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석탑

춘천 칠층석탑(보물)

강원도 춘천시 소양로 도심에 남아 있는 칠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이 올려져 있는 고려시대 칠층석탑이다. 어떤 사찰에 있었는지 알려진 바는 없으나 근처에서 ‘충원사(忠圓寺)’라 적힌 그릇이 발견되어 충원사에 속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2000년에 시행된 보수공사 이전에는 기단부가 땅에 묻혀 있어 불안정해 보였으나, 기단부가 드러나 있는 현재의 모습은 상당히 안정되어 보이며 비례도 적절한 편이다.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6
<춘천 칠층석탑(보물)>

춘천_칠층석탑
<2000년 이전, 기단부가 땅에 묻혀 있는 모습>

위층 기단인 1층 몸돌에 비해 넓게 만들어 상당히 땅에 묻혀 있을 때와는 달리 상당히 안정된 모습을 보여준다.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2<기단부>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3<탑신 1층 몸돌과 지붕돌>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4<2~7층 탑신>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1
<남쪽에서 본 모습>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9
<동쪽에서 본 모습>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8
<북쪽에서 본 모습>

춘천 칠층석탑(보물) 20230809_07
<서쪽에서 본 모습>

춘천 칠층석탑(보물)
춘천 칠층석탑은 석탑에 장식된 연꽃무늬와 조각 수법 등으로 미루어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탑으로 추정된다. 탑이 속했던 사찰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봉의산 서쪽 기슭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는 충원사라는 절에 속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이 탑의 높이가 6.2m이며, 두 개의 기단 위에 7층의 탑신이 놓여 있다. 1층부터 4층까지 아래층 지붕돌과 위층 몸돌을 각각 하나의 돌로 만들었는데, 이는 고려시대부터 강원도에서 많이 나타나는 석탑 양식이다. 지붕돌받침은 1층부터 3층까지는 여섯 단이고, 4층부터 7층까지는 다섯 단으로 일정하지 않다. 탑의 받침대 역할을 하는 위층 기단이 탑 몸돌에 비하여 제법 넓어 안정감이 있으며, 그 위에는 연꽃무늬를 새긴 널판 같은 돌을 놓아 1층 몸돌을 괴게 했다. 탑의 모양은 위로 올라가면서 조금씩 줄어드는데, 기단이 넓은 것에 비하면 몸돌은 작지만 높이가 7층이나 되어 비례의 불균형을 보완하고 안정감을 준다. 이 탑은 원래 기단부가 땅속에 묻혀 있었는데, 2000년 5월에 해체.복원하는 과정에서 땅 위로 올라왔다. 2018년 12월에는 문화재 발굴조사를 반영하여 원래 위치에서 서북쪽으로 약 30m 떨어진 현재의 자리로 옮겨 왔다. (안내문, 춘천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춘천시청, 2023년
  2. ‘보물 춘천 칠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세종시 전의면 다방리 비암사에 있는 삼층석탑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놓은 고려시대 석탑이다. 몸돌 모서리에 기둥을 새긴 것 외에는 특별한 장식이 없는 등 정형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곳에 통일신라 때 백제유민을 위해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3점의 불비상이 발견되었다. 자세한 설명이 없어 발견 당시 비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 궁금하기도 한 곳이다.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1<비암사 삼층석탑>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6<기단부>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7<탑신부>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5<남쪽에서 본 모습>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2<동쪽에서 본 모습>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3<북쪽에서 본 모습>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4<서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계유’가 새겨진 아미타불, 국보, 통일신라, 연기 비암사>

OLYMPUS DIGITAL CAMERA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 보물, 통일신라(7세기), 연기 비암사>

OLYMPUS DIGITAL CAMERA
<’기축’이 새겨진 아마타불과 보살, 보물, 통일신라(689년), 연기 비암사>

비암사는 통일신라 때 도선국사가 창건했다고 알려졌으나 1960년 이곳에서 발견된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국보)에 쓰여진 내용으로 삼국통일 후 백제 유민들을 위해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조선시대 이후에도 지역을 대표하는 사찰로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20230406_08<세종 비암사>

비암사 삼층석탑
탑은 석가모니의 사리나 유품을 보관하기 위해 만든 조형 기념물이다. 이 탑은 1층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로, 1932년 복원 공사를 하면서 없어진 기단부를 보완하고 뒤집혀 있던 석재들을 바로 잡았다. 전체적으로 탑신의 1층 몸돌에 비해 2층 이상에 있는 몸돌이 크게 줄어들었다. 지붕돌이 몸돌에 비해 두해 보이고 밑면의 받침이 4단인 점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1960년 3층 석탑 꼭대기에서 3점의 비상이 발견되어 국립청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3점의 비상은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기축명아미타불비상,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으로 각각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었다.  (안내문, 세종 비암사, 2023년)

<출처>

  1. 안내문, 세종 비암사,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충남 당진시 정미면 안국사지 절터에 있는 석탑(보물)이다. 탑은 그 형태가 온전히 남아 있지않고 투박한 모습을 보여주는 고려시대 석탑이다. 기단부는 통일신라 석탑에 비해 간단하며 탑신 몸돌은 1층만 남아 있고 2층부터는 지붕돌만 있다. 탑신 몸돌에는 1면에는 출입문을, 다른 3면에는 여래좌상을 새겨놓고 있다.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세부적인 조각수법이나 전체적인 조형미는 떨어지는 편으로 고려중기 석탑의 시대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1<당진 안국사지 석탑(보물)>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3<기단부>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4<여래좌상이 새겨진 1층 몸돌(서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6<1층 몸돌(남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7<1층몸돌(서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8<문짝이 새겨진 1층 몸돌(북쪽)>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5<지붕돌>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9<석탑 옆에 있는 다른 석탑의 몸돌>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1
<서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2
<북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23
<동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02<아래쪽에서 본 모습>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10<위쪽에서 본 모습>

안국사는 안국산에 위치한 절터이다. 2003년 출토된 기와에서 요나라 연호가 적혀 있어 고려시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는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삼층석탑(보물), 맹향암각 등이 남아 있다. 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안국산에 안국사가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 사찰에 내력에 대해서 알려진 내용은 없다.

당진 안국사지 삼층석탑(보물)20230316_11<당진 안국사지>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및 석탑, 보물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의 조성시기는 2003년 발굴조사시 출토된 태평(요나라 성종 연호) 명문기와로 보아 고려 현종 12~21년(1021~1030년)으로 추정된다. 중앙의 본존불은 얼굴과 몸이 하나의 돌로 만들어졌고 머리에 네모난 갓 모양의 보개를 쓰고 있다. 두 팔과 두 손이 신체에 조각되어 있고, 좌우에 있는 협시보살도 본존불과 같은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불상 하단의 석탑은 원래 5층일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1층에 1매의 몸돌만 남아 있고 그위에 4매의 지붕틀이 겹쳐져 있으며 받침부의 구조는 매우 간략하다. 1층 몸톨의 네 모서리에 기둥 형태가 표현되어 있고 3면에는 여래좌상, 1면에는 문고리형이 조각되어 있어 4면에 불상을 조각하는 기본 형식에서 벗어난 특이한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불상과 석탑은 고려시대 충청도 지방에서 많이 나타난 양식으로 혼란기 백성들이 마을 공동으로 세운 것으로 거칠고 섬세하지는 않지만 종교적인 구원사상을 넘어 힘든 현실세계의 돌파구를 찾기 위해 노력한 지역공동체의 모습이 엿보인다.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당진시청, 2023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4. 홈페이지, 당진시청, 2023년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보물)

경북 예천군 예천읍 동본리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발견 당시 기단이 땅에 파묻혀 있어 1층인지 2층인지 알 수 없지만 기단부에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되어 있으며, 몸돌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새겼다. 지붕돌 추녀는 반듯하면서 경쾌한 느낌을 준다. 높이 4m의 크니 않은 규모이지만 전체적인 비율이나 조각수법이 세련되었다. 통일신라 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절터에는 삼층석탑과 함께 석조여래입상(보물)이 같이 남아 있다.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0<예천 동본리 삼층석탑(보물)>

기단부 가운데 돌은 4장으로 짜서 맞추었다. 모서리에는 기둥모양을, 가운데에는 사천왕상을 새겨놓고 있다.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9<사천왕상이 새겨진 기단부>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8<남쪽 사천왕상>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1<동쪽 사천왕상>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3<북쪽 사천왕상>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10<탑신>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7<남쪽에서 본 모습>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2<동쪽>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5<서쪽>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21
<북쪽>

주택가에 있는 절터에는 석조여래입상(보물)과 삼층석탑(보물)이 남아 있다. 발굴조사 결과 건물터와 우물 등 유구와 기와, 청자접시 등이 발견되었다.

예천 동본리삼층석탑(보물) 20221130_06<절터>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보물
동본리 삼층석탑은 예천읍을 중심으로 남북을 흐르는 한천의 둑 안쪽 주택가에 있다. 탑의 높이는 4m이며 기단의 폭은 1.6m이다. 기단의 네 면에 새겨진 사천왕은 조각 기법이 정형화되지 않아 독특하며, 탑의 몸돌이 줄어드는 비율과 지붕돌의 크기가 균형을 이루고 있어 아름답다. 지붕돌 밑면의 받침 수가 줄어드는 점이나 탑의 각 부분 아래에 있는 굄돌이 간략하다는 점에서 통일신라 후기에 만들어진 탑으로 보인다. 석탑의 뒤에는 보물인 동본리 석조여래입상이 함께 남아 있어 예전에는 이곳에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석탑 주변에 공동주택 부지를 조성하기 전 절터 등을 확인하고 실시한 2002년 발굴조사 결과, 문이 있던 자리 1곳과 건물이 있던 터 2곳, 고려 시대 우물 등의 유구와 기와, 청자접시 등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사찰의 이름 등 자세한 내력은 확인되지 않는다.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도피안사(到彼岸寺)에 있는 삼층석탑(보물)이다.  2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삼층석탑을 높이는 4.1m이다. 통일신라말에 조성된  일종의 이형 석탑으로 불상대좌처럼 생긴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고 있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에 각각 하나의 돌을 사용하였다. 탑신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 외 별다른 장식이 없다. 지붕돌 받침이 3단, 4단으로 되어 있는 등 정형화된 규칙에서 벗어난 과도적인 모습을 보인다. 불전에 모셔진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63호)과 함께 통일신라 말의 혼란상을 타파하고 호족세력의 힘을 과시하고자 하는 속성을 보여준다.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에 기록된 내용을 볼 때 통일신라 말 도피안사를 창건할 때 같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1-20220726<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일반적인 석탑과는 달리 8각형의 돌로 기단을 쌓았는데, 불상을 올려놓는 대좌나 승탑을 받치는 기단과 비슷한 형태이다. 아래층은 팔각형을 기본으로 낮게 만들어 위층 기단을 받치고 있다. 위층 기단은 가운데 기둥과 위,아래에 받침돌을 두고 있는 형태이다. 아래층 기단에는 안상을 새겼으며, 윗층 기단 받침돌에는 연꽃무늬를 새겼다.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3-20220726<기단부>

탑신은 일반적인 석탑과  같은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지붕돌 밑면 받침이 3단, 4단으로 일정치 않다.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4-20220726<탑신부>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5-20220726<정면에서 본 모습>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11-20220726
<동쪽에서 본 모습>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7-20220726<북쪽에서 본 모습>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6-20220726<서쪽에서 본 모습>

도피안사는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모시기 위해 통일신라 말(865년)에 도선국사가 세웠다고 전해진다. 호족세력의 후원으로 세워진 사찰로 통일신라 사찰의 전통적인 모습에서 벗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불전들은 여러 전란을 거치면서 없어졌지만,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삼층석탑은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현재의 사찰은 한국전쟁으로 소실된 것을 중수한 것이다.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보물) 02-20220726<철원 도피안사>

철원 도피안사 삼층석탑, 보물,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도피안사 법당 앞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기단은 그 구조가 특이해서 보통 4각의 돌을 이용하는데 비해 여기서는 8각 모양의 돌로 높게 2단을 쌓았다. 아래층 기단을 괴기 위한 높직한 8각의 괴임돌이 놓여져 있는데, 이곳에는 연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위층 기단은 매우 높으나 각 면에 꾸밈이 없다. 다만, 기단의 맨 윗돌 아랫면에 다소 두툼한 느낌의 연꽃무늬를 조각하여 둘러 놓았다. 탑신과 닿는 곳에는 높은 3단의 받침을 두어 1층 몸돌을 괴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기단의 꾸밈새는 석탑의 기법이라기보다는 불상의 기단 기법으로 보이며, 덮개돌 윗면의 높은 괴임형식은 9세기 통일신라의 석탑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수법이다. 탑신은 몸돌과 지붕돌에 각각 하나의 돌을 사용하였다. 각 층의 몸돌은 모서리에 기둥 모양의 조각이 얕아서 다소 무거워 보이긴 하나, 네 귀퉁이가 한껏 위로 들려 있어 아름다운 모습이다. 기단의 꾸밈새에서 보이는 특이한 양식, 지붕돌 받침이 4단, 3단으로 일정치 않은 점 등이 통일신라에서 고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모습임을 보여 준다. 탑을 만든 시기는 법당 안에 모셔진 불상에 기록된 내용을 통해, 통일신라 경문왕 5년(865) 절을 건립할 당시 불상과 함께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안내문, 철원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철원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