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 조계산 송광사 삼청교와 우화각이다. 대웅전이 있는 경내로 들어가는 돌다리로 송광사에서도 경치가 가장 아름다운 장소로 손꼽힌다. 삼청교는 잘다듬은 돌을 쌓아 홍예를 만든 돌다리로 조선후기 숙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규모가 웅장하거나 건축수법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사찰 앞을 흐르는 작은 개울과 전각인 임경당, 사자루와 어우러져 하나의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삼청교 위에 있는 작은 통로 건물인 우화각이 있는데, 종교적인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사찰을 출입하는 사람들의 편의를 위해서 세운 것이다.
송광사는 고려중기 이후에 크게 번창한 사찰로 통일신라 사찰과는 달리 가람배치에 큰 의미를 두는 않고 주위 환경에 어울릴 수 있도록 여러 전각들을 배치하고 있다. 삼청교를 건너자면 바로 출입문인 천왕문이 있고, 그 안쪽에 주불전인 대웅전을 비롯하여 불전과 요사채들이 배치되어 있다. 가람배치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수행을 중시하는 승보사찰 송광사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승보사찰 송광사를 대표하는 풍경을 손꼽히는 사찰 앞을 흐르는 개천을 건너는 돌다리인 삼청교와 우화각.
삼청교와 우화각. 능허교라고도 불리는 삼청교는 잘다듬은 돌로 쌓아 홍예를 만든 돌다리로 그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주위 환경들과 조화를 잘 이루고 있다.
다리위에 세워진 우화각은 통로 역할을 하는 건물로 안쪽 천왕문과 함께 ‘丁’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아래쪽에 있는 요사채 건물인 임경당. 개천쪽으로 돌출된 누마루를 두고 있다. 사찰에서는 잘 볼 수 없는 건물구조로 조선후기 고택에서 볼 수 있는 형태를 하고 있다.
창청교 위쪽에 있는 강당 건물인 사자루와 그 앞을 흐르는 개천
<출처>
- 안내문, 순천 송광사, 2018년
-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