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이다. 1959년 탑을 해체.수리하는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1층 탑신에는 나무, 돌, 동으로 만든 조선시대 불상이, 2층 지붕에는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사라장엄구를 비롯한 공양물들이, 머리장식부에는 고려시대에 만든 삼간청자 원형합 등이 발견되었다.
사리장엄구는 채색된 돌거북모양의 사리외함에 담겨 있었는데 전각형태 금동으로 만든 사리기 안에 녹색 유리잔과 사리를 담은 유리병으로 구성되었다. 에 용도를 알 수 없은 나무모양 장식구를 비롯하여 유리구슬 등이 같이 있었다. 감은사지 삼층석탑에서 출토된 사리장엄구와 비슷한 형태로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걸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보물).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걸작으로 궁궐 정전이나 불전에서 볼 수 있는 장엄함을 표현하는 닫집 형태를 하고 있다. 그 안에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사리를 모시고 있다. 격식을 제대로 갗춘 정통 사리갖춤이라 할 수 있다.

공양물로 함께 있었던 나무모양의 장식품. 용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공양물로 받쳐진 다양한 재료로 만든 장식물들.
머리장식 복발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상감청자 원형합. 고려시대 탑을 해체.수리하면서 공양물로 넣었던 것으로 보인다. 1층 탑신에서는 조신시대에 봉안한 불상들이 발견되었다.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189호)이다. 높이 16 m로 상당히 높은 편인데 각층의 지붕돌을 넓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있다. 중국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전탑으로 원형이 잘 남아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갖춤, 보물 325호, 칠곡 송림사, 통일신라 8세기
1959년에 송림사 오층전탑을 해체 수리할 때 2층 탑신의 거북모양 석함 안에서 사리기와 어려 공양물이, 5층 옥개석 윗면에서는 고려 상감청자합이 발견되었다. 화려한 전각모양 사리기 안에 녹색유리 사리병과 잔을 안치하였다. 금판을 오려 만든 신라 고유의 금속공예기술과 서역에서 유입된 유리 제작 기술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다. (안내문, 대구박물관, 2013년)
<출처>
- 안내문, 대구박물관, 2013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0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