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조선시대

  • 별황자총통, 황자총통을 개량한 화포

    조선시대 화포 천.지.현.황자총통 중 4번째에 해당하는 황자총통을 개량한 별황자총통이다. 황자총통 모양에 화포를 고정시키는 포이가 달려 있으며 병부가 달려 있다. 원래의 황자총통보다는 크고 만드는 방식이 다르다. 조작이 편리하도록 개선한 것으로 보인다. 별황자총통, 조선기존의 천자.지자.현자.황자총통과 달리 총통을 고정시키는 장치인 포이가 달려 있고 병부가 있다. 이 총통은 천자.현자.황자 가운데 황자총통에 해당하는 화포이나, 원래의 황자총통보다 그 규모가 크고 만드는…

  • 황자총통 (보물), 4번째 화포

    조선시대 화포 천.지.현.황자총통 중 4번째에 해당하는 황자총통이다. 가장 크기가 작은 것으로 이동의 편이성을 위해 만들었다. 임진왜란 때 수군에서 많이 사용되었는다. 보물로 지정된 황자총통은 진주박물관에서 볼 수 있으며, 통영 앞바다에 인양된 1점은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이 황자총통(보물)은 총구경 4cm, 길이 50.4cm 크기이다. 몸에는 마디가 4개 있으며 첫째와 둘째 마디 사이에 손잡이가 있다. 몸통에 1587년(선조20년)에…

  • 지자총통 (보물), 2번째 큰 화포

    조선시대 화포 천.지.현.황자총통 중 2번째에 해당하는 지자총통이다. 지자총통 1점(보물, 1986-1)은 진주박물관에서, 1점(보물, 1986-2)은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다. 화약 스무냥을 사용하여 조란탄이라는 철환 이백개나 장군전을 발사한다. 스물아홉 근에 달하는 장군전의 경우 팔백 보를 날아간다. 지자총통은 약통, 격목통, 부리의 세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이 지자총통(보물, 1986-1)은 길이 89.5cm, 10.5cm 크기로 1557(명종 12)에 만들어졌다. 마디는 10개이며, 7번째와 8번째 마디가…

  • 현자총통 (보물), 많이 사용된 화포

    조선시대 화포 천.지.현.황자총통 중 3번째에 해당하는 현자총통이다. 4가지 종류의 화포 중 위력에 뛰어나고 화약의 낭비가 덜해 현자총통이 주로 사용되었다. 현자총통은 여러점이 발굴되었는데 그중 경남 거제 바다에서 발굴된 현자총통(1986, 진주박물관 소장), 여수 바다에서 발굴된 현자총통(1995)가 보물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때 수준의 주력무기로 사용되었으며 소형탄환을 사용하여 육상에서 성을 방어하는데도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다. 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현자총통(1986, 보물)은 1596년(선조29)에 제작되었으며…

  • 천자총통 (보물), 가장 큰 총통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천자총통(天字銃筒, 보물)’이다. 조선시대 우리나라 화포 중 가장 큰 것이다. 총 길이 1.31m, 포구 지름 12.8cm 크기로 8개의 마디가 있다. 포구 쪽에 제작연대를 알 수 있는 명문이 새겨져 있어 1955년 (명종10)에 만들어 졌음을 알 수 있다. 조선중기에는 천자문 순서에 따라 천자현황으로 그 순서를 표기했는데 당시 제일 큰 총통임을 알 수 있다. 탄환으로 대장군전이나…

  • 승자총통(보물),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승자총통

    국립진주박물관에서 전시하고 있는 ‘승자총통(勝字銃筒, 보물)’이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승자총통으로 1579년(선조12)에 만들어졌다. 손잡이에 있는 명문에 따르면 전라좌수사와 경상병사 김지가 만들었다. 전체 길이 56.8cm, 무게 4.5kg이다. 약실쪽에 마디 간격을 좁게 하여 백병전 시 곤봉으로도 사용할 수 있었다. 휴대용 화기인 승자총통 중 초기의 작품으로 긴 총신을 이용해 사정거리를 개선한 무이깅다. 점차 가늠자와 가늠쇠가 추가되는 등 조총과…

  • 세총통(보물), 세종 때 개발된 가장 작은 총통

    육군박물관에서 소장.전시하고 있는 ‘세총통(細銃筒, 보물)’이다. 세종 대에 만들어진 14cm 길이의 최소형 화약 무기로 휴대가 쉬었다. 화약을 넣는 약실과 총신 사이에 2개의 마디를 두고 약실을 약간 도톰하게 만들었다. 평안도에 많이 보내졌는데 사정거리가 짧아 존폐론이 있었으나 휴대와 발사가 간편하여 널리 사용되었다. 총통 자체에 손잡이가 업서 화살 1개를 쇠집게(철흠자)로 발사하였다. 세총통, 조선 1432년, 보물, 복제 (원품: 육군박물관 소장)세종…

  • 이원익 초상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이원익 초상’이다. 모란 공작 흉배를 부착한 운문령 단배를 입고 앉은 관복전신교의좌상이다. 전신상 초상하이면서도 종이 바탕에 그려진 점이 특징이다. 이원익의 초상은 이 초상화 외에도 소수서원, 문중에서 운영하는 충현박물관에도 각 1점씩 더 있다. 이원익 초상, 17세기, 종이에 색이원익(1547~1634)의 본관은 전주, 자는 공려, 호는 오리이다. 태동의 12번째 아들인 익령군의 4대손으로 선조, 광해군, 인조 3대에 걸쳐 영의정을…

  • 류성룡의 투구와 갑옷 (보물)

    안동 하회마을 ‘유성룡 종가 유물 (보물)’ 중 투구와 갑옷이다. 임진왜란 당시 류성룡이 사용했던 것으로 투구와 갑옷 일부가 전해져 오고 있다. 갑옷은 돼지가죽을 일정한 크기로 잘라 만든 미늘을 엮어 만든 비늘갑옷이며 투구는 챙이 있는 원뿔 모양이다. 류성룡의 투구와 갑옷, 류성룡 갑주, 조선 16세기, 보물류성룡은 임진왜란 때 재상으로 이순신, 권율 등 명장을 등용하였던 문신 겸 학자이다. 류성룡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