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암각화

영주 가흥리 암각화,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새겨놓은 바위그림

경북 영주시 가흥동에 있는 암각화이다. 마애여래삼존상(보물 221호)이 새겨진 바위 아래에 새겨진 것으로 높이 1 ~ 1.5 m, 너비 4.5 m 정도이다. 바위에 도구로 쪼아 새긴 방법을 사용한 것으로 3 ~ 5개의 선을 연결하고 있는데 청동기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보인다. 고령 장기리 암각화(보물 605호)의 얼굴그림을 변형하여 표현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 의미는 알 수 없다. 암각화란 선사시대 바위나 동굴벽면에 기호나 물건, 동물 등을 새겨 놓은 것으로 풍요와 생산을 기원하는 주술행위의 결과로 보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영주 가흥리 암각화. 청동기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며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제의 활동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고령 장기리 암각화처럼 큰 하천이 내려다 보이는 바위에 새겨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그림은 얼굴모양을 간략화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 내용은 알 수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암각화가 새겨진 큰 바위. 위쪽에 통일신라 때 조성한 것으로 보이는 마애여래삼존상이 있다. 지역에서 큰 의미를 갖는 장소였던 것으로 보인다.

영주 가흥리 암각화, 경북 영주시 가흥동
이 암각화는 내성천의 지류인 서천이 영주시 서편을 따라 남쪽으로 흐르다가 다시 서남쪽으로 굽어도는 지점에 있다. 가흥리 마애삼존불상과 같은 암반의 남쪽 수직 석벽에 새겨져 있으며 1989년에 발견되었다. 그림이 새겨진 암벽은 거친 화강암질로 높이 약 4 m, 폭이 5 m가 넘는 꽤 큰 규모이다. 암벽은 상하로 구분되는데, 암각화는 하단부에 있으며, 전체 암각화가 차지하는 규모는 높이 1.5 m, 길이 4.5 m 정도이다. 검포형의 암각화가 점차 도식화되어 가는 과정을 보여주며 청동기 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암벽에 신앙의 대상물을 새기고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던 제의 장소로서의 특징이 나타난다.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출처>

  1. 안내문, 영주시청, 2017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8년

고령 장기리 암각화(보물), 알터마을 입구 큰 바위에 새겨진 그림

경북 고령군 대가야읍 장기리에 있는 암각화(보물)이다. 알터마을 입구 큰 바위에 동심원, 십자형, 가면모양 등 다양한 그림들이 새겨져 있습니다. 동심원은 풍요를 기원하는 태양신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십자형은 마을의 생활권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가면모양은 머리카락과 수염 등이 묘사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산동 대가야 고분군에서 정면으로 내려다 보이는 낙동강 지천인 회천 옆 알터마을 입구에 위치하고 있다. 근처 고인돌에 있는 유적에서 석기와 토기 등의 출토되고 있어 청동기시대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암각화는 북방민족과 관련된 유적으로 민족의 기원을 보여주며 당시 사람들의 신앙 형태를 잘 보여주고 있는 유적이다.

SANYO DIGITAL CAMERA고령 장기리 암각화(보물). 청동기시대 사람들이 바위에 새긴 그림으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암각화 실측도

SANYO DIGITAL CAMERA바위 그림 중 태양신을 상징하는 동심원을 볼 수 있다. 농업사회에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갖는 듯 하다.

SANYO DIGITAL CAMERA바위에 새겨진 그림 중 선명하게 보이는 부분. 청동기 유물 중 동기에서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수염이 있는 사람 얼굴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부적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암각화가 새겨진 바위가 있는 알터마을 입구.

고령 양전동 암각화, 보물 605호, 경북 고령군 고령읍 장기리
이 그림은 청동기시대에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암각화이다. 경북지역에서는 처음으로 발견되었으며 소칭 ‘알터마을’이라 불리는 곳에 위치한다. 그림은 높이 3 m, 너비 6 m 정도의 산비탈 절벽에 새겨져 있다. 검파형은 상하로 긴 장방형에 안쪽을 가로선만으로 2~3개로 구분하고 그 안에는 성혈을 묘사하였으며 윗부분은 U자형으로 홈을 파서 깃털모양의 선을 위와 양쪽으로 새겼으며, 모두 29개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가운데의 성혈을 중심으로 3중의 동심원이 가운데와 양쪽으로 각각 1개씩 확인되며, 오른 쪽 위에는 원안에 4개의 점을 찍은 것도 보인다. 이러한 동심원을 일반적으로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진 태양신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일대에서 청동기시대 유물이 함께 채집되었는데 이것들과의 직접적인 연관은 없으나 이곳이 청동기인들의 생활의 터전임을 추측케 한다. 청동기인들이 검파형암각으로 대표되는 신성물을 새기고 동심원으로 태양신을 묘사한 후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던 제의 장소로서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곳이다. (안내문, 고령군청, 2009년)

<출처>

  1. 안내문, 고령군청, 200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선사시대 바위그림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에 있는 바위그림인 천전리 각석(국보)이다. 반구대 암각화(국보)가 있는 대곡천에서 상류방향으로 2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각화 유적으로 바위에 각종 동문문양과 동심원을 비롯한 기학학적인 문양이 상부에 새겨져 있다. 반구대 암각화, 고령 알터마을 암각화와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형태의 암각화는 신석기말이나 청동기시대에 그려진 것으로 농경의 풍요와 다산을 비는 종교적 상징으로 해석되며 북방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하부에는 돛을 단 배, 말, 용 등의 그림과 글씨들이 가는 선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신라 때 새겨진 것으로 기마행렬도, 배가 항해하는 모습 인물 등의 그림들은 당시 생활양식을 연구하는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그림과 함께 800여자 이상의 글씨가 새겨졌던 것으로 추정되며, 약 300여 자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주로 신라 법흥왕때 새겨진 것들이다.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사람들이 새겨놓은 그림으로 당시의 생활모습이나 정신세계 등을 보여주고 있는 유적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오랜 세월동안 바위에 새겨진 그림들이다. 윗부분이 15도 정도 기울어진 형태의 바위에 각종 그림과 글씨가 새겨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바위에 새겨진 그림들. 윗부분에는 각종 동물문양과 동심원, 나선형, 마름모등 추상적인 문양들이 새겨져 있고 아랫부분에는 돛을 단 배와 말 등의 그림과 글씨가 새겨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바위에 새겨진 글씨와 그림 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 놓은 안내표지판의 그림. 아래쪽에 글씨가 많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보147호 울주 천전리 각석 15-20171114

바위그림에 새겨진 각종 문양과 그림들.

암각화란 바위위나 큰 절벽, 동굴 안 벽면 등에 사물이나 기호를 쪼기, 새기기, 칠하기 등의 기법으로 그린 그림을 ‘바위그림’, ‘암각화’라고 한다. 바위그림은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에서도 발견되지만 전형적인 사례들은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주로 찾아진다. 바위그림은 대개의 경우, 풍요, 다산 제의의 산물로 이해되고 있다.
- 기하학무늬: 둥근무늬, 우렁무늬, 마름모꼴무늬, 굽은무늬, 가지무늬
- 동물상: 사슴, 호랑이, 파충류, 환상적인 동물, 물고기
- 인물상, 서있는 입상, 인물상 (안내문, 울산시청, 2011년)

OLYMPUS DIGITAL CAMERA왼쪽편에 새겨진 그림들. 눈으로 인식하기는 쉽지 않지만, 동물그림 등이 많이 새겨진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왼쪽에서 2번째, 마름모꼴 무늬와 물고기모양 무늬 등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왼쪽에서 3번째. 마름모꼴무늬, 사람얼굴 등이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심원, 마름모꼴,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의 문양들이 새겨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왼쪽에서 4번째

OLYMPUS DIGITAL CAMERA왼쪽에서 5번째

OLYMPUS DIGITAL CAMERA아래쪽에 새겨진 그림과 글씨들. 신라 법흥왕 때 새겨진 것으로 추정되며 돛을 단배, 말 등의 그림이 새겨져 있는데 눈으로 인식하기가 쉽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아래쪽에 새겨진 그림들

OLYMPUS DIGITAL CAMERA천전리 각석이 있는 곳으로 들어가는 길.

OLYMPUS DIGITAL CAMERA이곳은 반구대 암각화가 있는 대곡천에서 상류방향으로 2 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그림이 새겨진 바위 입구.

OLYMPUS DIGITAL CAMERA그림이 새겨진 바위. 인공적으로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천전리 각석 앞을 흐르는 대곡천. 반구대 암각화 주변과 마찬가지로 기암괴석이 빼어난 경치를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맞은편에도 비슷한 형태의 바위들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바위 앞을 흐는 대곡천.

울주 천전리 각석(국보 147호),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천전리 산 210
천전리 각석은 1970년 12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견된 암각화 유적으로, 대곡천변에 있는 윗부분이 15도 가량 경사진 형태의 바위에 각종 동물문양과 동심원, 나선형, 음문, 마름모와 추상적인 문양, 역사시대에 새겨진 돛을 단 배, 말과 용 등이 가는 선 그림, 신라시대 명문 등이 새겨져 있다. 청동기시대로 추정되는 추상적인 문양들이 암면의 전면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이러한 추상적인 도형 그림은 농경의 풍요와 다산을 비는 일종의 종교적 상징으로 해석된다. 신라시대로 추정되는 날카로운 금속도구를 이용하여 그어서 새긴 세선화는, 망를 끌거나 돛을 단 단배, 말 등이 행렬을 이루고 있으며, 용 그림 등도 확인된다. 신라시대 명문은 을사, 기미, 등을 통해 6세기 초의 기록으로 추정되며, 명문은 크게 법흥왕의 동생 사부지갈문왕이 을사년(645년) 6월 18일 새벽에 천전리로 놀러와 새긴 것과 사부지갈문왕 부인 지몰시혜가 남편이 죽자 그리움에 사무쳐 그의 흔척이 남은 천전리 계곡으로 어린 아들(후의 진흥왕)과 함께 찾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천전리 각석은 선시대뿐만 아니라 고대사 연구에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유적이다. (안내문, 울산시청, 2011년)

<출처>

  1. 울산시청
  2. 문화재청
  3. 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