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충주 충주댐, 남한강을 막아 조성한 국내 최대 규모의 다목적댐

충북 충주시 종민동과 동량리에 있는 충주댐이다. 남한강 중류 충주시 종민동과 동량면 사이 협곡을 막아서 만든 다목적댐이다. 높이 97.5 m, 제방길이 447 m로 국내 최대규모의 콘크리트 중력댐이다. 댐의 건설로 유역면적이 만수위 때 97 km²에 이르는 엄청난 규모의 인공호수인 충주호를 만들고 있다. 충주댐을 건설하면서 남한강 수로의 교통요지였던 청풍도호부가 있던 청풍면과 단양군 소재지가 수몰되었다. 하류 방향으로 20 km 떨어진 충주시 가금면에 조정지댐이 있으며, 본댐과 조정지댐에 수력발전소를 두고 있다. 충주댐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의 역할도 있지만, 한강유역 수위를 조절하고 용수를 공급하는데 더 큰 역할을 가지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충주 충주댐. 한강유역 수위를 조절하고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다목적댐으로 소양강댐과 함께 국내 최대규모를 자랑한다. 댐은 콘크리이트 구조물 자체의 무게로 저수지물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건설된 콘크리트 중력댐이다.

OLYMPUS DIGITAL CAMERA홍수 때 물을 방출하는 여수로와 수문.

OLYMPUS DIGITAL CAMERA실제로 수력발전을 한 후 물을 내 보내는 수로

OLYMPUS DIGITAL CAMERA안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충주댐 건설로 만들어진 인공호수인 충주호. 협곡을 막아 조성한 충주댐 부근은 넓어 보이지 않지만 상류는 청풍면과 단양읍 일대가 수몰될 정도로 넓은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댐 안쪽 작은 선착장.

OLYMPUS DIGITAL CAMERA충주댐에서 조금 들어가면 충주호 유람선 선착장이 있다.  이곳에서 40 여 km 정도 떨어진 장화나루까지 유람선이 운행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충주댐에서 내려다 보이는 남한강. 강폭이 상당히 좁은 협곡 지역이다. 평지와 만나는 동량면 소재지에 남한강을 건너 원주, 제천으로 갈 수 있는 나루터가 있었다.

OLYMPUS DIGITAL CAMERA충주댐 아래에 있는 다리인 충원교에서 본 충주댐

OLYMPUS DIGITAL CAMERA남한강 하류 방향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년
  2. 물백과사전, 한국수자원공사, 2019년


 

춘천 소양강댐과 소양호,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

춘천시 신북읍에 위치한 소양강댐과 소양호이다. 북한강 지류인 소양강을 막고 세운 이 댐은 다목적댐으로 1973년에 완공하였다. 흙과 돌을 쌓아서 만든 사력댐으로 길이 530m, 높이 123m의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저수량은 29억톤의 이르는 우리나라 최대의 다목적댐이다. 70년대 경제개발의 상징으로 여겨졌으며, 많은 관광객들이 댐의 웅장한 경관을 보기 위해서 찾았던 곳이다. 원래 콘크리이트 중력식 댐을 건설할려고 했으나, 한국경제를 부흥시키는데 크게 기여한 현대건설 정주영회장이 비용은 낮추면서도 튼튼한 사력식댐을 제안하여 건설하게 되었다고 한다.

댐건설로 생긴 인공호수인 소양호는 면적 1,600ha에 이르며, 춘천에서 인제, 양구지역에 이르는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예전에는 관광객이 많아 자동차를 이용하지 못하고, 이곳을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지금은 관광객이 많이 줄어 자동차로 유람선 선착장이 있는 곳까지 직접 올라갈 수 있다. 좁은 협곡을 댐으로 막아서 만든 인공호수로 외관상 호수가 넓다는 느낌이 들지는 않지만, 소양호를 따라 양구까지 연결된 국도를 자동차로 달리다 보면 엄청나게 넓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소양강댐 선착장에서는 유람선을 타고 청평사를 돌아보는 것이 일반적인 관광코스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소양강댐은 흙과 돌로 쌓아 만든 사력댐으로 우리나라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OLYMPUS DIGITAL CAMERA높이 123m의 웅장한 위용을 자랑하는 소양강댐 수문.  소양강댐은 홍수조절과 용수공급을 위해 건설한 다목점댐이다. 장마철 대형폭우가 쏟아지지 않는 이상 수문이 열리는 경우는 많지 않다. 수문이 열리고 폭포처럼 강물이 흐르는 장면을 본다는 것은 흔치 않은 행운(?)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소양감댐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소양강

OLYMPUS DIGITAL CAMERA소양강댐을 오르는 자동차길.

OLYMPUS DIGITAL CAMERA안쪽에서 본 소양강댐.

OLYMPUS DIGITAL CAMERA댐을 막으면서 생긴 소양호. 평지가 거의 없는 협곡을 막아 조성한 까닭에 넓어 보이지는 않지만, 국내 최대규모의 인공호수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소양강 선착창. 청평사를 운행하는 배과 소양호를 둘러보는 유람선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모타보트선착장

<참고문헌>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낙동감 임하댐, 반변천을 막아 조성한 다목적댐

임하댐은 안동댐과 함께 낙동강 중.상류지역의 안정적인 수자원공급과 홍수조설을 위해 낙동강 지천인 반변천에 세워진 다목적댐으로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위치하고 있다. 이 댐은 높이 73m, 길이 515m, 총저수량 595,000,000㎡의 규모이며, 유역면적인 1,461㎢에 이른다. 조정지댐은 높이 10m, 길315m이다. 임하댐은 1984년 착공하여 1992년에 준공하였다고 한다. 댐건설로 안동시 임동면을 비롯하여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

임하댐 건설로 조성된 임하호(臨河湖)는 국내 호수 가운데 8번째로 큰 규모이며, 안동에서 영덕과 청송으로 연결되는 주요 교통로인 34번국도가 지나가고 있다. 임하호에서 저장된 용수는 하루 40만t 규모로 금호강 상류 영천댐으로 공급되어 포항지역의 공업용수와 영천지역의 농업용수로 사용된다고 한다. 임하댐 상류지역에서 흘러내려오는 붉은 토사때문에 흙탕물처럼 보일때가 많다. 임하호 주변지역은 예로부터 물이 풍부하고 농지도 많은 편이어서 사람이 살기에 좋은 땅이다. 의성김씨 세거지인 영남4대 길지 중 한곳으로 손꼽히는 천전마을, 수몰된 지례마을 한옥 등을 옮겨놓은 지례예술촌을 비롯하여 양반들이 살았던 고택들과 전통마을들이 아직도 주변에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소재한 다목적댐인 임하댐. 계곡을 막은 높이 73m의 사력댐과 홍수시 물을 배출하기 위해 최근에 건설한 보조여수로가 보인다. 임하댐은 경북북부지역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곳의 물은 도수로를 통해 영천댐으로 보내져서 포항지역 공업용수와 영천지역 농업용수로 사용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과 주변지역. 안동지방 권문세가였던 의성김씨가 터를 잡고 살았던 천전마을과 임하마을이 댐아래에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들어가는 길.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광장의 조형기념물.

OLYMPUS DIGITAL CAMERA기념관처럼 보이는 건물. 예전에는 관광객이 많이 찾았을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찾는 사람이 거의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은 높이 73m, 길이 515m의 사력댐으로 암석과 점토를 쌓아서 만들었다.

OLYMPUS DIGITAL CAMERA댐 아래에 보이는 보조여수로.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개요.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안쪽.

OLYMPUS DIGITAL CAMERA임하호 전경. 댐이 건설되면서 3개군 6개면41개 마을이 수몰되었다고 한다. 임하호 주변에는 옛 양반들이 살았던 고택들이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공원으로 옮겨 놓은 호계서원. 원래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은 와룡면 도곡리에 있었던 것을 안동댐 건설로 수몰되면서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체육공원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을 지난 반변천은 임하마을천전마을을 거쳐 안동시내에서 낙동강 본류와 합류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임하마을.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마을 입구에서 본 임하댐 주변.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마을을 지나서 천전마을로 흐르는 반변천. 조정지댐이 있어 작은 호수를 이루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천전마을 개호송 숲 부근

OLYMPUS DIGITAL CAMERA임하댐 아래 조정지댐. 높이 10m, 길이 315m 규모이다.

<참조>
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