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토성

경산 임당토성과 저습지 유적, 신라 지방세력 압독국 생활유적

경북 경산시 임당동에 있는 임당토성이다. 삼국시대 신라 지방세력 무덤인 임당동고분군(사적 516호) 뒷편에 있는 토성이다. 해발 60 m 정도의 낮은 구릉 정상부를 둘러싸고 있는데 둘레는 950 m 정도이다. 흙을 다져서 쌓는 평편다짐기법으로 토축을 쌓았는데 현재 남아 있는 성벽의 높이는 1.5 m 정도이다. 토성은 4세기에 처음 쌓은 후 6세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임당동고분군이나 『삼국사기』에 기록된 압독국 관련 내용 등으로 볼 때 지방세력의 근거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토성의 입지조건이나 쌓은 방식 등은 삼국초기에 쌓은 토성인 대구 달성이나 경주 반월성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어 같은 문화권에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토성 북쪽과 금호강 사이 임당저습지에 대한 발굴.조사가 있었는데 다양한 생활유적 등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토기, 목기, 골각기, 철제유물 등이 다량으로 출토되어 당시 신라 지방세력의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지로 평가받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경산 임당토성. 영천과 대구사이를 흐르는 금호강 일대 넓은 들판이 내려다 보이는 낮은 구릉에 쌓은 토성으로 대구 달성, 경주 반월성과 비슷한 입지조건 등을 갖추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토성 앞에는 10여기의 무덤이 있는 임당동고분군(사적 516호)가 자리잡고 이다. 이곳에서 금동관, 환두대도 등이 출토되어 신라초기 압독국이라 불렸던 지방세력의 근거지임을 알 수 이다. 남쪽으로 경산시가지가 펼쳐져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흙을 인공적으로 다져서 토축을 쌓은 토성으로 현재 높이 1.5 m 정도의 성벽이 남아 있고, 바깥쪽은 자연지형을 활용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토성 안쪽 구릉 정상부에는 평탄한 공간이 확보되어 있어 지배세력 생활공간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OLYMPUS DIGITAL CAMERA토성 서쪽편 성벽. 그 위로 목책을 올려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토성은 북쪽으로 금호강과 1 km 정도 떨어져 있으며 그 주위에 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다. 토성 바깥쪽에는 주민들 살았던 주거지가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토성 북쪽 저습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다양한 생활유물들이 출토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임당동 유적 발굴.조사 현황도. 토성 북쪽 낮은 저습지 일대에서 생활유물들이 발굴되었다.

OLYMPUS DIGITAL CAMERA토성 동쪽편 성벽.

OLYMPUS DIGITAL CAMERA토성 동남쪽 성벽 안 생활공간.

OLYMPUS DIGITAL CAMERA임당토성 남쪽 성벽.

임당토성
임당토성은 임당동 고분군 북쪽에 있는 방어시설로 1995년에 발굴되었다. 토성은 임당 유적 중 가장 높은 곳(해발 59 ~ 65 m)에 있으며, 주변에 있는 임당 뜰과 금호강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외부의 침입을 막기에 유리한 입지를 갖추었다. 토성의 동쪽과 서쪽 부분 250 m 정도가 발굴되었다. 토성의 성벽은 순수하게 흙으로 만들어졌는데, 지름 30 ~ 50 cm의 기둥구멍에 나무 기둥인 영정주를 1 m 간격으로 두 줄을 세운 후, 양 기둥 사이 4.5 m 정도의 공간을 평편다짐기법으로 쌓아 올렸다. 그 다음 성벽 바깥 부분도 흙으로 덧붙여 쌓아 완성하였다. 남아 있는 토성의 높이는 1.5 m인데, 이러한 시설을 바탕으로 본래 토성의 전체적인 규모는 동서 길이 120 m, 남북길이 350 m, 둘레 950 m 정도의 타원형이었으며, 토성의 벽은 아래쪽 너비 8.5 ~ 9.5 m, 위쪽 너비 4.5 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 조사에서 출토된 토기를 분석한 결과, 토성은 기원후 4세기 전반에 처음으로 만들어져 6세기까지 사용된 것으로 밝혀졌다. 이 기간은 임당 유적에서 신라에 편입된 과거 압독국 유력자들의 무덤인 고총을 만든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토성은 신라에 통합되었으나 세력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던 이 지역 유력자들의 생활공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토성의 근처에 있는 임당 저습지 유적에서는 토성과 같은 시기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일상생활 유물이 다수 출토되었으며, 이로써 당시의 마을을 확인할 수 있어 토성과 주변 마을의 모습과 생활상도 함께 엿볼 수 있다. (안내문, 경산시청, 2020년)

<출처>

  1. 안내문, 경산시청, 2020년
  2. 경산 임당 저습지유적 발굴조사, 영남문화재연구원, 1997년

평택 농성, 지방 호족세력이 터를 잡았던 작은 토성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에 있는 농성((農城)이다. 성벽은 높이는 약 4 m 정도이며 흙으로 쌓은 판축토성이다. 토성은 고대국가가 형성되던 삼국시대 초기에 쌓았던 성곽의 형태로 백제가 쌓은 토성이 많이 남아 있다. 고려시대 이후 외벽을 석축으로 보강한 경우가 많은데 이 곳은 원래 모습이 남아 있다.전체 둘레가 약 300 m 의 작은 평지성으로 동.서쪽에 성문을 두고 있다.  팽성읍 지역은 아산만과 가까운 평야지대로 위치나 규모로 등으로 볼 때 고려말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서 기존에 있던 작은 토성을 보강해서 읍성으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평택 농성은 통일신라 때 중국 당나라에서 망명한 임팔급이 근거지로 삼은 곳으로 알려져 있다. 임팔급은 우리나라 임씨의 시조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임씨들의 조상이 터를 잡은 땅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오늘날까지 잘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평택 농성. 옛 평택현 읍치에서 서쪽으로 약 1.5 km 에 위치하고 있는 작은 토성이다. 둘레 300 m 정도의 작은 토성으로 조선초 전국적으로 읍성을 쌓을 때 원래 있던 토성을 보강해 쌓았던 것으로 보인다.

SANYO DIGITAL CAMERA농성 동문. 출입문 문턱을 비교적 높게 만들었다.

SANYO DIGITAL CAMERA동문 주위 성벽.

SANYO DIGITAL CAMERA농성 내부.

SANYO DIGITAL CAMERA동문 북쪽편 성벽. 높이 4 m 정도의 비교적 높은 성벽이다. 흙을 다져서 쌓는 판축기법을 이용해서 성벽을 쌓았다.

SANYO DIGITAL CAMERA성벽 안쪽과 성벽 위. 주변에 산이 거의 없는 평야지대로 성벽 위에 올라서면 주변 지역이 한눈에 들어온다.

SANYO DIGITAL CAMERA동문 남쪽편 성벽.

SANYO DIGITAL CAMERA성벽 안쪽

SANYO DIGITAL CAMERA농성 동쪽으로 보이는 옛 평택현 읍치인 팽성읍

SANYO DIGITAL CAMERA농성 서문. 출입문 문턱이 동문에 비해 낮다.

SANYO DIGITAL CAMERA서문 주위 성벽.

SANYO DIGITAL CAMERA서문 북쪽편 성벽

SANYO DIGITAL CAMERA서문 남쪽편 성벽 안쪽.

SANYO DIGITAL CAMERA
임팔급 동상, 우리나라 임씨의 시조로 중국 당나라에서 통일신라로 망명하여 이곳 팽성에서 터를 잡고 살았다.

평택 농성(農城),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리
이 성의 축성연대는 임씨의 시조인 임팔급 공이 당의 혼란을 피해 이곳에 망명하여 축성 정착한 것으로 보이나 삼국시대 도적 때문에 쌓았다는 설, 고려 떄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 방어를 위하여 또는 조선중기 임진왜란 때 왜적을 막기 위해 쌓았다는 설 등이 있다. 그러나 이 성이 위치한 지세로 볼 때 이런 소규모의 토축 성곽들은 대부분 초기 근대 국가의 형성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미 이 지역에 임팔급 토착세력 집단들이 그들의 근거지로 축성한 것으로 여겨진다. 평면 형태는 타원형으로 동, 서쪽에 문터가 있고 높이는 4 m 안팎이며 둘레는 약 300 m인데 판축의 방법으로 축조가 되었다. (안내문, 평택시청, 2010년)

<출처>

  1. 평택시청
  2. 문화재청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소

익산 토성(사적), 백제 무왕이 왕궁리 궁성과 함께 세웠던 산성

전북 익산시 금마면 오금산에 있는 익산 토성(사적)이다. 해발 100 m 정도인 오금산 정상과 남쪽 계곡에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오금산성 또는 보덕성이라 불렀다. 7세기 초 백제 무왕이 익산 왕궁리에 궁성을 조성할 때 같이 쌓은 것으로 보인다. 산성은 둘레 690 m로 넓지 않은편이다. 원래 백제식 토성으로 쌓았다가 이후에 석축을 보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있었는데 백제 사비기, 통일신라와 고려시대까지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익산은 백제 왕실이 멸망하기까지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던 지역으로 왕궁리유적.쌍릉.미륵사지.제석사지 등 백제 무왕(재위, 600~641년)과 관련된 유적이 많이 남아 있다. 왕궁리 유적은 무왕의 천도설과 관련된 곳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쌍릉은 7세기에 만들어진 돌방무덤으로 부장된 나무널은 무령왕릉 나무널과 같은 일본산 금송으로 만들어졌다. 미륵사는 미륵신앙을 배경으로 세워진 당대 최대 규모의 사찰이었다.

OLYMPUS DIGITAL CAMERA익산 토성(사적). 백제 무왕이 익산 왕궁리에 궁성을 건설할 때 같이 축성했던 것으로추정되는 곳이다. 원래 흙을 다져서 쌓은 토성이었으나 이후에 석축을 쌓아 보강하였다.

산성 아래에는 익산 쌍릉이 있으며, 동남쪽 3 km 정도 떨어진 곳에 왕궁리유적과 제석사지가, 북쪽으로 3 km 정도 떨어진 곳에 미륵사지가 위치하고 있다. 백제 무왕이 익산지역을 경영하기 위해 이 산성을 쌓았음을 알 수 있다. 주변에 있는 미륵산성, 용화산성 등과 함께 호남지방에서 부여로 연결되는 교통로를 지키는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OLYMPUS DIGITAL CAMERA익산 토성 남쪽 고도리에서 본 익산 토성. 나즈막한 동산으로 서쪽편에 익산 쌍릉이 자리잡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익산 토성 남문으로 오르는 길. 익산 쌍릉 앞을 지나는 길을 따라 약 1 km 정도 들어가면 토성을 오르는 입구에 도착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산성으로 오르는 길. 산성은 100 m 정도 높이의 오봉산 아래 계곡을 둘러싸고 있는 산성으로 마을에서 10여분 정도 걸어 들어가면 된다.

OLYMPUS DIGITAL CAMERA산성 남문 아래에 있는 연못.

OLYMPUS DIGITAL CAMERA남쪽편 성벽. 성벽의 높이는 약 4 m이고 너비는 5.5 ~6 m이다. 남쪽편 성벽은 바깥쪽으로 약간 내어 석축을 쌓아 보강하였다.

OLYMPUS DIGITAL CAMERA서쪽으로 이어지는 성벽. 중간쯤에 남문 터가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문은 처음 쌓은 성벽의 토루를 잘라 만들었는데, 서쪽편에는 토성 성벽이 일부 남아 있다. 문터의 바닥에는 돌을 깔았던 흔적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익산 토성 내부. 둘레 690 m 로 내부 면적이 넓지는 않은 편이다. 많은 군사들이 주둔하면서 장기적으로 농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구조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산성 서남쪽 모서리에서 본 남쪽편 성벽. 백제 토성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구조이다. 백제가 쌓은 산성 중에서는 흔치 않은 형태인 계곡을 중심으로 산성을 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누대가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서남쪽 모서리에서 내려다 본 서쪽편 풍경. 아래쪽에 익산 쌍릉이 자리잡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오금산 정상부를 따라 북쪽으로 이어지는 성벽. 산의 경사진 지형을 활용하고 있으며 토축의 높이는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서쪽 성벽 안쪽으로는 약간의 평탄한 공간이 있다. 현재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기와같은 건춝부재 들이 출토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산성 서쪽 성벽.

OLYMPUS DIGITAL CAMERA북쪽으로 이어지는 성벽.

OLYMPUS DIGITAL CAMERA표지석이 세워져 있는 북쪽 성벽.

OLYMPUS DIGITAL CAMERA오금산 정상부로 이어지는 성벽. 인공적으로 토축을 쌓았음을 알 수 있다. 서울의 몽촌토성 등에서 볼 수 있는 백제계 토성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북쪽 성벽에서 내려다 보이는 풍경. 멀리 미륵사지 석탑을 수리하기 위해 설치해 놓은 하얀천막을 하고 있는 구조물과 미륵사지가 있는 미륵산이 보인다. 미륵산에도 산성이 설치되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산성내 건물터 등이 남아 있는 오금산 정상부.

OLYMPUS DIGITAL CAMERA오금산 정상부. 주변의 산성 주변이 한눈에 들어오는 장소이다.

OLYMPUS DIGITAL CAMERA정상부에서 내려다 보이는 금마면과 왕궁면 일대. 왕궁리 유적지와 제석사지 등이 자리잡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동쪽편 성벽.

OLYMPUS DIGITAL CAMERA산성 남동쪽 모서리. 부근에서 기와와 토기 등이 출토되어 누대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남동쪽 모서리에서 본 남쪽편 성벽.

OLYMPUS DIGITAL CAMERA익산 쌍릉 부근에서 본 익산 토성.

익산 토성, 사적92호, 전북 익산시 금마면 서고도리
익산 평야가 훤히 내려다 보이는 오금산 구릉 위에 쌓은 이 성은,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둘레는 690 m 정도이다. 오금산에 자리잡고 있어 「오금산성」이라 부르기도 한다. 또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고구려 왕족 안승을 보덕국왕에 임명하고 이곳에 살도록 하였다고 하여 「보덕성」으로도 부른다. 이 성은 1980년과 1984년의 발굴 조사로 성의 규모와 구조가 대략 밝혀졌는데, 토성으로 축조하고 남문이 있는 골짜기에 석축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백제 말기와 통일신라의 기와와 토기 등 유물이 출토되어, 백제 무왕(재위 600~641년) 때에 처음 쌓은 산성으로 추정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