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요사채

안동 봉정사 고금당(보물)

경북 안동시 서후면 봉정사에 있는 고금당(보물)이다. 극락전 앞 동향을 하고 있는 건물로 원래는 불상을 모시는 불전이었으나 지금은 요사채로 사용하고 있다. 광해군 때(1616년)에 수리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그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의 작은 건물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규모는 작지만 불상을 모시는 불전으로 격식을 갖추어 꼼꼼하게 지은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안동 봉정사 고금당(보물)>

SANYO DIGITAL CAMERA <정면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극락전 앞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옆면>

봉정사 고금당, 보물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맞배지붕으로 원래 선방이었으나 지금은 요사채로 사용하고 있다. 1969년 해체 복원 당시 발견된 상량문에 의하면 1616년에 고쳐 지은 사실이 있으나 처음 건립한 연대는 확실하지 않다. 당시 남쪽에는 우화루가 있어서 남쪽 지붕이 이 건물과 연결되고 그 아래쪽을 부엌으로 사용하였는데, 1969년 고금당과 화엄강당을 해체하면서 철거하였다. (안내문, 안동 봉정사, 2009년)

<출처>

  1. 안내문, 안동 봉정사, 2009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청양 장곡사 설선당, 조선중기 건축특성이 남아 있는 요사채

충남 청양군 칠갑산 장곡사에 있는 요사채인 설선당(說禪堂)이다. 승려들이 수행하면서 거처하는 건물로 하대웅 마당 서쪽편에 자리잡고 있다. 하대웅전과 함께 조선중기에 지어진 것으로 여러차례 다시 고쳐 지으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동쪽을 향하는 앞면 3칸 건물에 남쪽에 3칸 익랑 건물을 연결하여 ‘ㄱ’자형을 하고 있다. 본채에 해당하는 건물은 주심포 양식이 남아 있는 공포와 세부적인 건축수법 등 조선중기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으나 익랑은 승려들의 생활공간을 위해 후대에 민간 가옥 형식으로 증축한 것으로 보인다.

장곡사 설선당 01-20210414<장곡사 설선당>

본채에 해당하는 건물은 다포계 특징을 많이 따른 주심포 양식으로 조선 중기 건축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앞면 3칸으로 앞쪽에  툇마루를 달아 내었다. 남쪽편으로 1칸을 달아내어 부엌으로 사용하고 있다.

장곡사 설선당 07-20210414<조선중기 건축양식이 남아 있는 본채>

장곡사 설선당 02-20210414<앞쪽에서 본 모습>

장곡사 설선당 03-20210414<조선중기 건축양식이 잘 남아 있는 주심포양식의 공포>

장곡사 설선당 04-20210414<툇마루>

장곡사 설선당 05-20210414<주춧돌 위에 올려 놓은 기둥>

장곡사 설선당 06-20210414<부엌 내부>

남쪽에는 2칸 규모의 살림집 형태의 건물을 달아내었다. 격식을 잘 갖추고 있는 본채와는 달리 민간가옥의 형태를 하고 있다.

장곡사 설선당 09-20210414<남쪽편 익랑 건물>

장곡사 설선당(說禪堂), 조선중기
강설과 참선을 하던 선방건물로 건축된 설선당은 하 대웅전과 거의 같은 때인 조선 중기의 건물로 추정된다. 본래 정면 4칸 측면 3칸의 ‘-’형이었으나, 건물의 남쪽과 서쪽으로 2 부분을 승방으로 증축하여 현재는 ‘ㄱ’형의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건축양식은 세부 수법이 다포계 특징을 많이 따른 주심포이며, 외부로만 2출목을 둔 공포의 돌출된 쇠서(牛舌)의 곡선이 완만하고 힘차게 뻗어 있는 조선 중기 경의 건축 특징이 잘 나타난 훌륭한 건물이다. 기둥은 약간의 배흘림과 민흘림, 원통형 기둥으로 되어 있다. 부엌인 남쪽 1칸은 맞배집 부분을 고쳐 지은 부분이고, 여기에 동서로 서익사 3칸을 잇대어 늘려지였다. 서익사는 민간 주택 구조를 취한 요사이다. (안내문, 청양 장곡사, 2021년)

<출처>

  1. 안내문, 청양 장곡사, 202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순천 송광사 하사당(보물), 조선전기 승방의 모습이 남아 있는 건물

전남 순천시 조계산 송광사 요사채 건물인 하사당(보물)이다. 승려들이 머물면서 수행하는 공간으로 승보사찰로 불리는 송광사의 많은 요사채 중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3칸에 맞배지븡을 하고 있는데, 부엌 위에 환기구를 두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국사당과 함께 조선초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당시 승려들이 수행했던 공간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건물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수행을 중시했던 승보사찰 송광사의 여러 요사채 건물들 중 가장 오래된 하사당(보물)이다.

순천 송광사 하사당
건물은 앞면 3칸 규모로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부엌 위에 솟을지붕을 하고 있는 환기구를 두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모습.

SANYO DIGITAL CAMERA부엌 위 솟을지붕을 하고 있는 환기구.

OLYMPUS DIGITAL CAMERA뒷편 언덕에서 내려다 본 하사당과 여러 요사채 건물들. 대웅전 뒷편 언덕에 국사전(국보 54호)을 중심으로 크고 작은 요사채들이 수행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외부인의 출입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순천 송관사 하사당 내부
하사당 내부. 앞면 2칸규모의 큰 온돌방이다.

<출처>

  1.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