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목탑

화순 쌍봉사 대웅전, 목탑 형식이 남아 있는 3층 건물

전남 화순군 이양면 쌍봉사 주불전인 대웅전이다. 법주사 팔상전과 함께 유일하게 남아 있던 목탑형식의 건물이었다. 1985년 화재로 소실되었던 것을 복원한 건물이다. 앞면 1칸, 옆면 1칸의 크지 않은 규모의 3층 건물이다. 2층과 3층을 낮게 만들어 전체적인 비례가 목탑처럼 안정적으로 보인다. 1층은 마루를 깔고 목조삼존불상을 모신 대웅전으로 사용하고 있다. 2층과 3층은 통층으로 되어있으며 목탑처럼 중심이 되는 기둥인 심주가 있다. 지붕은 소실전에는 팔작지붕이었는데, 원래의 모습대로 사모지붕으로 복원하고 그위에 보주를 설치하였다. 소실된 건물을 복원한 것으로 문화재 지정에서 해제되었지만, 최근까지 있었던 흔치 않은 목탑형식의 건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쌍봉사(雙峯寺)는 창건 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나, 통일신라 말 선종을 이끈 구산선문 중 하나인 사자산문을 열었던 철감선사가 크게 중건하면서 사찰의 규모를 갖추게 된 것으로 보인다. 정유재란 때 건물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며, 그 이후에 중건되었다. 사찰내에는 철감선사탑(국보57호), 탑비(보물170호), 목조지장보살삼존상(보물1726호)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화순 쌍봉사 대웅전. 크지않은 건물이지만 옛 목탑의 형식이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건물은 낮은 기단 위에 3층건물을 올렸다.  2층과 3층을 낮게 만들어 전체적인 비례에서 안정감을 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 1층. 공포은 화려한 다포계를 사용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 1층은 마루를 깔고 목조삼존불상을 모시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서쪽에서 본 대웅전

OLYMPUS DIGITAL CAMERA동쪽에서 본 대웅전.

OLYMPUS DIGITAL CAMERA화순 쌍봉사 전경. 회랑은 없지만 앞쪽에 목탑형식의 대웅전이 있고, 뒷편에 극락전이 배치되어 있다. 탑과 금당이 일렬된 배치된 삼국시대 가람배치의 형식이 남아 있다.

화순 쌍봉사 대웅전
쌍봉사는 신라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일문인 사자산문(獅子山門)의 개조인 철감선사가 통일신라 48대 경문왕 8년(868)에 창건하였다. 대웅전은 평면이 방형인 3층 전각으로 사모지붕의 목조탑파형식을 지닌 희귀한 양식이다. 목조탑파건축으로는 법주사 팔상전과 쌍봉사 대웅전 2동만이 현존한다. 1963년 보물 제163호로 지정되어 보존해 오던 중 1984년 신도의 부주의로 소실되어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으며 복원공사는 문화재관리국이 그간 자료를 수집하여 1986년에 원형대로 복원되었다. (안내문, 쌍봉사, 2017년)

<출처>

  1. 쌍봉사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부여 능사 오층목탑, 백제문화단지에 복원해 놓은 백제 목탑

충남 부여군 규암면 백제문화단지에 재현해 놓은 백제 목탑이다. 능산리사지의 건물터를 기준으로 원래의 사찰과 거의 1:1로 재현해 놓았다. 화강석을 짜맞추어서 만든 기단 위에 5층 건물을 올려 놓았다. 목탑의 높이는 38 m 이다. 원래 것을 그대로 재현해 놓은 것이지는 알 수 없지만, 기존에 출토된 탑이나 남아 있는 석탑, 일본 사찰에 남아 있는 백제의 건축양식을 참조하여 복원하였다,

능산리사지는 마지막 왕릉이 있는 능산리고분군 옆에 있는 절터이다. 부여 나성 바깥쪽에 주요 교통로에 위치하고 있다. 능산리사지는 백제 위덕왕이 아버지인 성왕을 기리기 위해서 세운 능사(陵寺)였다. 백제를 대표하는 유물인 백제 금동대향로(국보287호)와 석조사리감(국보288호)이 출토되었다. 절은 중문, 목탑, 금당, 강당이 일자로 배치되어 있는 1탑 1금당의 건물배치를 하고 있으며 사방이 회랑으로 둘러져 있다. 황룡사나 미륵사에 비해서 작은 편으로 선왕들의 명복을 비는 원찰 또는 능사의 역할을 가지고 있었던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부여 백제문화단지에 재현해 놓은 백제목탑. 능산리사지 건물터를 기준으로 백제 목탑을 재현해 놓았다. 백제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일본 호류사 목탑을 참조한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
탑은 화강석으로 만든 기단 위에 오층 건물을 올려 놓았다. 목탑의 높이는 38m이며, 건물이 29m, 상륜부가 9m이다. 삼국시대에는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는 목탑이 사찰의 중심이었다는 느낌을 준다. 불전과는 달리 사람이 들어가서 예배를 올리는 공간이라기 보다는 사리를 모시는 신성한 공간이었다.

OLYMPUS DIGITAL CAMERA
목탑의 구조.

OLYMPUS DIGITAL CAMERA앞면 3칸, 옆면 3칸의 건물로 멀리서 보이는 목탑의 웅장함보다는 건물이 작다는 느낌을 준다. 건물의 지붕을 바치는 공포는 주심포 하앙식방식이라고 하며, 일본 호류사의 양식을 참조하였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
목탑 내부에는 건물의 뼈대가 되는 용무늬를 그려놓은 굵은 기둥인 심주가 있다. 심주의 초석인 심초석 아래에 부처님의 사리를 보관한 사리함을 묻어둔다.

OLYMPUS DIGITAL CAMERA백제식 문양을 그려 놓은 단청들.

OLYMPUS DIGITAL CAMERA
옆쪽에서 본 모습. 출입문을 두고 있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
뒷쪽에서 본 모습. 금당과 연결되는 출입문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회랑 바깥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부여 능산리 왕릉 옆에 있는 능사(陵寺), 1탑 1금당식 가람배치로 사찰의 규모는 크지 않은 편이다. 당시 백제 사찰의 일반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부여 능산리사지 절터의 목탑터 (2010년, 공사 당시 모습)

능사 오층목탑
567년 백제 창왕 대 세운 목탑을 재현한 곳이다. 능사는 성왕이 명복을 빌기 위한 백제 왕실의 사찰로 부여 동남리에서 출토된 금동탑편과 일본 호류지 오층 목탑에 보이는 하양식 구조로 재현하였다. (안내문, 백제문화단지, 2012년)

<출처>

  1. 두산백과
  2. 위키백과
  3. 백제문화단지.

진천 보탑사 삼층목탑, 옛 목탑을 재현한 불전

충북 진천군 보탑사 주불전으로 사용하고 있는 삼층목탑이다.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때 많이 세워졌던 목탑을 일부 재현한 것이다. 높이 42.7m로 상당히 높은 편이며, 내부 모두 트인 통층구조로 지은 법주사 팔상전과 달리 1층에서 3층까지 나누어져 있으며,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1층 대웅전에는 사방불(동방 약사우리광불, 서방 아미타여래불, 남방 석가모니불, 북방 비로자나불)이 배치되어 있고, 2층 법보전에는 팔만대장경 번역본이, 3층 미륵전에는 미를 삼존불이 모셔졌다고 한다. 1996년 지어진 것으로 내력이 있는 건물은 아니지만 전통 사찰의 모습을 갖추기 위해 많은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보탑사(寶塔寺)는 충북 진천 만뢰산 자락에 있는 전통 사찰이다. 이곳은 고려시대 절터였던 곳으로 1996년에 새로 지어졌다. 사찰 경내에는 이곳에 큰 절이 있었음을 말해주는 고려시대 탑비인 연곡리석비(보물404호)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보탑사 경내에 있는 3층 목탑. 옛 목탑을 3층으로 재현해 놓은 것으로 높이 42.7m의 상당히 큰 규모이다. 황룡사 9층목탑의 웅장함을 간접적으로 느껴볼 수 있는 곳이다.

OLYMPUS DIGITAL CAMERA건물은 1층기준으로 앞면 5칸 규모이다. 모두 29개의 기둥이 목탑을 떠받치고 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1층에 모셔진 사방불.

<출처>

  1. 두산백과
  2. 위키백과
  3.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