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절터

경주 장항리 사지(사적)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에 있는 통일신라 절터인 장항리 사지(사적)이다. 불국사에서 감은사지와 대왕암으로 연결되는 도로변에서 볼 수 있는 절터이다. 절터에는 서오층석탑(국보)와 동탑의 석재들, 석조불대좌가 남아 있다. 토함산 동남쪽 계곡에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데 좁은 공간에 2개의 탑을 세우고 동쪽에 금당이 배치되어 있다. 강당이나 회랑 건물터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전형적인 쌍탑, 1금당의 가람배치와는 약간 차이가 있다. 석조대좌 위에 놓여 있던 불상은 상반신만 남아 있는데 현재는 경주박물관 마당에 전시되어 있다. 절의 이름이나 내력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장항리사지(사적)>

절터 동쪽에는 불상을 모셨던 석조대좌가 남아 있는 금당터가 있다. 석조대좌에는 안상에 신장상과 동물상이 새겨져 있으며 위에는 불상을 꽂았던 큰 구멍이 있다. 불상은 절터에 흩어져 있었는데 복원하여 경주박물관 마당에 전시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금당터>

OLYMPUS DIGITAL CAMERA<경주박물관에 전시된 불상>

OLYMPUS DIGITAL CAMERA<석조대좌>

OLYMPUS DIGITAL CAMERA<금당터에서 볼 수 있는 주춧돌>

절터는 동.서 2개의 오층석탑이 세워진 쌍탑식 가람배치를 하고 있다. 서탑은 일제강점기에 파괴된 것을 복원하였으며, 동탑은 계곡에 남아 있던 1층 몸돌과 머리돌들을 모아서 쌓아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서 오층석탑>

탑은 2층 기단위에 5층 탑신을 올려놓은 오층석탑이다. 탑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비례가 안정적이며, 돌을 다듬은 조각수법도 뛰어나다. 경주에서는 흔치 않은 오층석탑 형식을 하고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장항리사지 서오층석탑(국보)>

OLYMPUS DIGITAL CAMERA<동오층석탑>

OLYMPUS DIGITAL CAMERA<1층 몸돌에 새겨진 문짝과 인왕상(남쪽)>

OLYMPUS DIGITAL CAMERA<인왕상 (동쪽)>

OLYMPUS DIGITAL CAMERA<인왕상 (북쪽)>

OLYMPUS DIGITAL CAMERA<인왕상 (서쪽)>

절터는 경주에서 감은사지와 대왕암이 있는 감포해변으로 가는 도로변 언덕에 위치하고 있다. 언덕에 우뚝 서 있는 오층석탑을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곳에 절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장항리사지(사적>

OLYMPUS DIGITAL CAMERA<절터가 있는 토함산 동쪽 계곡>

경주 장항리 사지, 사적, 경북 경주시 양북면 장항리 1081
이 절터는 토함산(吐含山)에서 동쪽으로 뻗어내린 산줄기가 두 계곡과 만나는 곳에 위치해 있다. 계곡 물은 대종천(大鐘川)을 따라 흘러 감은사지(感恩寺址)를 지나 대왕암(大王岩) 근처에서 동해에 이른다. 계곡의 높은 절벽 위에 터를 닦고 중앙에는 불상을 모시기 위한 금당을 마련하였다. 잘 다듬은 돌로 기단을 만들고 위에 덮개돌을 얹었던 흔적이 있으며 건물의 앞쪽으로 계단을 마련 하였다. 불상을 놓았던 대좌(臺座)가 남아 있는데 아래·위 두개로 되어 있다. 아래 돌은 여덟 방향에 창 모양의 안상 (眼象)을 만들어 네 곳에는 동물을, 다른 네 곳에는 신장(神將)을 조각하였다. 위에 얹은 돌은 아래·위로 붙은 연꽃을 16송이씩 조각하였다. 이 곳에 깨어진 불상이 있었는데 1932년 서탑을 복원하면서 국립경주박물관 정원에 옮겨 일부를 붙여 세웠다. 통일신라 시대의 일반적인 절 배치에서 보이는 금당 앞의 중문이나 뒤의 강당, 회랑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이 절터에 있는 동·서 5층석탑은 1923년에 도굴꾼들이 무너뜨린 것을 9년 뒤인 1932년에 복원·정비한 것이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5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경주 영묘사, 신라 칠처가람 사천미

영묘사(靈廟寺)는 신라 칠처가람 중 사천미(沙川尾)에 세워진 사찰로 신라 27대 선덕여왕때 창건되었다. 이절에서 개구리가 3,4일 운다는 소리를 듣고 백제 복병이 여근곡에 숨어있었음 감지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영묘사는 사천왕사와 함께 유명한 예술가인 양지스님이 작품이 많았던 사찰로 금당에 모셔졌던 장륙삼존불, 천왕상과 목탑, 기와 등을 만들었다고 한다. 출토유물 중 도깨비얼굴기와에서 화려한 조각수법을 찾아 볼 수 있다. 신라를 대표하는 ‘신라의 미소’로 잘 알려진 얼굴무늬수막새가 이곳에서 출토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봉덕사에 있던 성덕대왕신종(국보)을 이곳에 옮겨 왔었다고 전한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흥륜사지(사적)>

경북 경주시 사정동에 있는 흥륜사지(사적)에서는  ‘흥’자가 적힌 기와와 ‘영묘사’라고 적힌 기와가 출토되어 이곳에 있던 사찰이 ‘영묘사’인지 ‘흥륜사’인지 확인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영묘사’가 새겨진 암키와, 8~9세기, 경주박물관>

선덕왕 지기삼사(善德王 知幾三事)
제27대 덕만(德曼) 만(万)이라고도 한다의 시호는 선덕여대왕(善德女大王)으로 성은 김씨이며 아버지는 진평왕(眞平王)이다. 정관(貞觀) 6년 임진(壬辰)에 즉위하여 나라 다스리기 16년 동안에 미리 안 일이 세 가지 있었다. ~ 생략 ~ 둘째는 영묘사(靈廟寺)옥문지(玉門池)에 겨울임에도 많은 개구리가 모여 3~4일 동안이나 울었다. 나라 사람들이 그것을 괴이하게 여겨 왕에게 물은 즉, 왕은 급히 각간 알천(角干 閼川)·필탄(弼呑) 등에게 명하여 정병 2천을 뽑아 “속히 서쪽 교외로 나가 여근곡(女根谷)을 수색하면 필히 적병이 있을 것이니 엄습하여 그들을 죽이라.” 하였다. 두 각간이 명을 받들어 각각 군사 1천 명씩을 거느리고 서쪽 교외에 가서 물으니 부산(富山) 아래에 과연 여근곡이 있었다. 백제의 군사 5백 명이 그곳에 와서 숨어 있으므로 이들을 모두 죽여 버렸다. (삼국유사 권 제1 > 제1기이,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1년)

얼굴무늬 수막새는 경주 영묘사 터 출토된 기와에 사용된 수막새로 사람얼굴을 하고 있는 유일한 유물이다. ‘신라의 미소’라고도 불리는 이 수막새는 경주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여겨지고 있다. 삼국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얼굴무늬수막새, 경주 영묘사터, 신라 7세기 전반>

용무늬 얼굴을 하고 있는 기와. 신라 최고 조각가였던 양지스님의 흔적이 남아 있는 사실적이고 힘찬 표현이 돋보이는 유물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용얼굴무늬 기와, 경주 영묘사터, 통일신라 8~9세기>

양지사석 (良志使錫 )
석(釋) 양지(良志)의 조상과 고향은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선덕왕(善德王) 때 자취를 나타냈을 뿐이다. 석장 끝에 포대 하나를 걸어놓으면 석장(錫杖)은 저절로 날아가 단월(檀越)의 집에 이르러 흔들면서 소리를 냈다. [그] 집에서 이를 알고 재에 쓸 비용을 [여기에] 넣었고, 포대가 차면 날아서 되돌아온다. 이 때문에 그가 머무는 곳을 석장사(錫杖寺)라고 하였다. 그의 신이함을 헤아리기 어려움이 모두 이와 같은 것들이다. 한편으로는 여러 가지 기예에도 통달하여 신묘함이 비할 데가 없었다. 또한 [그는] 필찰(筆札)에도 능하여 영묘사(靈廟)의 장륙삼존상(丈六三尊)과 천왕상(天王像)과 전탑의 기와, 천왕사(天王寺) 탑 밑의 8부신장(八部神將), 법림사(法林寺)의 주불삼존과 좌우 금강신(金剛神) 등은 모두 [그가] 만든 것들이다. 영묘, 법림 두 절의 현판도 썼으며, 또 일찍이 벽돌을 다듬어 작은 탑 하나를 만들고 아울러 3천 불상을 만들어 그 탑에 모시어 절 안에 두고 공경하였다. 그가 영묘사의 장륙상을 만들 때는 스스로 입정(入定)하여 정수(正受)의 태도로 대하는 것을 법식(揉式)으로 삼으니 이 때문에 성 안의 남녀가 다투어 진흙을 날랐다. (삼국유사 권 제4 > 제5의해,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1년)

OLYMPUS DIGITAL CAMERA<연꽃무늬수막새, 경주 영묘사터, 중앙박물관>

성덕대왕신종(국보)은 조선 세조 때(1460년) 봉덕사에서 영묘사로 옮겨와 안치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성덕대왕신종(국보), 통일신라, 경주박물관>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

경주 흥륜사지(사적), 경주에서 처음 세워진 사찰

경북 경주시 사정동에 있는 흥륜사지(興輪寺址, 사적)이다. 박혁거세 무덤이 있는 경주 오릉 북쪽에 위치하고 있다. 미추왕 때 고구려 승려 아도가 미추왕에게 청하여 천경림 (天鏡林)에 절을 짓고 머물렀다고 한다. 법흥왕 때(527년) 이차돈의 순교로 불교가 공인되면서 절을 다시 짓기 시작하여 진흥왕 때(533년) 완성되었다고 한다. 흥륜사는 이차돈 순교 이후에 절을 짓기 시작하여 진흥왕대에 완공하였다고 한다. 진흥왕이 말년이 스스로 주지가 되었다고 할 정도로 왕실과 관련이 깊었던 사찰이다. 흥륜사 금당에는 선덕여왕때 승상 김양도가 조성한 미륵삼존불상이 모셔졌으며 벽에는 아도, 이차돈 등 신라십성을 그린 벽화가 있었다고 한다. 황룡사, 사천왕사와 함께 경주를 대표하는 큰 절이었으며, 조선시대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다가 화재로 소실된뒤 폐사되었다고 한다. 절터에는 삼국시대에 가장 큰 규모의 석조가 남아 있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흥륜사지(사적)>

절터에는 높이 1.77 m, 너비 3.92 m의 상당히 큰 규모의 석조가 남아 있었다. 통일신라 전성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그 규모나 조형미가 상당히 뛰어난 유물이다. 바깥에 글자들이 새겨져 있는데 흥륜사 절터에 있던 것을 경주읍성 안 금학헌으로 옮겼다는 내용이다. 석조유물이 많았던 경주에서도 유명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흥륜사지 출토 석조, 8~9세기, 흥륜사지>

OLYMPUS DIGITAL CAMERA<농경지로 사용되고 있는 절터>

OLYMPUS DIGITAL CAMERA<절터>

3년이 지났을 때 성국공주(成國公主)가 병이 났는데, 무의(巫醫)도 효험이 없자 사람을 사방으로 보내 의원을 구하게 하였다. 스님이 급히 대궐로 들어가서 마침내 그 병을 고쳤다. 왕은 크게 기뻐하며 그 소원을 물으니, [스님이] 대답하기를, “빈도(貧道)는 백에 [하나도] 구할 것이 없고, 다만 천경림에 절을 지어 불교를 크게 일으켜 나라의 복을 비는 것이 소원일 뿐입니다”고 하였다. 왕은 이를 허락하고 공사를 착수하도록 명령하였다. [당시] 풍속이 질박 검소하여 띠풀을 엮어 지붕을 이었는데, [아도는 여기에] 머물면서 강연하니 가끔 천화(天花)가 땅에 떨어졌다. 절 이름을 흥륜사라고 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3 > 제3흥법,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절터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는데 이 곳에서 ‘흥’자가 적힌 기와가 출토되어 흥륜사 있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후에 영묘사라고 새겨진 기와조각이 출토되어 이 곳은 선덕여왕때 세운 영묘사 절터이고 실제 흥륜사는 영흥사가 있었던 현재의 경주공업고등학교 자리에 흥륜사가 있었다는 견해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사자무늬 수막새, ‘사(寺)’가 새겨진 암키와, ‘흥(興)’이 새겨진 수키와, 연꽃무늬 수막새, 경주 흥륜사터, 통일신라, 경주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연꽃무늬 수막새, 경주 흥륜사터, 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사냥무늬전돌, 경주 전 흥륜사지, 남북국시대(통일신라) 8~9세기, 토제, 중앙박물관>

흥륜사는 신라왕실과 관계가 깊은 아주 큰 절이었지만, 지금은 절터 일부만이 남아 있고 그 자리에는 흥륜사라는 작은 절이 있다.

동경 흥륜사 금당십성
동쪽 벽에 앉아 경방(庚方)을 향한 진흙상은 아도(我道), 염촉(厭髑), 혜숙(惠宿), 안함(安含), 의상(義湘)이고 서쪽 벽에 앉아 갑방(甲方)을 향한 진흙상은 표훈(表訓), 사파(蛇巴), 원효(元曉), 혜공(惠空), 자장(慈藏)이다. (삼국유사 권 제3 > 제3흥법,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OLYMPUS DIGITAL CAMERA<흥륜사 마당>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

OLYMPUS DIGITAL CAMERA<요사채>

이 곳은 이차돈의 순교로 신라 법흥왕 15년(528)에 불교가 공인된 뒤 544년 신라에서 가장 먼저 지어진 흥륜사의 터이다. 신라에 불교를 전파하기 위하여 온 고구려의 승려 아도 (阿道)가 미추왕의 딸인 성국공주의 병을 부처님의 힘을 빌어 낫게 하고자 미추왕에게 청하여 천경림 (天鏡林)에 이 절을 지었다고 전한다. <삼국유사>에 의하면 이 절의 금당(金堂)에 선덕여왕때의 승상 김양도가 조성한 미타삼존상과 아도를 비롯한 신라 십성(新羅十聖)의 상을 흙으로 빚어 모셨다고 한다. 그러나 이곳에서 영묘사(靈廟寺)라고 새겨진 기와조각이 수습된 바 있어, 선덕여왕 때 처음 건립한 영묘사 터로 보는 견해도 있다. 아울러 현재의 경주공업고등학교 자리를 흥륜 사터로 보기도 한다. 절터에는 신라시대의 석조물 가운데 가장 큰 석조와 배례석이 있었는데, 현재 국립경주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

경주 고선사지, 원효대사가 머물렀던 사찰

경북 경주시 암곡동에 있었던 고선사(高仙寺) 절터 출토유물들이다. 고선사의 창건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원효가 머물렀던 곳으로 신라 29대 무열왕 이전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유사>에 원효대사가 이곳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 1913년 절터에서 원효의 행적을 기록한 서당화상비(誓幢和尙碑) 조각이 발견되었다. 절터에는 신라를 대표하는 석탑 중 하나인 고선사지삼층석탑(국보), 거북받침돌 석등대석 등이 있었다. 1975년 덕동댐 공사로 절터가 수몰되면서 유물들은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국보)>

<삼국유사 권 제4 > 제5의해(義解第五) 사복불언 (蛇福不言 ), 사복과 원효의 만남
하루는 그 어머니가 돌아가니, 이때 원효(元曉)는 고선사(高仙寺)註 273에 머무르고 있었는데, 원효가 그를 보고 예를 갖춰 맞이하였다. 사복은 답배하지 않고 말하기를, “그대와 내가 옛날에 경(經)을 실었던 암소가 지금 죽었으니 함께 장사지냄이 어떻겠소?”라고 하였다. (삼국유사 권 제4 > 제5의해,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서당화상비는 고선사 절터 출토된 원효대사를 기르는 비석이다. 9세기초 원효대사의 손자 설중업이 세운 것이라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서당화상비, 경주 고선사지, 통일신라>

신라 출신의 위대한 승려이자 사상가였던 원효대사를 기리며 세운 비석으로 서당화상은 그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원효대사는 지금의 경산 지방인 압량군 남쪽 불지촌에서 태어나 15세 무렵에 출가하였습니다. 그는 의상대사와 함께 중국 유학을 가던 도중 해골에 고인 물을 마시고 큰 깨달음을 얻어 발걸음을 돌렸다고 합니다. 이후 수행과 저술에 힘쓰는 한편, 요석공주와 인연을 맺어 설총을 낳았고, 하층민들과 어울리며 그들의 교화를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이 비석은 원효대사의 손자인 설중업이 애장왕 때 세운 것입니다. 그 뒤에 어느 때인가 파손되었으나, 1914년 고선사 터에서 아랫부분이, 1960년대에 경주시내 민가에서 윗부분의 일부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비석을 받쳤던 귀부는 경주박물관 옥외전시장의 고선사 터 삼층석탑 옆에 전시되고 있습니다. 비문은 33줄이며 한 줄에 61개의 글자가 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비문의 내용은 ‘십문화쟁론’을 비롯한 대표적인 저술서의 성격, 수학과정과 행적, 입적한 장소와 시기, 비석의 건립과 추모사업등을 담고 있어서 원효대사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경주박물관에는 고선사지에서 출토된 거북받침돌을 볼 수 있다. 서당화상비가 있던 거북받침돌이라는 의견도 있으나 비석의 규모에 비해 크기가 작아 다른 비석의 받침돌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고선사지 출토 거북받침돌>

OLYMPUS DIGITAL CAMERA <금동 문 장식, 7세기, 고선사터>

문에 달린 빗장의 일부였습니다. 덕동댐 건설로 1975년 수몰된 경주 고선사터의 금당터 서북회랑 바깥에서 출토되었습니다. 끝부분은 세 잎 모양으로 장식하였고, 중간에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은 연꽃처럼 만들어 구멍을 뚫었습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5년)

OLYMPUS DIGITAL CAMERA<고선사 건물 기둥을 받쳤던 주춧돌>

OLYMPUS DIGITAL CAMERA<지대석>

고선사(高仙寺)
고선사는 원래 알천 상류인 경주시 암곡동에 있던 절로, 현재 이 곳은 덕동댐 건설로 물에 잠겨버렸습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이 절은 신문왕 때 원효대사(617~686)가 머무르던 곳이라고 합니다. 1914년 5월 원효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서당화상비 조각이 발견되어 원효대사가 입적한 686년 이전에 사찰의 면모가 갖추어졌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려사>에는 ‘현종 12년(1021) 고선사의 금란가사와 불정골 등을 내전에 두었다. 는 기록이 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 절의 법등이 이어졌을 것입니다. 그러나 언제 폐허가 되었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1975년 이 절터를 발굴하였는데, 금당터, 강당터, 중문터, 회랑터 등의 건물 터를 확인하였고, 금동불, 기와, 전돌 등 많은 문화재를 찾아냈습니다. 여기 있는 석탑과 금당 터, 비각터의 지대석과 비석받침은 절터에서 옮겨온 것들입니다.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2015년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년
  3. 삼국유사 권 제4  제5의해,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경주 임천사지

경북 경주시 동천동에 있는 임천사(林泉寺) 절터이다. 임천사는 경주 도심 북쪽을 흐르는 북천(알천)변에 있던 통일신라 때 사찰이다. <삼국사기>에 성덕왕 때 큰 가뭄이 들자 기우제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다. 임천사 절터에 있던 석탑과 건축부재 등이 제방 안쪽에 있었는데 1991년 태풍 때 일부 유실되면서 경주박물관으로 옮겨졌다. 신라 41대 헌덕왕릉 남쪽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다. <삼국사기>에 헌덕왕릉이 천림사(泉林寺) 북쪽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임천사와 천림사는 같은 사찰로 추정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천사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헌덕왕릉 남쪽 제방 일대>

가물이 들어 거사 이효가 비가 내려주기를 빌게 하다 ( 715년 06월(음) ), 6월에 크게 가물었다. 왕이 하서주(河西州) 용명악(龍鳴嶽)의 거사(居士) 이효(理曉)를 불러, 임천사(林泉寺) 연못에서 비가 내려주기를 빌게 하였더니, 곧 비가 열흘 동안 내렸다. (삼국사기 권 제8 신라본기 제8 성덕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헌덕왕이 죽다 ( 826년 10월(음) ), 〔18년(826)〕 겨울 10월에 왕이 죽으니, 시호(諡號)를 헌덕(憲德)이라 하고 천림사(泉林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삼국사기 권 제10 신라본기 제10 헌덕왕,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2022년)

OLYMPUS DIGITAL CAMERA<경주박물관으로 옮겨지기 전 석조유물들이 놓여 있던 곳>

가물이 들어 거사 이효가 비가 내려주기를 빌게 하다 ( 715년 06월(음) )
6월에 크게 가물었다. 왕이 하서주(河西州) 용명악(龍鳴嶽)의 거사(居士)  이효(理曉)를 불러, 임천사(林泉寺) 연못에서 비가 내려주기를 빌게 하였더니, 곧 비가 열흘 동안 내렸다. (삼국사기, 권 제8 신라본기 제8,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헌덕왕이 죽다 ( 826년 10월(음) )
〔18년(826)〕 겨울 10월에 왕이 죽으니, 시호(諡號)를 헌덕(憲德)이라 하고 천림사(泉林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삼국사기, 권 제10 신라본기 제10,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OLYMPUS DIGITAL CAMERA<임천사지 출토 석탑 지붕돌>

OLYMPUS DIGITAL CAMERA<각종 석조유물들>

OLYMPUS DIGITAL CAMERA<석탑 지붕돌과 기단 면석 등>

OLYMPUS DIGITAL CAMERA<지붕돌 등>

OLYMPUS DIGITAL CAMERA<석등 받침돌 등>

OLYMPUS DIGITAL CAMERA<건물기둥을 받치는 주춧돌 등>

OLYMPUS DIGITAL CAMERA<석조유물들>

<출처>

  1. 안내문, 경주박물관, 2012년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년
  3. 삼국사기, 권 제8 신라본기 제8, 한국사데이타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