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삼존불상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경북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이다. 영주시 도심 서쪽을 남북으로 흐르는 서천이 내려다 보이는 바위에 새긴 마애삼존상과 작은 여래좌상이다. 삼존상는 큼직한 체구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양쪽에 협시보살이 새겨져 있다. 본존상은 큼직한 코, 다문입, 둥글고 살찐 얼굴 등에서 강인함을 보여주고 있다. 보살상은 둥글고 원만한 얼굴을 하고 있는데 남성적인 느낌을 주고 있는데, 오른쪽 보살상은 보관을 쓰고 보병을 들고 있다. 삼국시대 삼존불상의 형식을 따르면서도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치는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옆에 있는 여래좌상도 크기는 작지만 생동감이 넘치며 조각수법도 양호한 편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보물). 영주 도심을 남북으로 흐르는 서천이 내려다 보이는 바위에 새겨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애여래삼존상(보물). 삼국시대 삼존불상 양식을 따르면서도 사실적이며 생동감이 넘치는 통일신라 불상의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옆쪽에서 본 마애삼존여래좌상. 입체감있게 표현한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2003년 새로 발견된 마애여래좌상.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새겨진 바위. 아래쪽에는 삼한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보이는 암각화가 있다. 예로부터 이 지역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졌던 곳으로 보인다.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 보물 221호, 경북 영주시 가흥동
이 불상은 커다란 자연 화강암벽을 쪼아서 가운데 넓은 면에는 앉아 있는 형상의 본존을, 좌우에는 서 있는 형상의 협시보살을 조각하였다. 가운데 본존상은 상당히 큰 체구로 백발의 머리 위에 큼직한 상투 모양이 표현되어 있다. 얼굴을 팽팽한 뺨, 큼직하고 듬직한 코, 꽉 다문 입 등으로 장중하면서도 활력이 넘친다. 왼쪽 보살상은 가슴이 넓고, 왼팔은 어깨 위로 걸치고 오른팔을 배에 댄 표현 등에서 남성적인 느낌이 든다. 오른쪽 보살상은 비슷한 수법으로 표현되었지만, 보관에 보병이 묘산된 점이나 두 손을 모으고 있는 점은 다르다. 만들어진 시기는 7세기 후반으로 추정된다. 2003년에 새로이 발견된 여래좌상은 목에 삼도가 뚜렷하며 전체적으로 생동감을 느끼게 하는 우수한 작품이다.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출처>

  1.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조선후기 승려 무염의 작품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이다. 주불전인 극락보전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상으로 아미타여래를 중심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구성되어 있다. 17세기 중엽에 활동한 조각승 무염의 작품임이 복장유물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을 통해 확인되었다. 아미타여래좌상은 안정된 신체비례를 하고 있으며, 불분명한 육계, 사각형의 얼굴, 굴곡없는 신체와 옷주름 등 17세기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관세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은 본존불과 거의 비슷한 형태로 크기가 작고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전제적으로 안정된 비례와 조화로운 형태미를 잘 갖추고 있다.

신흥사(新興寺)는 설악산에 외설악 계곡에 위치한 사찰로 백담사를 비롯하여 설악산과 주변지역에 있는 여러 사찰과 암자를 말사로 거느리고 있는 사찰이다. 불국사와 함께 많은 사람들이 찾는 사찰이지만 실제 규모는 그리 크지 않은 편이다. 아미타여래를 모신 극락보전을 주불전으로 하고 있으며,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이 크고 내력이 깊은 편이다. 설악산 대청봉과 내설악으로 연결되는 천불동계곡 입구에 위치하고 있어 예로부터 이곳을 찾는 방문객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조선후기에 활동한 조각승 무염의 작품으로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아미타여래를 본존으로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협시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아미타여래좌상. 간결하면서도 안정된 신체에 사각형에 가까운 얼굴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관세음보살상. 본존불상과 형태는 거의 비슷하며 불꽃무늬의 화려한 보관을 쓰고 있다. 보관 중앙에는 화불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대세지보살상. 관세음보살상과 거의 비슷하며 보주가 장식되어 있는 보관을 쓰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삼존불상이 모셔져 있는 신흥사 주불전인 극락보전.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보물 1721호, 강원도 속초시 설악동
‘속초 신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조성 발원문에 따르면 1651년 무염에 의해 제작되었다. 무염은 대화사 현진과 함께 17세기 전.중엽 경을 대표하는 화사로 조각승 무염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전체적으로 이 삼존불상은 안정적으로 자리잡은 무릎, 당당한 어깨, 알맞은 허리 등 안정된 비례와 조화로운 형태미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체의 불필요한 주름들은 과감하게 생략하였지만, 불신과 불의가 긴밀하게 밀착.연결되어 간결하면서도 세련된 형태미를 보여 주는 우리나라 17세기 중엽의 대표적인 불상이라 할 수 있다. 신흥사 목조아미타삼존좌상은 극락보전 내에 중앙의 아미타불상르 중심으로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 협시불로 봉안되어 있으며, 수인은 오른손을 들고 왼손은 무릎 위에 내려놓은 중품중생인의 수인으로 조성되어 고통의 바다에 살고 있는 모든 중생이 올바른 깨달음을 통해 고통이 전혀 없고 즐거움만 있는 극락세계로 다가갈 수 있도록 이끌어 주시는 분이 아미타불이다. (안내문, 속초시청, 2017년)

<출처>

  1. 속초시청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