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철조불상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도피안사 대적광전에 모셔진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이다. 철로 만든 불상으로 대좌까지 철로 만들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얼굴 갸름하고 온화한 인상이다. 신체는 생동감을 주는 굴곡의 표현이 거의 없으며, 옷주름은 형식적으로 보현되고 있다. 손은 왼손 집게손가락을 펴서 바른손을 감싸는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어 비로자나불을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상 뒷면에 신라 경문왕 때(865년) 만들었다는 내용의 있어 조성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불상이다. 신라말에서 고려초에 유행했던 철조불상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01-20220726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02-20220726<왼쪽에서 본 모습>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01-20220726<오른쪽에서 본 모습>

명문에 따르면 이 불상은 철원 지역 신도 1,500여명이 참여하여 조성하였다고 한다. 통일신라말 지방호족세력의 활발한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04-20220726<불상이 모셔진 도피안사대적광전>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03-20220726<대적광전 내부>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관우리
이 불좌상은 신체와 대좌가 모두 철로 된 신라말의 보기드문 불상이다. 뒷면에 새겨진 139자의 명문 가운데 “함통6년 기유 정월”의 문구가 있어서 이 불상의 제작시기는 신라 경문왕 5년(865)임을 알 수 있다. 살상투의 표현이 분명하지 않은점, 계란모양의 단정한 얼굴, 이상적이며 생동하는 느낌이 사라진 극히 현실적인 체구 등에서 우리는 당시의 참선하고 있는 스님을 대하는 듯한 친근한 느낌을 받는다. 법의에는 얇게 빚은 듯한 평행 옷주름이 전면적으로 표현되어 있는데, 이러한 옷주름은 9세기 후반기 불상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특히 명문에 의하여 이 불상은 철원군의 거사 신도 1,500여명의 열렬한 신앙심에서 만든 것으로써, 당시의 활발했던 불교신앙 결사의 한 단면을 엿보게 한다. 이와 함께 이 불상은 당시 유행하던 철조비로자나불상의 새로운 양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안내문, 철원군청, 2022년)

<출처>

  1. 안내문, 철원군청, 2022년
  2.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2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22년
  4. 위키백과, 2022년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에는 작은 암자인 백운암에 있는 철조여래좌상(보물)이다. 높이 87 cm 정도의 크지 않은 철조불상으로 석굴암 본존불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불상은 8세기 통일신라 불상의 양식을 따르고 있기는 하지만 양감이 풍부하지 하지 않는등 후대인 통일신라 말이나 고려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원래 이곳에 있던 불상은 아니고 인근 사찰에서 옮겨왔다고 하는데 고려시대 큰 사찰이었던 억정사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보물). 석굴암 본존불 양식을 따르고 있는 통일신라 철조불상이다. 최근에 보존처리하여 철조불상 본래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 보물1527호 04-20191208
보존처리하기 전 모습. 일반적인 불상처럼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있는 충주 백운암. 구한말 무당의 신분으로 진령군이라는 작호를 받은 여자 윤씨가 창건한 사찰로 전해진다.

충주 백운암 철조여래좌상, 보물 1527호, 충북 충주시 엄정면 괴동리
백운암 철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8세기 석굴암 본존상 이래로 유행한 편단우견의 항마촉지인 여래좌상이다. 얼굴은 몸 전체에 비해 작은 편이나 이목구비의 표현이 뚜렷하고 근엄한 표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목에는 삼도가 보이고 어깨가 넓으며 가슴이 융기되었고, 결가부좌한 다리의 폭이 넓어서 당당한 자세를 보인다. 전체적으로 양감있게 표현되었고 대의 자락에서 부분적으로 번파식 옷주름을 볼 수 있어 이 불상이 통일신라 8세기 양식을 반영하고 있는 상임을 알 수 있으나 양감이 8세기 불상만큼 풍부한 것은 아니며 항마촉지인의 수인도 전형적인 형식이 아니어서 시대가내려가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조성 시기는 통일신라 말엣 고려 초기로 추정된다. 이 철조여래좌상은 통일신라 불상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어 충주지역의 철불 중에서도 연대가 가장 앞설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상호가 원만하며 조각양식도 좋은 편으로, 통일신라시대 이래 철불 연구에 매우 중요한 상이다. (안내문, 충주시청, 2019년)

<출처>

  1. 안내문, 충주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9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2019년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철로 만든 대표적인 불상

전남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 대적광전에 모셔져 있는 철조비로자나불상(국보)이다. 통일신라말에 조성된 철로 만든 불상이다. 광배와 대좌는 남아 있지 않고 불상만 남아 후대의 불상처럼 닫집에 모셔져 있다. 통일신라 전성기 불상에 비해 긴장감이나 탄력성, 사실적인 표현 등이 부족해 보이며 추상적이고 도식적인 면을 보이고 있다. 철로 만든 불상이 유행했던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초의 경향을 대표하는 불상이다. 불상에 조성내력이 기록되어 있어 당시 조성되었던 비로자나불상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장흥 보림사(寶林寺)는 통일신라말 보조선사 체징(體澄)이 창건하였다. 통일신라말 선종을 이끈 구산선문(九山禪門) 중에서도 가장 먼저 열었던 가지산파(迦智山派)의 중심사찰이었다. 한국전쟁으로 건물이 소실되기 전까지는 20여 동의 전각을 갖춘 큰 사찰이었다. 사찰내에는 삼층석탑과 석등(국보),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 동승탑(보물), 서승탑(보물), 보조선사탑(보물) 등의 문화재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불좌상(국보117호), 높이 2.51m의 철로 만든 불상으로 통일신라말을 대표하는 불상 중 하나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모셔진 대적광전 내부. 불상의 광배와 대좌는 없어지고 후대의 불상처럼 불전 내 닫집에 모셔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이 모셔진 보림사 대적광전.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불전으로 해가 뜨는 동쪽을 향하고 있어 2개의 탑이 남.북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국보117호, 전남 장흥군 유치면 장흥사
비로자나불은 부처가 설법한 진리가 태양의 빛처럼 우주 가득 비추는 것을 형상화한 불상이다. 불교의 진리 자체를 상징하며 법신불(法身佛)이라고도 한다. 이 불상은 신라불의 조형을 따르고 있으나 지나치게 작아진 손과 상체에 비해 무릎이 너무 커 상하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법의는 비교적 두터우며, 느슨하면서도 얇게 빚은듯한 옷주름 등에서 9세기 후반의 불상양식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왼쪽 팔 뒷면에 (대중 2년)이라는 글이 있어 불상이 만들어진 연대가 신라 헌안왕 2년(858)임을 알 수 있다. 불상의 총 길이는 2.51m이다. 통일신라 말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철조불상이 유행이었는데, 이 불상은 그 중에서도 신라 하대의 철조불상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또한 그 조상연대를 확실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안내문.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중앙박물관 불교조각] 통일신라 석조불상과 고려 철조불상

1. 삼국시대 불상2. 반가사유상3. 통일신라 불상4. 고려, 조선시대5, 석조불상, 철조불상

불상은 부처를 형상화한 것을 말하며 불교가 전래된 이래로 부처의 사리를 모신 탑과 함께 중요한 신앙의 대상이었다. 국립중앙박물관 3층 불교조각실에는 대표적인 불상들이 전시되어 있다. 그 중 석굴암 본존불과 함께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삼국시대 반가사유상을 이 곳에서 볼 수 있다. 불상은 크게 그 재료에 따라서 석조불상, 목조불상, 철조불상, 금동불상 등이 있으며, 새겨진 부처님의 모습에 따라서 석가여래, 비로자나여래, 아미타여래, 약사여래가 있다. 중앙박물관에는 국보급 석조불상으로는 경주 감산사터에서 발굴된 감산사 미륵보살입상(국보81호)과 아미타여래좌상(국보82호)이 전시되어 있고,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초기에 만들어진 철불상이 여러점 전시되어 있다. 이들 철조불상들은 주로 고려시대에 호족의 지원을 받아 흥성했던 절이 조선시대에 폐사된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보통 사찰 불당에 모시는 불상들은 대부분 유명 사찰에서 대대로 전해내려 오기때문에 박물관에 있는 경우는 많지 않고, 주로 삼국시대나 고려시대에 크게 융성했다가 조선전기에 폐사지가 된 절터에서 발굴된 불상들이 주로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고, 개인들이 소장했던 작은 금동불상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발굴되고 있어 개별 사찰에서 보관하는 경우보다는 박물관이나 개인들이 소장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중앙박물관 3층 불교조각실. 통일신라를 대표하는 석조불상과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주로 조성되었던 중요한 철조불상들이 전시되어 있다.

불교조각
우리나라에 불상이 처음으로 소개된 때는 불교가 전래된 4세기 후반이지만 본격적으로 만들기 시작한 것은 6세기부터이다. 불상제작 초기에는 단순히 중국 불상을 모방하였으나, 점점 우리나라 특유의 조형감각이 두드러진 불상을 만들게 되었다. 삼국시대 고구려 불상이 사실적인 인체표현보다 강건한 기상을 강조하였다면, 백제불상은 정교함과 세련미가 돋보이며, 신라 불상에는 소박한 아름다움이 있다. 통일신라는 삼국 불상의 특징을 하나로 아우르는 한편 8세기에는 중국 당나라의 사실적인 조각 양식인 성당양식을 받아들여 조화와 균형을 이룬 이상적인 불상을 만들었다. 9세기부터는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불상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특히 중국이나 일본에서 유행하지 않던 항미촉지인(降魔觸地印, 석가모니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손갖춤)을 한 불상이나 지권인(智拳印, 곧추세운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싼 손갖춤)을 한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눈에 보이지 않는 진리의 빛을 형상화한 부처)이 유행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새 왕조의 활력을 반영한 거대한 불상과 지역별로 특색있는 불상을 만들었다. 고려 후기에는 중국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불상을 만들기도 하였다. 조선시대는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억누르는 정책을 따르던 시기였다. 그러나 초기에는 왕실이나 상류계층에서 불상 제작을 후원하였으며, 조선후기에는 여성과 지역민의 후원 아래 전국 각지에서 승려 조각가들이 집단을 이루며 불상을 제작하였다. 불교조각실에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대표적인 불상과 보살상을 시대별, 주제별로 전시하였다.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쇠와 돌로 만든 대형불상, 국보로 지정된 반가사유상과 금동으로 만든 작은 불상들을 통하여 우리나라 불교조각의 특징과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석가여래(釋迦如來)
석가여래는 2,600여 년 전 인도에서 왕자로 태어나 출가하여, 진리탐구와 수행을 통해 보드가야의 보리수 밑에서 큰 깨달음을 얻은 실존 인물인 석가모니를 형상화한 것으로 고려시대 이후에 만들어진 사찰 불전(대웅전)에 모셔진 불상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불상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철조여래좌상, 통일신라 8세기,서산 운산면 출토. 현재 출토된 철불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석굴암 본존불과 그 형태가 비슷하다.

쇠로 만든 이 부처는 1918년 충남 서산시 운산면에서 옮겨온 것이다.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석가모니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머리에 생동감 넘치는 얼굴, 당당한 어깨와 풍만한 가슴, 그리고 결가부좌한 다리의 넘치는 양감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과 매우 비슷하다. 형식화된 9세기 철불과 확연히 구별되는 것으로 보아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나라 철불 가운데 가장 앞선 시기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처의 머리 위에 설치된 집모형은 ‘닫집’,'천개’ 또는 보개’라고도 하는데 이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 내부의 닫집을 복원한 것이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철조여래좌상, 고려 10세기, 경기 하남 하사창동 절터, 남한산성 아래 절터에서 발굴된 철조불 좌상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철불상으로 알려져 있다. 인근에 2개의 탑이 남아있는 동사지 절터가 있다. 태조 왕건 고려를 건국할 때 큰 세력을 가지고 있던 광주지역 호족들이 조성한 것으로 보인다.

“보이지 않는 절대의 힘이 방안 분위기의 장엄함을 한층 조성해 준다는 느낌이다. 정면을 바라보는 얼굴을 앞에서 우러러도 좋지만 고요한 시간에 먼 곳에서 옆 얼굴을 바라보노라면 일점 속기(俗氣)없는 신비로운 검은 영상이 마치 슬픈 마음처럼 가슴을 일렁이게 해 줄 때가 있다.”
- 최순우, 『철조석가여래좌상』(1980년) -

쇠로만든 이 부처는 경기도 하남시 하사창동의 한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지금도 하사창동 절터에는 돌로 만든 대좌의 일부가 남아 있다. 이 부처는 높이가 2.8m에 무게 8.2톤에 달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철불이다. 석굴암 본존불과 같은 형식의 옷차림과 손갖춤을 하고 있으나 허리가 급격히 가늘어진 조형감과 추상화된 세부 표현으로 미루어 통일신라 불상을 계승한 고려 초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부처의 양 무릎에는 딱딱하게 굳은 옻칠의 흔적이 남아 있어, 원래 불상 전체에 두껍게 옻칠을 한 다음 도금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출처: 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철조여래좌상, 고려 10세기, 경기 포천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취한 것으로 추정된다. 편단우견의 착의법, 무릎 앞의 부채꼴 주름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의 모습을 따르고 있으나, 허리가 길어진 부자연스러운 조형미 등으로 미루어 석굴암 본존불을 계승한 고려 초기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부처에서 볼 수 있는 둥글고 온화한 얼굴, 항마촉지인의 손갖춤, 대의의 깃이 왼편 어깨에서 뒤집힌 점, 대의의 물결식 옷주름 등은 개성를 중심으로 한 경기 북부지역 불상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출처: 중앙박물관>

철불(鐵佛)
우리나라의 철불은 통일신라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고려시대까지 크게 유행하였다. 중국은 수대(隋代)와 당대(唐代)에 많은 철불을 만들었으나 현재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 송나라 이후의 것이다. 일본에서는 13세기 가마쿠라시대에 처음으로 철불을 만들었다. 이처럼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철불이 잘 보존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철불을 만들기 시작한 통일신라 후기는 왕실의 권력기반이 흔들리고, 지방 호족들이 제각각 세력을 키우던 시기였다. 이들이 불상을 많이 만들면서, 그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게 된 청동을 철이 대신하게 된 것이다. 또 절은 지방 호족들이 풍부하게 가지고 있던 농기구나 무기재료였기 때문에 쉽게 구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도 동보다 적은 비용으로 큰 불상을 만들 수 있는 경제적 이점을 가진 재료였다. <출처: 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
철조여래좌상좌상, 고려 11세기, 서산 보원사지. ‘백제의 미소’로 유명한 서산마애석불 부근에 있는 보원사지에서 출토된 철조불좌상이다. 보원사는 화엄십찰 중 하나로 충남 서해안에서 상당히 유서깊고 큰 사찰이었으나 어떤 이유에서인지 폐사되었다.

쇠로 만든 이 부처는 충남 서산시 운산면 보원사 터에서 옮겨온 것이다.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손갖춤은 석가모니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항마촉지인으로 추정된다. 몸에 비해 큰 머리와 부자연스러운 옷주름 등은 고려 철불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특히 강원도 원주에서 출토된 철불3구와 얼굴모습, 왼쪽 어깨에서 한 번 접혀져 있는 편단우견(偏袒右肩, 오른쪽 어깨는 드러내고 겉옷인 대의를 왼쪽 어깨와 오른쪽 허리에 걸친 모습), 왼팔이 접히는 곳에 표현된 리본 형태의 옷주름, 항마촉지인의 손갖춤 등에서 거의 동일한 수법을 보이고 있어 같은 조각가 집단이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비로자나여래(毘盧遮那如來)
부처가 설법한 진리가 태양 빛처럼 우주에 가득 비치는 것을 형상화한 것이 비로자나여래이다. 화엄신앙에서 비로자나여래는 진리 그 자체를 뜻하는 법신불이기 때문에 형상화하기 어려운 것이었으나, 7세기 무렵 중국에서 불상으로 만들어졌으며 우리나라에서는 9세기에 널리 유행하였다. 삼국시대에 크게 유행했던 것으로 보이며, 화엄종의 전통이 오래 남아 있는 해인사 같은 사찰에는 비로자나여래를 모신 대광전, 대적광전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고려시대 이후 대부분 사찰이 석가여래를 모신 대웅전을 중심으로 통일되는 경향이 있다. 구례 화엄사 같은 경우에도 대웅전이 주불전 역할을 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석조 비로자나불 좌상, 통일신라, 9세기. 비로자나불상의 전형적이 손갖춤을 하고 있는 불상이다.

비로자나불은 온누리에 가득 찬 진리의 빛을 형상화한 부처이다. 우리나라에서 비로자나불상은 8세기에 등장하여 9세기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보관을 쓰지 않은 부처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손갖춤으로는 한쪽 손으로 반대편 손가락을 감싸 쥔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다. 이 비로자나불상은 얼굴이 동그랗고 표정이 현실적이며, 신체는 둔중하고 옷주름은 계단 모양으로 규칙적이다. 화려하고 생동감 넘치는 광배와 대좌는 통일신라 후반기 석불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출처: 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철조 비로자나불 좌상, 통일신라~고려초, 세부표현에서 세련되지 못하고 형식적인 면을 보이는 전형적인 고려시대 불상을 모습을 하고 있다.

비로자나불은 온 누리에 가득 찬 진리의 빛을 형상화한 부처이다. 우리나라에서 비로자나불상은 8세기에 등장하여 9세기에 크게 유행하였는데, 중국이나 일본과 달리 여래(如來, 부처를 부르는 다른말로 ‘진리의 체현자’, ‘열반에 다 다른자’라는 뜻) 모습으로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단정한 얼굴, 안정감 있는 자세, 표면에 이음매가 보이지 않는 뛰어난 주조 기술 등에서 통일신라 불상의 전통이 엿보인다. 그러나 형식화된 옷주름 등 세부표현에서는 사실성이 떨어지는 고려 철불의 특징도 함께 나타나고 있어, 통일신라 말 고려초에 제작된 불상으로 보인다. <출처: 중앙박물관>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
아미타여래는 모든 중생을 구제하여 극락정토로 이끄는 부처이다. 무한한 진리의 빛을 상징하여 무량광불로 불렸으며, 도교의 불로장생 신앙과 결부되어 무량수불로도 불렸다. 아미타불은 삼국시대 이래로 중생을 구제한다는 대승불교의 교리와 잘 맞아서 그런지 민간에서 많이 숭상받고 있는 부처의 모습이다. 극락전이나 무량수전으로 불리는 불전에 모셔지는데, 이름난 산에 위치한 사찰에서 아미타여래를 주불전에 모신 경우가 많다. 부석사 무량수전, 무위사 극락전, 봉정사 극락전 등의 경우가 있다. 불교를 대표하는 주문인 ‘나무아미타불’에도 등장하는 부처의 모습이다.

OLYMPUS DIGITAL CAMERA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국보 82호, 통일신라 719년무렵, 경주 감산사터, 감산사터에서 출토된 불상으로 조각수법이나 표현이 섬세하며 상당히 뛰어나다.

이 불상은 1915년 경주의 감산사터에서 옮겨온 것으로 광배 뒷면에는 이 불상을 만든 사람, 만든 목적 등이 자세하게 새겨져 있다. 명문에 따르면, 이 불상들은 집사부시랑 김지성이 부모의 은혜와 임금의 은덕에 보답하고자 성덕왕 18년(719년)에 만들기 시작한 아미타불이다. 불상을 만들던 도중 김지성이 성덕왕 19년(720년)에 죽자 김지성의 명복을 비는 내용도 아미타불 광배 뒷면에 함께 새겨졌다. 미륵보살은 온화한 표정과 허리를 약간 비튼 자세를 보이며, 아미타불은 엄숙한 표정으로 곧게 선 자세를 하고 있다. 통일신라 8세기 전반 석조 조각의 수준을 잘 보여주는 빼어난 작품이다. <출처: 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목조여래좌상, 조선 17~18세기. 조선후기에 주로 조성된 삼방불 중 서방세계를 관장하는 의미를 갖는 불상이다.

조선 후기에 널리 제작된 삼방불(三方佛) 중 한 점이다. 삼방불은 일반적으로 가운데 석가불, 석가불의 왼쪽에 약사불, 오른쪽에 아미타불로 구성된다. 각기 중방.동방.서방을 관할하는 삼방불은 조선 후기 사찰에서 가장 중요한 전각인 대웅전에 봉안되었으며, 이 불상은 석가불의 오른쪽에 봉안된 서방 극락정토의 아미타불로 추정된다. 불상의 머리는 신체에 비해 크고, 어깨는 움츠렸으며, 고개를 앞으로 숙인 모습이다. 이러한 불상의 형태와 자세는 높은 불단에 봉안된 불상을 아래에서 올려다 보는 예불자의 시선을 고려하여 제작한 결과로 추정되며, 조선후기 불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출처: 중앙박물관>

약사여래(藥師如來)
약사여래는 모든 육체의 질병뿐만 아니라 무지의 병까지도 고쳐주는 부처로서 대의 왕불이라고도 불린다. 둥근 약단지를 들고 있어 쉽게 알 수 있다. 불교에서는 중요한 신앙대상이지만 삼국시대 이후에는 크게 유행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약사여래는 약사전(藥師殿)에 모셔지는데 대형사찰 중에서 통도사와 강화 전등사를 제외하고는 유서깊은 약사전을 두고 있는 사찰은 많지 않다.

OLYMPUS DIGITAL CAMERA
석조약사여래좌상, 통일신라 9세기, 경주 남산 삼릉곡

이 불상은 원래 경주 남산 삼릉곡 정상 가까이에 있는 마애대불 건너편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약사불은 질병을 고쳐주고 재난에서 구해주며 음식과 옷을 주는 부처로 왼손에는 약단지를 들고 있다. 동통한 얼굴, 건강한 신체, 얌전하게 흘러내린 계단식 옷주름 등에서 통일신라 절정기인 8세기 불상의 여운이 보인다. 그러나 침울한 얼굴표현, 고개를 앞으로 숙인 자세, 화려하고 장식적인 광배와 대좌 등 9세기 불상의 특징이므로 800년을 전후한 시기에 만든 불상으로 추정된다. <출처: 중앙박물관>

미륵보살(彌勒菩薩)
석가모니에게 미래에 성불하리라는 약속을 받았으며, 석가모니가 죽은 뒤 56억7천만 년이 지난 뒤 이 세상에 내려와 모든 중생을 제도 한다고 한다. 미륵신앙은 대승불교와 연관되어 우리나라에서 크게 번창했던 것으로 보이며, 원래는 보살이지만 고려시대 이후 미륵불로 많이 불린다. 미륵불을 모시는 불전은 미륵전(彌勒殿) 또는 용화전(龍華殿)이라 한다. 황룡사 금당에도 미륵불상이 있었으며, 백제의 대형사찰이었던 익산의 미륵사지는 사찰이름 자체에 미륵불이 들어간다. 삼국시대에 비로자나불과 함께 크게 유행했던 부처의 모습이다. 김제 금산사에 삼국시대 금당의 모습을 한 미륵전이 유명하며, 양산 통도사에도 용화전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국보 81호, 통일신라, 8세기, 경주 감산사터. 남성적이며 서구적인 미륵불의 형태가 잘 나타나 있는 불상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부처, 석조 불두, 통일신라 8~9세기

OLYMPUS DIGITAL CAMERA부처, 철조 불두, 고려 10세기

OLYMPUS DIGITAL CAMERA부처, 철조 불두, 고려 10세기

“이 부처님을 보는 순간 가벼운 마음의 흥분을 감출 수 없을 만큼 대번에 좋아졌다. 너그럽고도 앳된 얼굴의 싱싱하면서도 그윽한 미소 속에 스며진 더도 덜도 할 수 없는 참사랑의 간절한 뜻이 내 마음을 훈훈하게 어루만져 주었던 것이다. 마음이 어두울 때 바라보면 그 얼굴은 내가 네 마음 속을 헤아리노라 하는 듯, 혹은 이해하는 듯한 표정으로 굽어보는 것 같다.”
- 최순우, 『철조여래불두』(1980년)

OLYMPUS DIGITAL CAMERA불상의 종류와 명칭.

OLYMPUS DIGITAL CAMERA보살상의 종류와 명칭

OLYMPUS DIGITAL CAMERA아미다 구품인(왼쪽):아미타불이 중생의 신앙심이나 성품의 깊이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어 교화하여 구제한다는 뜻이다. 전법륜인(가운데), 진리의 수레바퀴를 굴린다는 뜻으로, 석가모니가 불교의 진리를 진도할 때의 손갖춤이다. 항마촉지인(오른쪽), 석가모니불이 온갖 번뇌를 물리치고 도를 깨닫는 순간에 짓던 손갖춤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선정인(왼쪽), 참선할 때 짓는 손갖춤으로 모든 부처가 취할 수 있다지권인: 비로자나불이 짓는 손갖춤으로 이치와 지혜,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은 본래 하나라는 뜻이다. 지권인(가운데), 비로나나불이 짓는 손갖춤으로 이치와 지혜, 중생과 부처, 미혹함과 깨달음은 본래 하나라는 뜻이다. 시무외인.여원인(오른쪽), 어떠한 두려움도 없애 주고 어떤 소원도 다 들어준다는 뜻으로 모든 부처가 취할 수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인도의 불상과 보살상

OLYMPUS DIGITAL CAMERA중국의 불상과 보살상.

OLYMPUS DIGITAL CAMERA한국의 불상과 보살상.

OLYMPUS DIGITAL CAMERA일본의 불상과 보살상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중앙박물관
5. 위키백과

 

 

서산 철조여래좌상, 가장 오래된 철조불상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에서 출토된 철조여래좌상이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철조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통일신라 8세기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항마촉지인 손갖춤을 하고 있는 석가여래를 표현한 불상이다. 생동감 넘치는 얼굴과 당당한 어깨, 풍만한 가슴 등 석굴암 본존불을 연상시킨다. 전체적인 신체의 표현이나 조각수법 등이 정형화된 9세기 철조불상과 확연히 다른 것으로 보여 8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불상이 출토된 서산시 운산면에는 화엄십찰 중 한 곳이었던 보원사지와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84호)이 있다. 이 불상이 보원사에 있던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가까운 지역에서 출토된 불상으로 보원사지 출토 철조불상에 비해서 시대적으로 약간 앞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처, 통일신라,8세기,서산 운산면 출토
쇠로 만든 이 부처는 1918년 충남 서산시 운산면에서 옮겨온 것이다. 두 손이 모두 없어졌지만 오른 손목의 위치로 보아 석가모니가 보드가야의 보리수 아래에서 도를 깨닫는 순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항마촉지인의 손갖춤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민머리에 생동감 넘치는 얼굴, 당당한 어깨와 풍만한 가슴, 그리고 결가부좌한 다리의 넘치는 양감 등에서 석굴암 본존불과 매우 비슷하다. 형식화된 9세기 철불과 확연히 구별되는 것으로 보아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우리나라 철불 가운데 가장 앞선 시기의 작품으로 평가된다. 부처의 머리 위에 설치된 집모형은 ‘닫집’,'천개’ 또는 보개’라고도 하는데 이 것은 부석사 무량수전 내부의 닫집을 복원한 것이다. <출처:국립중앙박물관>

OLYMPUS DIGITAL CAMERA철조여래좌상, 철조불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석굴암 본존불과 그 형태가 비슷하다.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문화재청
4. 중앙박물관
5.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