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조선중기

예천 야옹정(보물)

경북 예천군 용문면 제곡리에 있는 야옹정(野翁亭, 보물)이다. 조선중기 명종 때(1566년) 때 권심언이 아버지 야용 권의(1475~1558년)를 추모하기 위해 지은 정자 건물이다. 건물은 앞면 4칸, 옆면 3칸의 건물로 오른쪽 1칸을 돌출시켰다. 대청 앞에는 비교적 넓은 툇마루를 달아내고 큰 기둥으로 받쳐 전체적으로 누마루를 구성하고 있다. 건물 왼쪽에는 약간의 퇴간을 두고 있으며 지붕을 큰 기둥으로 받치고 있다. 세부적인 건축수법에서 조선전기 건축양식이 많이 남아 있으며 단청을 했던 흔적이 일부 남아 있다.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1<예천 야옹정(보물)>

건물 앞쪽에는 반칸 정도의 툇마루를 두고 있는데 6개의 목재기둥으로 받치고 있어 난간을 둘러 건물 전체가 누마루를 두고 있는 모습이다.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7<건물 앞면 툇간>

지붕을 받치는 공포는 3포 초익공을 사용하고 있는데 조선전기 이전에 많이 사용되었던 주심포 양식과 비슷하다. 막새기와를 사용하고 있으며 단청의 흔적이 남아 있다.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4<지붕을 받치는 공포와 기와>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8<지붕을 받치는 기둥과 서까래>

창호는 가운데 작은 기둥인 설주가 세워진 형태로 조선전기 건축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3<오른쪽 옆면>

예천_야옹정 (2)
<창호>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6<왼쪽 옆면>

예천_야옹정<대청마루 내부>

예천_야옹정 (1)<천장>

건물 주위에 담장을 둘렀으며 오른쪽에 출입문을 두었다.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10<예천 야옹정>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2<예천 야옹정>

예천 야옹정(보물) 20221130_05<예천 야옹정>

예천 야옹정, 보물
이 건물은 조선 중종 때 학자로 의흥현감을 역임한 야용 권의(1475~1558년)의 학덕을 받들기 위해 그의 아들 권심언이 명종 21년(1566)에 세운 정자이다. 정면 4칸, 옆면 3칸의 건물로 왼쪽에 6칸 대청 마루가 있고, 오른쪽에는 온돌방이 놓였으며, 오른쪽 앞면 1칸에 돌출한 마루가 마련되어 있다. 대청 앞면으로 폭이 넓은 툇마루를 설치하고 난간을 돌려 건물 전면을 누각식으로 꾸몄다. 대청 앞 기둥 위 공포의 장식 수법은 조선초기에 볼 수 있는 것이고, 대들보 위의 주조재인 화반이나 대공도 고식으로 꾸며져 있다. 건물 뒷면은 일부 개조되었으나 조선 중기 이전 건축양식의 세부를 간직한 점에서 중요시되는 건물이다.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예천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경주 양동마을 낙선당 고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낙선당(樂善堂) 고택이다. 입향조 손소의 셋째 아들인 손숙돈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조선중기 중종 때 처음 지어졌다. 사랑채가 대문채, 아래채와 함께 독립된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오른쪽에 행랑채와 안채가 ‘ㅁ’자형 본채를 이루고 있다. 집주인이 천석꾼이었다고 하며 많은 곳간을 두고 있다. 마을에서도 가장 큰 규모의 저택에 속하지면 기난을 낮게 하고 건물들은 소박하게 지어졌다. 안채 오른쪽에는 사당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양동마을 낙선당 고택>

대문채는 앞면 3칸  규모로 가운데 출입문, 오른쪽에 행랑방, 왼쪽에 외양간을 두고 있다. 대문채 왼쪽으로 큰 규모의 아래채가 있는데 큰 광과 작은 온돌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채 끝에 있는 작은 온돌방은 작은 사랑방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대문채>

OLYMPUS DIGITAL CAMERA<안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아래채>

OLYMPUS DIGITAL CAMERA<아래채 끝에 있는 작은 온돌방, 작은 사랑방인 것으로 보인다>

사랑채는 앞면 5칸 규모로 왼쪽에 대청마루, 오른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사랑채는 안채와 연결되어 있다. 낙선당(樂善堂)은 사랑채의 이름이며 병자호란 떄 순절한 낙선당 손종로의 호에서 이름을 따왔다.

OLYMPUS DIGITAL CAMERA<사랑채>

OLYMPUS DIGITAL CAMERA<’낙선당’ 현판이 걸려 있는 대청마루>

OLYMPUS DIGITAL CAMERA<사랑채 온돌방>

본채는 앞면 7칸의 행랑채와 ‘ㄷ’자형 몸채를 두어 전체적으로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안채는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오른쪽에 안사랑방, 광 등이 있고 왼쪽에 안방, 부엌 등이 있다. 행랑채은 중문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행랑방을, 오른쪽에는 큰 광을 두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행랑채>

OLYMPUS DIGITAL CAMERA<안채 대청마루와 안방>

OLYMPUS DIGITAL CAMERA<왼쪽 날개채>

OLYMPUS DIGITAL CAMERA<오른쪽 날개채>

OLYMPUS DIGITAL CAMERA<사당>

낙선당(樂善堂)
이 집은 손소의 셋째 아들인 망재 손숙돈이 분가할 때 지은 것이다. 병자호란 때 순절한 낙선당 손종로(1598~1636년)의 호에서 집의 이름을 따왔다. 양반가의 큰 집들은 기단을 높게 쌓은 위에 건물을 올리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집은 기단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 집의 주인이 천석꾼이었다고 하는데, 유난히 많은 곳간과 곡식을 찧었던 디딜방아채의 모습에서 그 흔적을 엿볼 수 있다. 본채 옆에 자리한 건물은 사당이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

경주 양동마을 송첨종택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송첨종택(松簷宗宅)이다. 조선중기에 경주손씨 마을 입향조인 손소가 지은 집으로 아들 손중돈과 외손자 이언적이 태어난 유서깊은 고택이다. 이 집터에서 세명의 현인이 태어났다고 해서 풍수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건물은 ‘-’자형 대문채가 있고 그 안에 안채, 사랑채, 행랑채가 ‘ㅁ’자형을 하고 있다. 사랑채 뒷편에 사당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양동마을 송첨종택>

OLYMPUS DIGITAL CAMERA<대문채>

사랑채<사랑채>

아래채에서_바라본_안채<안채와 안마당>

서백당(書百堂)
이 집은 경주 손씨의 대종택으로, 양민공 손소(1433~1484년)가 만호 류복하의 외동딸과 결혼하여 이 마을에 들어온 후 처음으로 자리를 잡은 곳이기에 유서가 깊다. 지관이 ‘이 집터에서 세명의 현인이 탄생할 것’이라고 예언했는데, 손소의 아들인 우재 손중돈과 외손자인 회재 이언적이 여기에서 태어났다. 사랑채에 걸린 ‘서백당’이라는 현판은 ‘참을 인(忍)자 백번을 쓰며 인내를 기른다’는 뜻이다. 사랑채의 뒤쪽 높은곳에 있는 건물은 사당이며, 마당의 향나무는 500여년이 넘은 것으로 추정한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출처>

  1.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

경주 양동마을 관가정(보물)

경북 경주시 강동면 양동마을에 있는 고택인 관가정(觀稼亭, 보물)이다. 형산강과 기계천이 흐르는 안강평야의 넓은 벌판이 내려다 보이는 언덕위에 자리잡고 있다. 조선중기에 이언적과 함께 마을을 대표하는 인물인 손중돈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ㅁ’자형 건물배치를 하면서도, 왼쪽으로 누마루가, 오른쪽으로는 살림집이 확장되었다. 뒷편에는 손소를 모신 사당이 있으며, 대문과 담은 원래는 없었다. 건물이 들어선 입지나 건축적인 면에서 향단(보물)과 함께 마을에서 가장 좋아 보인다.  관가정 앞 언덕에 있는 정자나무 아래에서 주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주 양동마을 관가정(보물)>

양동마을을 들어서면 보이는 인상적인 건물이 향단(보물)과 관가정(보물)이다. 두건물은 마을을 대표하는 인물인 이언적과 손중돈이 조선중기에 지은집으로 당시 상류층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마을입구 언덕에 지어진 관가정>

OLYMPUS DIGITAL CAMERA<언덕 아래에서 보이는 모습>

중문 왼쪽에 있는 사랑채는 온돌방 2칸과 누마루 형식의 대청마루 2칸으로 되어 있다. 사랑방과 누마루 주이에는 난갈을 둘렀다.

OLYMPUS DIGITAL CAMERA<사랑채 누마루>

OLYMPUS DIGITAL CAMERA<누마루 내부>

OLYMPUS DIGITAL CAMERA<뒷편에서 본 누마루>

OLYMPUS DIGITAL CAMERA<사랑방>

OLYMPUS DIGITAL CAMERA<누마루 아래 마당과 누마루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OLYMPUS DIGITAL CAMERA<사랑채 앞 마당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중문 오른쪽에는 온돌방, 부엌, 작은방으로 되어 있는데 사랑채와 마찬가지로 외부 경치를 감상하기 좋도록 하고 있다.  행랑채 바깥쪽으로 툇마루는 두고 있지 않으나 양쪽으로 문을 열면 사랑채처럼 외부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안채를 출입하는 중문>

OLYMPUS DIGITAL CAMERA<중문 왼쪽 행랑채>

OLYMPUS DIGITAL CAMERA<뒷쪽에서 본 행랑채 온돌방>

OLYMPUS DIGITAL CAMERA<행랑채에서 내려다 보이는 마을 풍경>

안채는 5칸 규모로 가운데 3칸을 대청마루로 사용하고 있으며, 양쪽에 온돌방이 있다. 안채에는 대청마루를 많이 두고 있는데, 후대에 제사 준비를 위해 건물구조가 변형된 것이라 한다. 오른쪽 날개채에는 작은 대청마루와 부엌이 있으며, 왼쪽 날개채에는 온돌방과 사랑채와 연결되는 마루가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안채 대청마루>

OLYMPUS DIGITAL CAMERA<오른쪽 날개채 대청마루>

OLYMPUS DIGITAL CAMERA<바깥쪽에서 본 모습>

OLYMPUS DIGITAL CAMERA<사랑채와 연결되는 왼쪽 날개채>

OLYMPUS DIGITAL CAMERA<뒤쪽에서 본 모습>

안채 뒷편에는 손소를 모시는 사당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뒷편 사당을 출입하는 삼문>

OLYMPUS DIGITAL CAMERA<사당>

관가정(觀稼亭)
이 집은 조선 중종 때 청백리였던 우재 손중돈(1463~1529년)이 분가하면서 지은 것이다. ‘관가정’은 ‘곡식이 자라는 모습을 본다’는 뜻으로, 누마루에 올라보면 그 이름에 걸맞게 곡식이 익는 들판과 강의 모습이 넓게 펼쳐져 장관을 이룬다. 대청이 매우 넓은 것이 특징인데, 살림집이 후대로 오면서 제시 때 필요한 공간 확보를 위해 변형된 것이다. 본체의 뒤쪽에 손소공을 모신 사당이 있으며, 대문과 담은 원래 없었으나 1981년에 새로 만든 것이다. (안내문, 경주시청, 2012년)

 

  1. 안내문, 경주시청, 2019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21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1년
  4. 위키백과, 2021년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보물)

전남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 무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보물)이다. 조선중기 인조 때 조각상들이 참여하여 조성한 작품으로 지장보살 삼존상과 시왕.권속들을 표현한 21점의 불상들과 발원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장보살상은 동그란 얼굴에 살이 적당히 올랐으며, 신체에 표현된 옷주름은 신체의 굴곡과 양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시왕와 권속상의 각각의 특징과 역할을 생동감있게 묘사하고 있다. 17세기 불상 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발원문을 통해 조성주체와 연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지장보살을 모신 명부전 또는 지장전은 죽은이의 명복을 비는 공간으로 오늘날 대부분 사찰에서는 이 불전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연대가 오래된 곳은 많지 않다. 이 불상은 조성 연대가 비교적 오래된 편이며 임진왜란 당시 승병으로 참전하면서 많은 희생자가 있었던 흥국사의 호국사찰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유물이다.

OLYMPUS DIGITAL CAMERA흥국사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보물). 지장보살을 표현한 불상 중 그 연대가 비교적 오래되었으며 조각수법 또한 뛰어난 편이다.

OLYMPUS DIGITAL CAMERA흥국사 무사전. 지장보살을 모신 불전으로 임진왜란 때 희생된 승병과 신도 등을 위한 공간으로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시왕상 일괄 및 복장유물, 보물 1566호
흥국사 무사전에 봉안되어 있는 지장보살삼존상을 비롯한 시왕.권속일괄은 1648년(인조26년) 수조각승 인균을 비롯한 12명의 조각승들이 참여하여 조성한 작품이다. 지장보살상은 동그란 얼굴에 살이 적당히 올랐으며, 부푼 눈두덩 사이로 짧게 치켜 올린 눈이 인상적이다. 단정한 신체에 표현된 옷주름은 강직한 직선과 부드러운 곡선을 잘 조화시켜 신체의 굴곡과 양감을 잘 살려내었다. 시왕과 권속상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개성적인 특징과 역할을 다양한 표현력과 연출력으로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다. 이 조각들은 17세기 불상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장보살삼존을 비롯한 권속들이 모두 존속하고, 조성주체와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발원문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안내문, 여수 흥국사, 2012년)

  1. 안내문,여수 흥국사, 2012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