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조선후기

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

대전시 대덕구 송촌동에 있는 고택인 소대헌.호연재이다. 조선후기 유학자 송준길의 둘째 손자 송병하가 분가하면서 지은 고택으로, 그의 아들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 지었다. 조선중기 대전지역 대저택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는 곳이다. 앞쪽에 큰사랑채와 작은 사랑채를 나란히 배치하고 작은사랑채 안쪽에 ‘ㄱ’자형 안채를 두고 있다. 안채 뒷뜰에는 사당이 있다. 17세기에 지은 고택의 안채와 큰사랑채, 작은사랑채, 사당 등이 온전히 남아 있어 당시 유력 양반가 사람들이 살았던 집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대전 솓대헌.호연재 고택 20230727_03<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

대전 솓대헌.호연재 고택 20230727_02<큰사랑채>

대전 솓대헌.호연재 고택 20230727_04<작은 사랑채>

대전_소대헌·호연재_고택<안채>

대전 솓대헌.호연재 고택 20230727_01<바깥에서 본 모습>

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
이 고택은 동춘당 송준길의 둘째 손자인 수오재 송병하가 1674년 분가하여 건립한 것을 그의 아들인 소대헌 송요화가 1714년 현 위치로 옮겨 지은 것이다. 송요화의 부인 호연재 김씨는 17~18세기의 여류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한시 130여 수를 남겼다. 기호 지역에서는 보기 드물게 대문을 들어서면 왼쪽에 큰 사랑채(소대헌)와 오른쪽에 작은 사랑채(오숙재)를 별채로 지었다. 작은 사랑채에서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 옆에는 양반가에서도 보기 드문 서고(書庫)가 있다. 기호 지역 양반가의 특징이 잘 보이는 건물이다. (안내문, 대전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대전시청, 2023년
  2. ‘국가민속문화재 대전 소대헌.호연재 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대전시 대덕구 송촌동에 있는 고택인 회덕 동춘당(同春堂, 보물)이다. 조선 효종 때 병조판서 등을 지낸 동춘당 송준길(1606~1672년)이 살았던 저택 별당 건물이다. 규모는 크지 않고 단순한 형태를 하고 있다.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오른쪽 2칸은 대청마루로, 왼쪽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온돌방에는 굴뚝을 별도로 두지 않고 작은 연기구멍을 두어 소박함을 강조하고 있다. ‘동춘당’이라 적힌 현판은 송준길 사후에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이 쓴 것이다.

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20230727_02<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20230727_01<오른쪽에서 본 모습>

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20230727_03<왼쪽에서 본 모습>

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20230727_05<뒷편>

대전 회덕 동춘당(보물) 20230727_06<동춘당 담장>

대전 회덕 동춘당(同春堂), 보물
동춘당은 송이창이 세웠던 건물을 아들인 동춘당 송준길이 38세 되던 해(1643년)에 지금의 자리로 옮겨 지은 별당이다. 건물 앞에 걸려 있는 ‘동춘당’ 현판은 송준길의 사후에 우암 송시열이 쓴 것이다. 동춘이란 ‘만물과 더불어 봄을 함께 한다.”는 뜻이다. 동춘당은 단아하면서도 균형감이 좋고, 우아한 지붕의 곡선 등에서 조선 시대의 별당 건축 양식을 잘 나타내었다. 온돌방 측면에 구멍을 내어 굴뚝을 대신한 것은 ‘따뜻함’이라는 본래의 기능보다는 어려운 백성을 의식한 ‘겸양’의 덕목을 지키려 한 모습을 의미하고 있다. (안내문, 대전시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대전시청, 2023년
  2. ‘보물 대전 회덕 동춘당’,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조영복 초상(보물)

경기도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영복 초상(보물)’이다. 조선중기 때 문신 조영복을 그린 초상화 2점이다. 도포를 입은 초상화는 동생 조영석이 그린 작품으로 유학자의 기품이 잘 드러난 사대부의 모습을 잘 표현하고 있다. 다른 초상화는 당대 유명화가인 진재해가 그린 것으로 조선후기 공신상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같은 시기에 동일한 인물을 두고 다른 성격을 표현하고 있어 그림의 성격과 특성을 비교해 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조영복 초상(보물) 20230308_01
<조영석이 그린 조영복의 초상화, 1724년(경종 4), 비단에 채색, 경기도박물관, 보물>

조영복 초상(보물) 20230308_02<얼굴부분>

조영석이 그린 조영복의 초상화, 1725년(영조1), 비단에 채색, 경기도박물관, 보물
사대부 출신 화가 조영석(1686~1761)이 자신의 맏형 조영복의 54세 때 모습을 그린 초상화입니다. 1724년(경종 4) 조영복이 충청도 영춘(단양)으로 귀양을 가자 그를 찾아가 초본을 그렸고, 조영복이 귀양에서 풀려난 이듬해에 채색한 것입니다. 1713년(숙종 39) 도사(圖寫)한 숙종의 어진을 1748년(영조 24)에 다시 그릴 때, 영조가 이 그림이 실제 조영복의 모습과 너무 흡사하다고 칭찬하면서 조영석에게 숙종 어진을 맡아 그려보라고 권하였습니다. 그러나 조영석은 기예(技藝)로 왕을 섬기는 것은 사대부의 예가 아니라며 거부하였습니다. 영조는 그의 생각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하면서도 따로 책임을 묻지는 않았습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3년)

조영복_초상(공복입은_모습)
<조영복의 초상화(공복입은 모습), 1725년(영조1), 비단에 채색, 경기도박물관, 보물>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3년
  2. ‘보물 조영복 초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백자 청화동정추월문 항아리(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동정추월문 항아리’이다. 원통형의 몸체에 입이 크게 벌어진 형태로 ‘떡메병’이라고도 부른다. 꽃을 꽂는 화병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극히 드문 형태이다. 몸통 전체에 청화안료 산수화를 그려놓고 있다. 한면에는 절벽위에 누각과 깃발을 표현하고, 다른 면에는 둥든달과 배를 저어가는 모습과 멀리 배가 정박해 있는 모습을 그려 놓았다. 그림의 필력과 구도가 뛰어나서 궁중화원이 그린 것을 추정되고 있다.

백자청화 산수무늬병 보물 20220824_01<백자 청화 산수무늬 병, 조선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백자청화 산수무늬병 보물 20220824_02<반대편에서 본 모습>

백자_청화동정추월문_항아리
<다른면>

백자 청화 산수무늬 병, 조선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보름달 뜬 강가 풍경이 병 전면에 그려져 있다. 아래로 내려갈수록 풍만해지는 병의 형태와 너른 강에서 뱃놀이 하는 유유자적한 그림이 잘 어울린다. 이 병은 떡을 칠 때 사용하는 몽둥이처럼 생겼다 하여 ‘떡메병’이라고 하며 화병으로 사용되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2. ‘보물 백자 청화동정추월문 항아리’,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백자 청화죽문 각병(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자 청화죽문 각병(국보)’이다. 몸통을 모깎기 방법을 사용하여 8각 형태로 만든 작품이다. 길게 뻗은 목과 도톰한 아기, 둥근 몸통이 특징이다. 바탕에는 밝은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한쪽면에는 대나무 한그루를, 다른면에는 여러 그루의 대나무가 밀집해 있는 모습을 그렸다. 18세기에 만든 작품으로 추정되며 바탕흙이 눈부시게 희고 유약이 말고 투명한 최상급 조선백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삼성그릅 이건희 전회장이 수집하여 기증한 유물이다.

백자 청화죽문 각병(국보) 20220824_01
<백자 청화 대나무무늬 각병, 조선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백자 청화죽문 각병(국보) 20220824_02<대나무 그림>

백자 청화 대나무무늬 각병, 조선 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동아시아에서 선비를 상징하는 대나무를 단단한 팔각형 병에 간결하고 청초하게 그렸다. 이 병은 바탕흙이 눈부시게 희고 유약이 맑고 투명하여 최상품 조선백자의 면모를 보여준다. 18세기 전반 조선백자의 수준 높은 아름다움을 대표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출처>

  1. 안내문, 중앙박물관특별전, 2022년
  2. ‘국보 백자 청화죽문 각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