안내문, 여수 흥국사, 2012년)

  1. 안내문,여수 흥국사,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부산 범어사 대웅전(보물)

부산시 금정구 청룡동에 범어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모시고 있는 불전이다. 현재의 건물을 조선후기 숙종 때 크게 중창하였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에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기둥 위의 장식과 처마의 구조가 섬세하고, 화려하지 않지만 섬세한 문살을 두고 있다. 건물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화려하면서도 중후한 느낌을 주고 있다.

부산 금정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범어사은 신라 의상대사가 창건한 화엄십찰 중 하나이나이다. 삼국시대 신라를 괴롭히던 왜(倭)를 물리치고 했던 소망이 담긴 전형적인 호국사찰이다. 임진왜란 때 폐허가 되었던 것을 광해군 때부터 중창하였으며, 정조 때 백암선사가 크게 중건하여 오늘날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경내에는 대웅전(보물), 삼층석탑(보물), 조계문(보물)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범어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 영주 부석사와 마찬가지 경사진 지형에 단계적으로 전각을 배치하고 있는데, 사실상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은 앞면 3칸 규모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낮은 기단위에 건물을 올려 놓고 있는데 전체적으로 중후하면서 화려한 느낌을 준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 기단과 돌계단.

OLYMPUS DIGITAL CAMERA화려단 다포계공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기둥 위의 장식이나 공포 등을 만든 솜씨가 섬세하면서 뛰어나다.

OLYMPUS DIGITAL CAMERA가운데 문 안쪽으로 보이는 불전 내부.

OLYMPUS DIGITAL CAMERA양쪽 옆칸에는 3분합문을 사용하고 있다. 문살은 빗살무늬를 사용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앞 공간. 축대를 쌓아 인공적으로 공간을 조성하고 있는데 비교적 넓게 만들었다.

부산 범어사 대웅전, 보물 434호, 부산 금정구 청룡동
이 건물은 신라 화엄 10찰의 하나인 범어사의 중심건물이다. 이 곳에는 본존불인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왼쪽의 미륵보살과 오른쪽의 제화갈라보살의 삼존을 모시고 있다. 대웅은 부처님의 덕호이며, 대웅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봉안한 곳이다. 범어사라는 이름은 창건설화에 따르면 신라 흥덕왕이 왜구의 침입을 걱정하고 있을 때, 꿈에 신이 나타나서 의상대사를 불러 금정산에 가서 화엄신중을 외우고 기도하면 왜적을 물리칠 수 있다고 하자, 왕이 그렇게 하여 왜적을 물리쳤다는 데서 유래한다고 한다. 대웅전은 678년(문무왕18) 창사때 건립되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존하는 건물은 1614년(광해국6)에 묘전화상이 건립한 것으로 1713년(숙종 39)에 홍보화상이 다시 건축한 것이다. 내부의 불단, 닫집, 삼존불상은 묘전화상이 다시 건축할 때 조성한 것이며, 불상에 다시 금칠을 입힌 것은 1824년경 혜민대사가 하였다고 한다. 이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공포는 다포양식이며, 처마는 겹처마이고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건물은 규모가 크지 않지만, 기둥 위의 장식과 처마의 구조가 섬세하고 아름다워 조선 중기 목조건물의 좋은 표본이 된다. 정면의 아담한 빗살 창호와 닫집의 섬세한 (안내문,부산 범어사, 2011년)

<출처>

  1. 부산 범어사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상로전 영역 주불전

경남 양산시 영축산 통도사 경내에 있는 대웅전(국보)이다. 상로전 영역이 주불전이자, 통도사에서도 중심이 되는 공간이다. 건물 뒷편에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을 두고 있어 대웅전에는 불상을 따로 모시지 않는다. 삼국시대 신라 선덕여왕 때 처음 지어졌다고 하며, 여러차례 중수와 중건을 거듭해 왔다. 현재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것을 조선후기 인조 때 새로 지은 것이다.

양산 통도사는 우리 나라 3대 사찰 중 하나로 손꼽히는 큰 절로, 신라 선덕여왕 때 (646년)에 자장율사가 세웠다. 불보(佛寶) 사찰로도 불리는 통도사는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적멸보궁이 있는 대표적인 사찰이다. 또한 최초로 대장경을 봉안한 사찰로도 알려져 있다. 사찰내에는 석종형 탑인 금강계단과 대웅전(국보)를 비롯하여 많은 불전들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양산 통도사 대웅전(국보).

대웅전은 앞면 3칸, 옆면 5칸으로 ‘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잘다듬은 화강석으로 쌓은 가구식 기단 위에 건물을 올렸는데 통일신라 건축 양식이 많이 남아 있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다포계 양식을 하고 있다. 금강계단을 향하는 앞면 3칸으로 좁게 만들었으며, 불이문을 들어섰을 때 보이는 옆면을 5칸으로 만들어 각방향에서 볼 때 정면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동쪽에는 ‘대웅전’, 남쪽에는 ‘금강계단’, 서쪽에는 ‘대방광전’, 북쪽에는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다른 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의 건물로 석가모니 진신사리를 모신 통도사의 위상을 잘 보여주는 불전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은 잘다듬은 화강석을 짜맞춘 가구식 기단을 사용하고 있는데, 연꽃무늬 등을 새겨놓고 있다. 통일신라 건축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남쪽편 돌계단과 기단.

OLYMPUS DIGITAL CAMERA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다포계 양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화려한 단청으로 장식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쪽편 가운데는 4분합문을, 양쪽에는 2분합문을 사용하고 있다. 문살은 격자무늬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동쪽은 2분합문을 사용하고 있으며, 격자무늬 문살과 꽃무늬 문살이 섞여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내부에는 불상을 모시지 않고 있으며 신도들이 기도를 올리거나 공식적인 행사를 진행하는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불이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동쪽편. ‘대웅전’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SANYO DIGITAL CAMERA남쪽편에서 본 모습. 팔작지붕의 옆면처럼 보이며 ‘금강계단’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서쪽편에서 본 모습. ‘대방광전’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다.

SANYO DIGITAL CAMERA북쪽편 금강계단 옆에서 본 모습.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으며, 팔작지붕 건물의 정면처럼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북쪽편 금강계단과 대웅전 건물 사이 공간.

SANYO DIGITAL CAMERA금강계단은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탑이자 승려가 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수계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넓게 만든 2층 기단 위에 진신사리를 모신 석종형 탑을 올려 놓았다. 기단의 바깥에는 불법을 수호하는 천인상, 신장상 등 다양한 조각상이 새겨져 있다.

SANYO DIGITAL CAMERA중로전 출입문인 불이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상로전 영역. 웅장한 대웅전 건물이 불보사찰의 장엄함을 더해주고 있다. 대웅전 앞에 놓여진 석탑은 장식적인 효과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대웅전 및 금강계단, 국보 290호
대웅전은 상로전 영역의 중심건물이자 통도사를 대표하는 목조 건축물이다. 건물 뒤쪽에 자장율사가 가져온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이 있어 내부에는 불상을 따로 봉안하지 않은 것으로 유명하다. 646년(신라 선덕여왕 15)에 처음 지은 후 수차례 중건과 중수를 거듭했으며,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44년(인조 22)에 우운대사가 고쳐 지은 것이다. 대웅전은 두개의 건물을 복합시킨 형태로 내부이 기둥 배열이 다른 건물과는 다른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지붕은 ‘丁’자형을 이루고 있어 앞면과 뒷면, 옆면이 모두 정면처럼 보인다. 대웅전에는 건물의 다양한 성격을 반영하듯 동쪽에는 대웅전, 서쪽에는 대방광전, 남쪽에는 금강계단, 북쪽에는 적멸보궁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특히 금강계단의 글씨는 흥선대원군의 친필로 유명하다. 금강계단은 승려가 되는 과정 중 가장 중요한 수계(受戒) 의식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계단 가운데는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시기 위해 종모양의 석조물을 마련하였는데, 이는 부처님이 항상 계시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안내문, 양산 통도사, 2017년)

<출처>

  1. 양산 통도사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산 수덕사 대웅전(국보), 고려시대에 지어진 목조건축물

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에 있는 수덕사 대웅전(국보)이다. 1937년 해체.수리 과정에서 발견된 묵서에 따르면 1308년(고려 충렬왕 34)에 처음 지어졌다. 고려시대에 만든 건축물로 당시의 건축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는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부석사 무량수전, 봉정사 극락전과 함께 가장 오래된 목조 건축물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특히 수덕사는 충청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백제의 건축양식이 많이 남아 있다고 한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4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으며, 지붕 위에만 공포를 올린 주심포 양식을 하고 있다. 기둥은 가운데 부분이 볼록한 배흘림을 사용하고 있어 안정감을 주고 있다. 건물 앞면에는 빗살문을 달았으며, 뒷편에는 양쪽에 창을 설치하고 가운데에는 판문을 달았다. 건물 내부에는 봉정사 극락전처럼 전돌을 깔았었는데 지금은 마루로 바뀌었다. 천장은 서까래가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을 사용하고 있다.

예산 수덕사(修德寺)는 덕숭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는 사찰로 백제 때 처음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근에 절터가 남아 있는 화엄십찰 중 한곳인 보원사가 고려중기까지는 지역의 중심 사찰이었는데, 고려말 큰 영향력이 있었던 나옹선사가 수덕사를 크게 중창하면서 지역의 중심 사찰로 자리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현대불교에서도 조계종 내 큰 영향력이 있는 사찰로 주변 사찰들을 말사로 거느리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예산 수덕사 대웅전(국보).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로 손꼽히는 건물이다.

SANYO DIGITAL CAMERA건물은 앞면 3칸, 옆면 4칸의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기둥은 가운데가 볼록한 배흘림을 주고 있어 시각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앞쪽에는 빗살문을 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뒷면에는 양쪽에 창문을 두고 있으며 가운데에는 판문이 있다. 벽면에는 원래 불화가 그려져 있었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지붕을 받치는 공포를 기둥 위에만 두고 있는 주심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고려시대 건축양식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옆면에서 본 지붕을 받치는 공포. 맞배지붕 건축물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겹처마를 하고 있는 서까래.

SANYO DIGITAL CAMERA정면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왼쪽편 앞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앞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덕숭산 중턱에 축대를 쌓고 그 위에 사찰을 세웠다. 경내에서 내려다 보이는 주변 경치가 아름답다.

수덕사 대웅전, 국보 49호, 고려시대, 충남 예산군 덕산문 사천리
백제시대 사찰인 수덕의 창건에 관한 정확한 문헌 기록은 현재 남아 있지 않으나, 학계에서는 대체로 백제 위덕왕 재위 시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석가.아미타.약사 삼존불을 모신 이 대웅전은 1937년 수리공사 때 발견된 묵서의 내용으로 보아 1308년 (충렬왕34)에 건립되었다. 건축은 고려시대에 유행한 주심포 양식이고, 정면3칸. 측면4칸 규모의 맞배지붕이다. 바른 돌쌓기 형식의 기단에 사각형의 자연석으로 기둥 놓을 자리를 북돋게 조각한 주춧돌을 놓았고, 그 위에 배흘림 기둥을 세웠다. 정면의 각 칸에는 섬세한 빗살 3분 합문이 있고, 측면에는 맨 앞쪽에 출입문을 설치하였다. 뒷면에는 각 칸에 문을 장식하고 있지만 중앙 칸에만 문을 달았다. 외부에 노출된 가구는 나무가 간직하고 있는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며, 측면 맞배지붕의 선과 노출된 목부재의 구도는 아름다움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건축된 연대가 확실하고, 조형미가 뛰어난 점으로 한국 목조 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건물이다. (안내문, 예산군청, 2012년)

<출처>

  1. 예산군청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4. 두산백과

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조선후기 다포계 양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는 불전

전남 순천시 선암사 주불전인 대웅전(보물)이다. 석가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강당건물인 만세루와 마주보고 있다. 대웅전 앞 마당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동.서삼층석탑이 나란히 세워져 있다. 건물은 정유재란을 비롯하여 여러차례 전란과 화재 등으로 불타버린 것으로 19세기에 새로 지은 것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으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공포를 만드는 수법이 섬세하면서도 화려하며 장식성이 돋보이는 건축물이다.

선암사(仙巖寺, 사적 507호)는 조계산 동쪽 기슭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로 서쪽 기슭에 위치한 송광사와 쌍벽을 이루는 큰 사찰이다. 신라의 아도화상이 창건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9세기말 도선(道詵)이 창건하였다. 고려 때 대각국사 의천(義天)이 선암사를 크게 중건하면서 큰 사찰로 자리잡았다. 지금도 태고종을 대표하는 중심사찰 역할을 하고 있다. 사찰내에는 삼층석탑(보물), 승선교(보물), 북승탑(보물), 동승탑(보물) 등 많은 문화재들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순천 선암사 대웅전(보물). 구한말인 19세기에 중건된 불전 건물로 전통적인 조선후기 불전양식을 잘 따르고 있다. 화려하면서도 장엄한 느낌을 준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은 앞면 3칸, 옆면 3칸 규모이다. 겹처마에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현판. 지붕을받치는 공포와 겹처마를 장식했던 단청의 색깔이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건물을 세운 기단.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대웅전.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내부. 석가모니를 모시고 있으며, 닫집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닫집대신 층단을 이룬 우물천장으로 장엄하게 장식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이 있는 선암사 중심영역. 불전 앞 마당에는 2기의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으며, 앞쪽에는 강당인 만세루를, 양쪽에 요사채를 배치하고 있다.

순천 선암사 대웅전, 보물 1311호, 전남 순천시 승주읍 선암사길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주존불로 모신 건물이다. 이 대웅전은 임진왜란 때 불탔던 것을 현종 원년(1660)에 다시 지었고, 영조 42년(1766)에 또 화재를 만나 없어졌다가 순조 24년(1824)에 또다시 지어 오늘에 이른다.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집으로 기단을 기둥 면석 감돌로 조립하고 그 위에 다시 주춧돌을 놓아 민흘림 두리기둥을 세웠다. 기둥 위로는 창방과 평방을 두었고 그 위로 공포를 짜 올렸는데 출목 수는 밖 3출목, 안 4출목으로 그 모습이 장중하고 화려하다. 내부는 층단을 이룬 우물천장으로 장엄하게 단장되었으며 단청도 비교적 선명하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