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어항

울진 구산항, 조선시대 울릉도 뱃길이 시작되었던 작은 포구

경북 울진군 기성면 구산리에 있는 구산항이다. 울진 월송정 해안 북쪽 끝자락에 있는 작은 어항으로 조선시대 울릉도 순찰에 나섰던 수토사들이 배를 기다리던 곳으로 구산포로 불렸다. 수군만호가 주둔했던 월송진에 속한 포구였던 것으로 보인다. 남쪽으로는 백사장과 울창한 송림이 이어져 있으며, 북쪽으로는 작은 산이 있는 동해안의 전형적이 어항의 모습을 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어선들이 정박해 있는 작은 어항인 구산항>

SANYO DIGITAL CAMERA<대풍헌이 있는 구산항>

구산항은 북쪽에 파도를 막아주는 나즈막한 산이 방파제역할을 하고 있어 배가 정박하기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 조선시대 울릉도를 연결하는 배가 출발하던 곳으로 관리들이 머물렀던 ‘대풍헌’이란 건물이 이곳에 있다.

울진 대풍헌 03-20220711<울진 대풍헌>

구산항 남쪽으로는 수군만호가 머물렀던 관동팔경 중 한곳이었던 월송진 관아가 해안에 있었다.

SANYO DIGITAL CAMERA<구산항 남쪽 해안>

SANYO DIGITAL CAMERA<구산항 방파제>

SANYO DIGITAL CAMERA<방파제가 파도를 막아주는 내항.>

SANYO DIGITAL CAMERA<방파제 바깥쪽>

SANYO DIGITAL CAMERA<구산항 남쪽 월송정 주변 해수욕장>

울진 대풍헌 06-20220711<대풍헌 뒷편 전망대>

울진 대풍헌 07-20220711<전망대에서 내려다 보이는 구산항>

울진 대풍헌<구산항과 월송정>

<출처>

  1. 위키백과, 2017년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7년

 

울진 죽변항, 많은 어선들이 정박해 있는 큰 어항

경북 울진군 죽변면에 있는 죽변항이다. 후포항과 함께 울진을 대표하는 큰 어항으로 울진군 소재지에서 8 km 정도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동해안에서 바깥으로 약간 돌출된 곳에 위치하여 방파제를 쌓기 용한 지형적 장점으로 큰 항구를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유형의 항구로 울진 후포항, 동해 묵호항, 강릉 주문진항 등이 있는데 일제강점기에 어업전진기지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죽변항에는 정박하고 있는 어선의 수도 상당히 많고, 어선의 크기도 큰 편이다. 울진대게가 유명한 곳으로 보이지만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은 아니고, 어업전진기지로서의 역할이 더 큰 항구로 볼 수 있다. 울진 원자력발전소와 봉평리신라비(국보 242호)가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울진 죽변항. 큰 어선들이 많이 정박해 있는 동해안을 대표하는 큰 어항중 한 곳이다.

SANYO DIGITAL CAMERA울진 죽변항과 주변 해안. 동해안으로 돌출된 지형이 방파제 역할을 하기때문에 배가 정박하기 좋은 지형조건을 갖추고 있다.

SANYO DIGITAL CAMERA죽변항 바깥쪽 파도를 막아주는 방파제.

SANYO DIGITAL CAMERA방파제 안쪽 큰 냉동창고. 주위에 큰 어선들이 있다.

SANYO DIGITAL CAMERA방파제 안쪽 내항에 정박해 있는 어선들.

SANYO DIGITAL CAMERA어선들이 잡은 수산물들을 하역하는 공판장.

<출처>

  1. 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17년
  2. 대한민국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017년

영덕 강구항, 오십천 끝자락에 위치한 영덕대게로 유명한 곳

경북 영덕군 강구면 강구리에 있는 강구항이다. 동해안 큰 하천인 오십천이 동해로 흘러드는 지점에 형성된 동해안에서는 큰 편에 속하는 어항이다. 대게가 잡히는 계절에 이곳으로 대게가 집결하여 영덕대게로 잘 알려진 곳이다. 20여 년전 쯤에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그대 그리고 나’에서 주인공이 살면서 일하던 곳으로 유명해 졌다. 동해안 어항의 정취를 잘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어항이다.

SANYO DIGITAL CAMERA영덕 강구항. 영덕대게로 유명한 어항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이다.

SANYO DIGITAL CAMERA강구항은 동해안 하천 중 큰 편인 오십천 어귀에 자리잡고 있다. 동해안에서 바다와 하천이 만나는 곳 중에 항구가 형성되어 있는 흔치 않은 곳이다.

SANYO DIGITAL CAMERA바다를 막고 있는 방파제와 등대.

SANYO DIGITAL CAMERA항구에 정박해 있는 어선.

SANYO DIGITAL CAMERA영덕대게로 유명한 곳답게 항구에 많은 식당들과 어시장이 들어서 있다.

영덕 강구항 07-20170810영덕대게와 홍게

SANYO DIGITAL CAMERA이곳에 인기드라마가 촬영되었음을 알려주는 낡은 표지판

<출처>

  1.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 2017년

고성 백도항,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지가 있는 작은 어항

강원도 죽왕면 문암진리에 있는 백도항이다. 작은 어선 몇척이 정박하고 있는 어항으로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지인 문암리유적지와 같이 있다. 규모가 아주 작은 어촌마을이지만, 동해안에서는 드물게 돌출된 지형이 파도를 막아주어 방파제가 없더라도 파도를 피할 수 있는 지형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또한 주변에 넓은 농토가 있어 신석기인들이 생활터전을 잡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고성 백도항. 동해안에서는 드물게 파도를 피하기 용이한 지형을 갖추고 있는 작은 어항이다.

OLYMPUS DIGITAL CAMERA항구에 정박하고 있는 어선들. 오랜 세월 어업에 종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어시장

OLYMPUS DIGITAL CAMERA백도항 입구.

OLYMPUS DIGITAL CAMERA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신석기시대 주거유적지 중 한곳인 문암리 유적지(사적 426호)

OLYMPUS DIGITAL CAMERA문암리 마을로 들어가는 길. 주위에 꽤 넓은 농지가 있다.

<참고문헌>

  1. 위키백과

양양 물치항과 해수욕장, 설악산과 가까운 곳에 있는 작은 어항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물치리에 있는 작은 어항인 물치항이다. 양양 낙산사에서 속초 대포항까지 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7번국도에 있다. 설악산 대청봉에서 발원하여 동해를 흘러드는 물치천 하구 근처에 방파제를 쌓아 조성하였다. 큰 배가 정학하는 항구는 아니고 소형 어선이나 낚시배 등이 정박하는 곳으로 대포항처럼 설악산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물치항 옆 백사장에는 가족 단위 피서객들이 선호하는 작은 해수욕장이 있다.

양양 물치항 06-2017_07_13양양 물치항. 작은 어선들이 정박하는 조그만 어항이다. 대포항처럼 설앇산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해 조성한 것으로 보이며, 7번국도변에 큰 회센터가 있다.

양양 물치항 04-2017_07_13물치항 방파제.

양양 물치항 07-2017_07_13방파제 끝에 세워진 버섯모양의 등대.

양양 물치항 08-2017_07_13물치항에서 양양 낙산사까지는길게 백사장이 이어져 있다.

양양 물치항 03-2017_07_13설악산 대청봉에서 발원하여 진전사지를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물치천 하구.

양양 물치항 01-2017_07_13여름 한철 개장되는 물치해수약장. 백사장의 규모가 작은 마을 단위의 해수욕장이다.

양양 물치항 05-2017_07_13출입문을 들어서면 여름 한철 피서객을 위한 시설을 준비해 놓고 있다. (7월 중)

양양 물치항 02-2017_07_13해변에 설치해 놓은 편의시설. 사용료는 꽤 비싼듯 하다.

<출처>

  1. 위키백과
  2. 대한민국 구석구석, 한국관광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