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는 7세기 중엽 당나라와 연합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나.당전쟁을 거치면서 고구려 권역의 일부인 대동강~원산만을 연결하는 국경선 남쪽을 그 영역으로 비교적 안정된 통일국가를 형성하였으며, 그 북쪽은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가 자리를 잡았다. 이 시기는 중국의 강력한 당왕조를 중심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국제정시를 유지하였다. 통일신라는 새로운 국가를 운영하기 위하여 관료제를 정비하였다. 통일신라는 지방을 9주로 나누고 다시 5소경을 두어 지방을 통치하였으며, 제도의 개선과 함께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중앙집군국가의 틀을 완성하였다.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삼국시대에 조성된 수많은 고분에서 출토된 화려한 유물들을 통해서, 금관을 비롯하여 화려했던 그들의 옛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불교를 받아들인 이후 조성된 불국사, 석굴암 등을 비롯하여 많은 사찰들에서 그들의 뛰어난 예술 감각과 경제력 등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사찰 건축에 많은 공을 들여서인지, 일상 생활과 관련된 유물들은 생각보다 많이 남아 있지는 않다. 통일신라인의 생활 모습을 보여주는 유물을 그나마 조금씩이라도 볼 수 있게 된 것은 신라 왕궁인 월성의 후원에 해당하는 안압지라고도 불리는 임해전지의 연못속에 빠졌던 여러가지 유물들이 발굴되면서 일 것이다. 임해전지에는 신라인이 생활에 사용했던 여러 유물들이 발굴되어 당시 그들의 생활 모습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임해전지에서 출토된 유물 대부분은 경주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으며, 중앙박물관에서는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 일부만을 전시하고 있다.
통일신라(統一新羅)
7세기 중엽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하고 나당 전쟁을 거치면서 한반도와 주변지역의 국제관계는 대동강~원산만 이남의 통일신라와 북쪽의 발해가 공존하는 모습으로 변화했다. 이렇게 성립된 남북국시대는 당을 중심으로 통일신라와 발해, 일본이 공존하는 비교적 안정된 국제 정세가 유지된 때였다. 통일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후 넓어진 영토를 다스리기 위해 여러가지 제도를 정비했다. 우선 새로운 국가 운영을 위해 관료제를 정비하여 왕경인과 지방인을 차별하지 않고 율령에 입각한 강력한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국가를 수립해 갔다. 행정구역은 지방을 9주로 나누고 다시 특별 구역으로 5소경을 두었다. 이러한 제도의 개선과 새로운 행정구역의 개편은 왕권을 강화하고 중앙 집권 국가의 틀을 완성하는 과정이었으며, 새로운 국가의 위상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다. <출처:중앙박물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유물을 전시하고 있는 전시실. 삼국시대에 비해 유물이 적고 다양하지 않다. 경주 안압지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많은 편이고, 창녕 화왕산성 출토유물을 비롯하여 당시 지방세력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들도 볼 수 있다.
왕경귀족
통일신라를 주도적으로 이끌어 간 세력은 왕경의 진골 귀족이었다. 왕경에는 17만 8,936호가 살았고, 금입택(金入宅)이 30여 채 있었다고 전한다. 금입택의 주인은 왕권에 비견될 만한 유력한 진골 귀족이었다. 경주 왕경 유적과 안압지에서 나온 많은 유물은 이러한 진골 귀족의 모습을 생생히 전하고 있다. 특히 금과 은으로 장식한 생활용품과 녹유기와는 당시 진골 귀족의 호사스러운 생활 모습을 잘 보여 준다.
옷걸이, 1.경주 월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금동, 짐승얼굴모양문고리, 2.경주 월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금동, 3.경주 쌍상총, 남북국시대(통일신라),8~9세기,금동.
인형, 4.경주 용강동 석실분,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세기, 토제. 통일신라시대 복식문화를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이다. 당나라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료제와 토용
삼국 통일 이후에 새로운 국가 운영을 위해 관료제를 정비하아였다. 이전에는 왕경인과 지방민에게 각각 차등있게 벼슬을 주었으나, 통일 후에는 동일한 벼슬을 주었다. 이 시기에는 율령에 기초하여 국가기구를 조직하였고 이를 위해 국학 등의 교육기관도 정비되었다. 관료제의 정비는 중국 문화와 복식의 수용으로 엿 볼 수 있다. 당나라에 간 김춘추가 당의 복식을 받아 들여 진덕여왕 3년(649)부터 당나라식 관복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당나라 복식은 무덤에서 출토된 토용과 허리띠장식에서 잘 알 수 있다. 토용은 흙으로 사람이나 동물을 본 떠 만든 것으로 옷이나 모자, 표정 등이 사실적이며, 사회적 지위에 따라 색깔이나 크기를 다르게 만들었다. <출처:중앙박물관>
연꽃모양꾸미개, 5.경주 월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금동
사냥무늬전돌, 경주 전 흥륜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토제
오리모양 잔, 1.경주 구황동 원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토제
연적, 2.양주 대모산성,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세기, 토제, ‘함통육년(865)’명 벼루, 3. 이천 설봉산성,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65년, 돌
짐승얼굴무늬기와, 경주 월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녹유
세발항아리, 경주,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녹유
용머리꾸미개, 경주 월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금동
향로, 보물1753호, 익산 미륵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금동
발걸이, 황해도 평산, 남북국시대(통일신라) 9~10세기, 철
절들이 별처럼 많았고, 탑들이 기러기처럼 늘어서 있었다. 『삼국유사』권제3 법흥 제3
통일신라는 삼국시대의 전통에 이어서 불교 예술의 전성기를 이루었는데, 그 중 불교 조각은 국제적인 성격이 강했던 당나라와 서역의 영향을 받아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세련되고 뛰어난 조각수법과 예술적인 완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불국사 석굴암으로 대표되는 통일신라의 불교조각은 서역의 간다라 미술의 사실적인 묘사가 그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로 부처의 사리를 모시는 석탑을 중심으로 화려하고 뛰어난 유물들을 남겨 있으며 오늘날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재로서 자부심을 갖게 해 주고 있다.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하는 조각가로는 사천왕사터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서역출신 사람으로 추정되기도 하는 양지를 들 수 있다. 신라의 조각은 석굴암 불상처럼 전신을 조각한 것도 있지만, 당시에 많이 세워졌던 삼층석탑의 기단부에 새겨진 팔부중상이나 사천왕상 들을 돋을 새김한 부조작품들이 아주 많이 남아 있으며, 그 조각 수법들이 후대에 만들어진 것보다 상당히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불국토
통일신라는 고구려와 백제의 불교를 받아들여 다양하고 폭넓은 불교 사상을 만들어 내었다. 불교의 토착화를 위해 본래부터 불교의 인연이 깊었다는 설이 널리 유포되었다. 국가는 불교를 국가이념으로 삼고 대중적인 종교로 변모시켰으며, 불교를 통해 사회 안정을 이루고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을 포용하고 융화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통일 이후에는 주로 화엄종과 법상종 등으이 종파가 유행하였고, 하대에는 선종이 전래되어 구산선문이 형성되는 등 선종불교가 주요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출처:중앙박물관>
통일신라 불상
통일신라 불상은 통일 이전 토착적인 신라의 불상 양식을 기반으로 백제와 고구려의 조각 양식을 흡수하는 한편, 당나라 양식을 받아들이면서 통일신라만의 독자적인 양식으로 성립했다. 통일신라 불상 중 가장 완성된 예가 바로 8세기 중엽 경 석굴암 본존불이며, 이 시기를 정점으로 통일신라의 불상 조각은 최고의 경지에 이른다. 이후 신라 사회의 모순과 선종의 유행으로 약사불과 비로자나불이 등장하며, 금동불이 줄어들고 철불이라는 새로운 불상이 유행했다. <출처:중앙박물관>
철불, 충남 서산 전 보원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철
사천왕
사천왕은 고대 인도에서 숭상했던 신들의 왕이었으나 불교에 귀의하여 부처님과 불법을 지키는 수호신이 되었다. 경주 사천왕사에서 발견된 녹유신장상은 탑의 기단을 장식한 것으로, 기단 네 면의 계단을 중심으로 좌우3개씩 총24개가 배치되었다. 일반적으로 지국천왕, 광목천왕, 증장천왕, 다문천왕이 동서남북의 방위를 지키는 형태로 배치되지만, 사천왕사 탑의 기단에는 3개의 신장만으로 배치된 것이 특징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사천왕상 전돌, 경주 배반동 사천왕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670년경, 녹유
팔부중(八部衆)
불법을 수호하고 대중을 교화하는 신으로 팔부신중(八部神衆)이라고도 하며, 천天.용龍.야차夜叉.건달바乾達婆.아수라阿修羅.가루라迦樓羅.긴나라緊那羅.마후라가摩喉羅伽가 있다. 여기에 전시된 여기에 전시된 팔부중은 아수라와 건달바인데, 원래 석탑의 기단부 상대석 면석에 새겨진 것이다. 아수라는 원래 싸움의 신이었으나 부처님에게 감화되어 불법을 지키는 신이 되었으며, 얼굴은 세, 손과 팔을 여섯개로 표현된다. 건달바는 모두 사자의 머리가죽과 같은 것을 쓰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팔부중, 경주 담엄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9세기, 돌
국가권력과 의례
통일신라는 의례를 통해 국가 권력의 정당성과 왕권의 위엄을 과시했다. 도성에서 베풀어진 국가의례는 왕경인과 지방인에게 왕에 대한 충성과 복속의식을 그들의 마음속에 불러일으키는 힘으로 작용했다. 사찰역시 국가와 왕권의 위엄을 구현하는 중요한 공간이었다. 통일신라는 수도인 경주의 사방 입구에 성전사원(成典寺院)이라는 사찰들을 건립하여 수도를 천하의 중심이자 불국토의 중심으로 연출했다. 왕릉과 원찰에서는 왕권의 정당성과 신성함을 강조하는 의례를 거행하여 신라 왕실의 영원불멸을 기원했다. <출처:중앙박물관>
의례와 관련된 유물. 불교관련 유물 외에도 기우제와 같은 전통의례와 관련된 유물들도 찾아볼 수 있다.
신문대왕이 오계(五戒)로 세상에 응하고 십선(十善)으로 백성을 다스려 통치를 안정하고 공을 이루고는 천수3년(692) 임진년 7월2일에 돌아갔다. 신목태후와 효조대왕이 받들어 종묘의 신성한 영령을 위해 선원가람에 삼층석탑을 세웠다.
황복사지 사리갖춤, 경주, 남북국시대(통일신라) 706년. 신라왕실의 원찰 중 하나인 황복사의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사리갖춤은 문무왕의 장자인 신문왕과 그 비인 신목왕후, 그리고 신문왕의 아들인 효소왕 등 세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1.유리구슬, 유리,
2.굽다리접시, 금동.은,

3.사리상자, 금동
‘함통육년(865)’명 청동북, 1.전 경북,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65년, 청동, 광병대:초 또는 등잔을 올리는 등촉기구, 2.경주 전 인용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청동
십이지상, 경주 전 김유신묘,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세기, 1,말, 2.토끼
십이지상, 경주 전 민애왕릉,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3.뱀 4.말
월지출토 의례유물, 경주,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납, 월지에서 출토된 가위, 손칼, 둥근 판은 납으로 제작되었는데, 실제 사용할 수 없는 비실용적인 도구이기 때문에 의례용으로 제작되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출처:중앙박물관>
1.가위, 2.손칼,
3.둥근판
‘신ㅁ동궁세택’명접시, 4. 경주 인왕동,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청동
‘동궁아’명항아리, 5. 경주 인왕동,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토제
통일신라의 지방사회
통일신라의 지방사회는 9주5소경이라는 새로운 제도의 실행으로 중앙의 행정력이 각 지방에 고르게 미치게 되는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지방 사회의 행정은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와 토착촌주의 협력 아래 이루어졌으며, 문자의 활용과 도로와 역의 정비를 통해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그 결과 왕경의 문화가 지방에까지 그대로 이식되었고, 일부 지방 유력자는 왕경 귀족과 비슷한 문화수준을 유지하게 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통일신라 지방세력의 모습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창녕 화왕산성과 말흘리 건물터에서 출토된 유물들을 비롯하여 주요 지역에서 출토된 유물들이다.
화왕산성출토 제사유물, 창녕,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철, 창녕 화왕산성 연못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말과 관련된 재갈과 발걸이가 출토되었다. 그리고 사람 모양을 한 목간도 나왔는데, 모두 기우제와 관련된 제사유물로 생각된다. <출처:중앙박물관>
1.발걸이, 3.재갈,
2.칼,
4.자물쇠
말흘리출토유물, 창녕, 남북국시대(통일신라) 9~10세기, 창녕 말흘리의 건물터 주변 작은 구덩이 안에서 많은 풍탁과 장식판 등이 출토되었다. 대부분 불전을 장식하는 장엄구이거나 불교의식에 사용하는 도구들이다. <출처:중앙박물관>
1.풍탁,
2.오각형꾸미개,
3.자물쇠,
4.꽃모양꾸미개,
5.손잡이 향로
통일신라말의 지방세력
통일신라 말 지방에는 독자적인 세력들이 등장하였다. 이 지방 세력들은 주로 변경의 군진(軍陣)이나 상업과 대외교역이 발달한 곳에서 크게 성장하였다. 대표적인 곳이 장보고가 활동한 남해의 청해진 지역과 당과의 교역로였던 북방의 패강진 지역이다. 황해도 평산에서 출토된 유물은 변경의 군진에서 성장한 지방 세력의 모습을 잘 알려주고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도장, 양주 대모산성, 8~9세기, 곱돌
꽃모양 접시, 1. 황해도 평산, 남북국시대(통일신라) 9~10세기, 청동
꽃모양 접시, 4. 황해도 평산, 남북국시대(통일신라) 9~10세기, 청동
병, 2.울릉 천부동,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토제, 3.익산 미륵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청동
청자꽃모양 완 5. 익산 미륵사지, 중국(당), 청자, 백자완, 6.익산 미륵사지, 중국(당), 백자
차를 가는 도구, 7,창녕 화왕산성,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철, 향을 담는 그릇, 8.창녕 화왕산성,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청동
재갈멈치, 9.익산미륵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청동, 재갈, 10.익산 미륵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청동
후삼국의 분립
왕권의 안정화를 통해 중대의 전성기를 유지하던 통일신라는 ’96각간의 난’으로 대표되는 혜공왕9765~780) 대의 정변을 거쳐 하대로 접어든다. 하대는 진골 귀족 간의 권력 다툼과 왕위 쟁탈전으로 인해 정치적 혼란이 거듭된 시기였다. 하대의 극심한 혼란은 견훤과 궁예가 각각 백제와 고구려의 부흥을 외치면서 후백제와 후고구려를 세우는 원인이 되었고, 결국 후삼국의 정립으로까지 이어졌다. 이 후삼국은 궁예의 뒤를 이어 고려의 왕으로 추대된 왕건에 의해 통일되었고, 통일신라는 결국 멸망하였다. 후삼국 분립 시기는 역사상 분명히 큰 혼란기였지만, 이는 고려의 통일로 더 큰 발전을 이루게 되는 전환기로 평가할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