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보물

세종 비암사 극락보전(보물)

세종시 전의면 비암사에 있는 불전인 극락보전(보물)이다. 조선후기 17세기에 지어진 불전으로  앞면 3칸, 옆면 2칸의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앞면 3칸, 옆면 3칸의 일반적인 불전 건물과는 달리 옆면 2칸을 하고 있어 임진왜란 이후 형식적으로 간략화된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부에는 아미타여래를 모시고 있는데 옆면을 1칸 줄였기때문에 내부는 협소한 편이다. 앞면 창호는 문설주 기둥이 있는 조선중기 이전 건축 양식을 유지하고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조선후기 불전 건물로 평가받고 있다.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10<세종 비암사 극락보전(보물)>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8<2칸으로 된 옆면>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4<극락보전 현판>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3<지붕을 받치는 공포>

앞면 양쪽 창호는 조선중기 이전 양식이 반영되어 있다. 문은 4분할하여 가운데 2짝은 여닫이가 있는 출입문으로 사용하고 양쪽 1짝은 창문처럼 사용하고 있다. 문짝 사이에 문설주가 있는데 조선중기 이전 건축물(맹씨행단, 도산서원 강당 등)에서 볼 수 있는 양식이다.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2<문설주가 있는 오른쪽 창호>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21<가운데 창호>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7<왼쪽 창호>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5<정면에서 본 모습>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6<왼쪽 아래에서 본 모습>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01<오른쪽에서 본 모습>

비암사는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알려졌으나 1960년 이곳에서 발견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에 쓰여진 내용으로 삼국통일 후 백제 유민들을 위해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 이후에도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로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11<세종 비암사>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보물) 20230406_12<비암사 극락보전과 삼층석탑>

비암사 극락보전, 보물
비암사는 통일신라 말에 도선국사가 처음 지은 절이라고 전한다. 그 이후의 절의 역사는 확실하게 전하지 않는다. 비암사 극락보전은 앞면 3칸, 옆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여덟 팔(八)’자의 모양인 화려한 팔작지붕이다. 또한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으로 내부에는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으며, 불상 위에 화려한 닫집을 마련하였다. 조선 후기의 화려하고 장식적인 양식을 보여준다. (안내문, 세종 비암사, 2023년)

<출처>

  1. 안내문, 세종 비암사,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불전인 대웅보전(보물)이다. 조선후기 효종 때(1651년) 각순대사가 마곡사 불전들을 중건할 때 다시 지은 건물이다. 불교 경전을 모시는 대장전으로 지은 건물인데 그 시기를 알 수 없지만 석가여래,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를 보시는 대웅전으로 바뀌었다. 중층 건물로 1층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상당히 큰 규모의 불전이다. 지붕은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다. 건물내부는 뚫려 있는 하나의 공간으로 넓고 시원한 느낌을 준다.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06<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년>

OLYMPUS DIGITAL CAMERA<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11년>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04<정면에서 본 모습>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11<오른쪽에서 본 모습>

공포는 화려한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으며 밖으로 뻗어나온 부재 위에 연꽃을 조각해 조선중기 이후 건축의 양식적 특징을 보여준다. 건물 2층에 걸려 있는 현판은 신라 명필 김생의 글씨라 한다. 팔작지붕을 네 모서리를 받쳐주기 위해 활주가  세워져 있다.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12<대웅보전 현판>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08<지붕을 받치는 공포>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07<문살과 기둥>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09<옆면>

중층 건물이지만 내부는 하나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석가여래를 중심으로 양쪽에 아미타여래와 약사여래를 모시고 있다.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10<대웅전 내부>

마곡사(麻谷寺)는 수덕사와 함께 충남지역을 대표하는 사찰이다. 신라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중기 무인정권 시절 불교결사운동을 이끈 만든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건되었다. 수행을 중시하는 사찰로 가람의 배치에 형식적인 요소가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층석탑(보물호), 영산전(보물), 대웅보전(보물), 대광보전(보물) 등의 문화재들이 남아 있다.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보물) 20230406_03<마곡사 주불전이 있는 영역>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보물
이 건물은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조선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에 의해 중수되었다. 중수기에는 대장전으로 지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언제부터 대웅보전으로 바뀌게 되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외관상으로는 2층 건물 형태인 중층이나 내부는 하나의 공간이다. 건물 내부 중심에는 석가모니불을 좌우에는 아미타불과 약사불을 모시고 있다. 현존하는 전통 목조건축물 가운데 많지 않은 중층 건물로 목조 건축의 아름다운 조형미를 잘 표현하고 있다. (안내문, 공주 마곡사, 2023년)

<출처>

  1. 안내문, 공주 마곡사,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보물)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불전인 대광보전(보물)이다. 마곡사의 주불전으로 비로자나불을 모시고 있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3칸 규모로 상당히 큰 규모의 불전이다. 팔작지붕을 하고 있으며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화려한 다포계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내부 불단은 서쪽에 배치되어 동쪽을 향하고 있는데 닫집을 꾸며 엄숙함을 더해주고 있다. 대광보전의 언제 처음 지어졌는지 알 수 없고, 현재의 건물은 조선후기 순조 때(1813년) 화재로 소실된 것을 다시 지은 것이다.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01<공주 마곡사 대광보전(보물), 2023년>

OLYMPUS DIGITAL CAMERA<공주 마곡사 대광보전(보물), 2011년>

OLYMPUS DIGITAL CAMERA<정면에서 본 모습>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02<옆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뒤에서 본 모습>

공포는 기둥 위 뿐만 아니라 기둥 사이에 있는 다포계 공포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당히 화려하다. 앞면 5칸에 3짝씩 문을 달았는데 문살의 꽃살 무늬가 화려하다.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07<지붕을 받치는 공포>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03<옆면 공포>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04<문살과 기둥>

내부에는 비로자나불상을 단독으로 모시고 있는데 동쪽을 향하고 있다.  불상을 모시는 불단에는 닫집을 설치하였다. 전체적인 내부 모습은 부석사 무량수전을 연상시킨다.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24<대광보전 내부>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09<마곡사 대광보전과 오층석탑, 2023년>

OLYMPUS DIGITAL CAMERA<마곡사 대광보전과 오층석탑, 2011년>

마곡사(麻谷寺)는 수덕사와 함께 충남지역을 대표하는 사찰이다. 신라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중기 무인정권 시절 불교결사운동을 이끈 만든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건되었다. 수행을 중시하는 사찰로 가람의 배치에 형식적인 요소가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층석탑(보물호), 영산전(보물), 대웅보전(보물), 대광보전(보물) 등의 문화재들이 남아 있다.

공주 마곡사 대적광전(보물) 20230406_10<공주 마곡사 주불전이 있는 공간>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 보물
이 건물은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의 본전(本殿)이다. 임진왜란으로 불 타 없어진 것을 정조 9년(1758)에 다시 지었다. 건물 내부에는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이 동쪽을 바라보며 모셔져 있으며, 후불탱화로 영산회상도가 봉안되어 있다. 내부 바닥에는 참나무로 만든 돗자리가 깔려 있으며 전면 창호에는 다양한 꽃살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대광보전은 안팎으로 구성과 장식이 풍부하고 건축수법이 독특한 건물로 조선 후기 건축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안내문, 공주 마곡사, 2023년)

<출처>

  1. 안내문, 공주 마곡사,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충남 공주시 사곡면 마곡사에 있는 불전인 영산전(보물)이다. 조선후기 효종 때(1651년) 각순대사가 마곡사를 중건할 때 다시 지은 불전으로 마곡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내부에는 천불을 모시고 있어 천불전으로도 불린다. 마곡사 남원(남쪽영역)에서 주불전 역할을 하고 있다. 영산전에 모셔진 칠불좌상은 조선후기 단응과 열아홉명의 조각승의 제작한 작품으로 동시대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손꼽힌다.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8<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년>

OLYMPUS DIGITAL CAMERA<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11년>

마곡사 영산전(보물)은 앞면 5칸, 옆면 3칸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는 비교적 큰 규모의 불전건물이다.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기둥위에만 있는 주심포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조선후기 건축물이지만 조선초기 건축 양식을 사용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10<정면에서 본 모습>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9<옆에서 본 모습>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1<북동쪽에서 본 모습>

건물 앞에 걸린 현판은 세조가 마곡사를 방문했을 때 쓴 글씨라고 한다.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3<영산전 현판>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2<창호와 문살>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7<기둥과 주춧돌>

내부에는 칠불좌상과 천불상이 모셔져 있다. 칠불좌상은 수조각상 단응이 1681년 2월부터 6월까지 열아홉 명의 조각승을 이끌고 제작한 불상이다. 일곱 부처 중 석가모니로 불리는 이 목조여래좌상은 오른손을 무릎에 댄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크기도 다른 여섯구의 불상보다 10센티미터 정도 더 크다.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6<영산전 내부>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5<내부 천장>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04<영산전 칠불좌상과 천불상>

중앙박물관특별전-승려장인-20220125_01<단응이 수조각승으로 참여한 첫 불상, 마곡사 영산전 목조석가여래좌상, 단응 등 20명, 조선 1681년, 공주 마곡사>

수조각상 단응이 1681년 2월부터 6월까지 열아홉 명의 조각승을 이끌고 제작한 <마곡사 영산전 목조칠불좌상> 일곱구 중 하나입니다. 칠불좌상은 지난 세상에 나타난 일곱 부처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일곱 부처 중 석가모니로 불리는 이 목조여래좌상은 오른손을 무릎에 댄 항마촉지인을 취하고, 크기도 다른 여섯구의 불상보다 10센티미터 정도 더 큽니다. 이 불상들은 단응이 수조각승으로 활약하며 조성한 첫 작품입니다. 단응은 주로 경상북도 북부와 그 인근에서 활동했다고 알려졌으나, 이 칠불상의 기록이 소개됨에 따라 충청남도 지역 불사에도 참여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함께 참여한 탁밀과 학륜 등 조각승 여섯 명은 3년 뒤 1684년 단응이 예천 <용문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만들 떄도 동참했습니다. 불상을 받치고 있는 목조대좌 역시 중요한 작품입니다. 대좌는 높이가 낮은 ‘亞’자 모양의 삼단 수미좌(須彌座) 위에 다시 연꽃 모양 대좌를 얹었습니다. 대좌의 형태와 세부 문양은 1684년 단응이 만든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과 흡사하여 단응과 그를 따르던 조각승들이 만든 대좌의 특징을 잘 보여줍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마곡사(麻谷寺)는 수덕사와 함께 충남지역을 대표하는 사찰이다. 신라 때 자장율사가 창건한 사찰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중기 무인정권 시절 불교결사운동을 이끈 만든 보조국사 지눌에 의해 중건되었다. 수행을 중시하는 사찰로 가람의 배치에 형식적인 요소가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층석탑(보물호), 영산전(보물), 대웅보전(보물), 대광보전(보물) 등의 문화재들이 남아 있다.

공주 마곡사 영산전(보물) 20230406_11<공주 마곡사 남원(남쪽 영역)>

공주 마곡사 영산전, 보물
이 건물은 마곡사에 있는 건물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효종 2년(1651)에 각순대사가 다시 세웠다. 편액은 조선 세조가 이곳에 왔을 때 쓴 것이라고 전한다. 영산은 영취의 준말로 석가모니가 많은 제자들을 모아놓고 가릠을 베풀던 곳을 말하는데 현재 내부에는 7분의 여래불상과 1,000분의 작은 불상이 모셔져 있어 천불전이라고도불린다. (안내문, 공주 마곡사, 2023년)

<출처>

  1. 안내문, 공주 마곡사,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충남 당진시 정미면 안국사지 절터에 있는 석탑(보물)이다. 탑은 그 형태가 온전히 남아 있지않고 투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기단부는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간단하며 탑신 몸돌은 1층만 남아 있고 2층부터는 지붕돌만 있다. 탑신 몸돌에는 1면에는 출입문을, 다른 3면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세부적인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조형미는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중기 석탑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1<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3<기단부>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4<여래좌상이 새겨진 1층 몸돌(서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6<1층 몸돌(남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7<1층몸돌(서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8<문짝이 새겨진 1층 몸돌(북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5<지붕돌>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9<석탑 옆에 있는 다른 석탑의 몸돌>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1
<서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2
<북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3
<동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2<아래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10<위쪽에서 본 모습>

안국사는 안국산에 위치한 절터이다. 2003년 출토된 기와에서 요나라 연호가 적혀 있어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는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삼층석탑(보물), 맹향암각 등이 남아 있다. 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안국산에 안국사가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사찰에 내력에 대해서 알려진 내용은 없다.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11<당진 안국사지>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및 석탑, 보물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의 조성시기는 2003년 발굴조사시 출토된 태평(요나라 성종 연호) 명문기와로 보아 고려 현종 12~21년(1021~1030년)으로 추정된다. 중앙의 본존불은 얼굴과 몸이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고 머리에 네모난 갓 모양의 보개를 쓰고 있다. 두 팔과 두 손이 신체에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 있는 협시보살도 본존불과 같은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불상 하단의 석탑은 원래 5층일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1층에 1매의 몸돌만 남아 있고 그위에 4매의 지붕틀이 겹쳐져 있으며 받침부의 구조는 매우 간략하다. 1층 몸톨의 네 모서리에 기둥 형태가 표현되어 있고 3면에는 여래좌상, 1면에는 문고리형이 조각되어 있어 4면에 불상을 조각하는 기본 형식에서 벗어난 특이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불상과 석탑은 고려시대 충청도 지방에서 많이 나타난 양식으로 혼란기 백성들이 마을 공동으로 세운 것으로 거칠고 섬세하지는 않지만 종교적인 구원사상을 넘어 힘든 현실세계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한 지역공동체의 모습이 엿보인다.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4. 홈페이지, 당진시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