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한옥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사남고택 (泗南古宅)이다. 18세기 후반에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앞쪽에는 중문을 중심으로 왼쪽에 큰사랑방이,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이 있다. 큰 사랑방은 기단을 높게 하고 별도로 팔작지붕을 올려 누마루가 있는 독립된 건물처럼 보인다. 앞면 2칸의 큰사랑방은 왼쪽에는 마루방이, 오른쪽에는 온돌방을 두고 있다. 작은사랑방도 비슷한 구조이다. 앞마당 왼쪽에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별채가 있다.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20230831_01<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청송 사남고택<공간배치>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20230831_04<큰사랑방>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20230831_03<작은 사랑방>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20230831_02<별채>

청송 중평마을 사남고택 20230831_05<대문 밖에서 본 모습>

사남고택
평산신씨 신치학이 분가하면서 건립한 주거건축으로 18세기 후반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당호인 사남은 치학의 손자인 우호의 호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 규모의 ‘ㅁ’자형 뜰집이다. 평면은 중문칸을 중심으로 동측에; 4칸 규모의 큰사랑이 독립적으로 자리하고 서측에 작은사랑이 위치해 있다. 따라서 가옥의 전면부분은 모두 사랑공간으로마련되었다. 동측의 큰사랑은 남북축으로 2칸 온돌방이 자리하고 동측 2칸에 마루방을 두었다. 온돌방은 한칸씩 구획되어 있고 마루방은 통칸으로 사용하였다. 서측의 작은사랑은 온돌방 1칸과 사랑마루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현재는 정면쪽으로 창만 설치되어 있고 출입은 부엌쪽과 온돌방에서만 가능하게 되어 있어 평면의 변화가 있었는 듯하다. 큰사랑과 연결되는 동익사와 정침부분은 함실 칸으로 연결되고 서익사는 부엌 한 칸과 안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립년대에 따른 가옥 변화상을 보여주는 독립된 사랑채의 구성수법이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 서벽고택과는 차이점을 보이고 있느나, 전체 구성수법에서는 유사성을 지니고 있다. 사남 신우호의 유물로는 주왕산의 아름다운 절경을 노래한 한시주방팔경을 포함한 다양한 시와 글이 기록되어 있는 ‘사남문집’이 전해지고 있다.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2. ‘국가민속문화재 사남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사남고택’, 디지털청송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마을에 있는 서벽고택(棲碧古宅)이다. 18세기에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처음 지었으며 그 후 확장하였다. 건물은 앞면 5칸, 옆면 4칸의 ‘ㅁ’자형 평면을 하고 있다. 중문칸 서쪽에 큰사랑방을, 오른쪽에 작은사랑방을 두고 있다. 뒷편에 서당과 영모각이 있다.

청송 서벽고택 20230831_01<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20230831_22<큰사랑방>

청송 중평마을 서벽고택 20230831_21<작은사랑방>

청송 서벽고택 20230831_06<옆쪽에서 본 모습>

청송 서벽고택 20230831_07<서당 건물>

청송 서벽고택 20230831_05<영모각>

청송 서벽고택 20230831_04<별채 앞 초가>

청송 서벽고택 20230831_02<큰길에서 보이는 모습>

서벽고택(棲碧古宅)
이 고택은 평산 신씨 시조인 고려 개국공신 장절공 신숭겸 장군의 27세손 한창이 종택에서 분가하면서 건립한 1739년 가옥이다. 영조 15년(1739) 증손인 치구가 확장.증축하면서 호를 따서 서벽고택이라 칭하였다. 정면 6칸, 측면 4칸의 ‘ㅁ’자형 뜰집으로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 사남고택과 함께 2014년 6월 19일에 국가지정 중요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2. ‘국가민속문화재 서벽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서벽고택’, 디지털청송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경북 청송군 판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고택인 초전댁(草田宅)이다. 1806년에 지은 집으로 마을에서는 꽤 오래된 고택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중문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전형적인 경북 북부지역 한옥 양식을 하고 있는 건물로 조선후기 상류층이 살았던 저택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20230831_01<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청송초전댁<공간배치>

사랑채는 앞면 2칸 규모로 사랑방과 사랑마루가 있다. 왼쪽에는 중문과 작은 사랑방이 있다. 안채는 ‘ㄷ’자형으로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양쪽에 온돌방을 두고 있다.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20230831_02<사랑채>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20230831_03<중문과 작은 사랑채>

안채정면<안채>

청송 덕천마을 초전댁 20230831_04<담장 바깥에서 본 모습>

청송 초전댁
이 건물은 청송심씨 석촌공파 7세인 심덕활 공이 요절한 아우 덕종의 양자로 입척한 친아들 헌문의 네번째 돌을 기념하여 순조 6년(1806)에 건축하였다고 전하며, 21세인 의해가 1900년에 보수하여 세거 해오면서 현재에 이르고 있다.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2.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청송 초전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청송 초전댁’, 디지털청송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

청송 덕천마을 찰방공종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찰방공종택이다. 일제강점기인 1933년에 지은 근대 한옥이다. 건물은 안채, 사랑채, 문간채가 ‘ㄷ’자 형태를 하고 있다. 뒷편에는 사당이 있다. 전통적인 고택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잘 꾸며진 근대식 개량한옥의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대저택인 청송 송소고택과 담장을 사이에 두고 있다.

청송 찰방공종택 20230831_01<청송 찰방공종택>

청송 찰방공종택<공간배치>

청송 찰방공종택 20230831_02<들어가는 길>

청송 찰방공종택 20230831_05<사랑채>

청송 찰방공종택 20230831_06<중문채>

청송 찰방공종택 20230831_07<사당>

청송 찰방공종택 20230831_03<별채>

청송심씨 찰방공종택
이 가옥은 청송심씨 악은공의 9세손인 찰방공 심당의 종택으로 계유년(1933)에 건립되었다. 인근의 송소고택과는 담장을 사이에 두고 있고 건물의 구조는 안채, 좌익사, 사랑채, 대문채로 연결되어 ‘ㄷ’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경내 별채에는 조상의 신주를 모신 사당이 있다. 특징은 안마당에 장독대와 화단이 배치되어 있는 등 전체적으로 비교적 정갈하게 잘 꾸며져 있다.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청송 덕천마을 송정고택

경북 청송군 파천면 덕천마을에 있는 송정고택(松庭古宅)이다. 일제강점기(1914년)에 지어진 한옥으로 만석군 집안인 송소고택에서 분가한 집이다. 건물은 사랑채, 안채, 별채가 ‘ㅁ’자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채 앞에는 넓은 마당이 있다. 99칸 대저택 옆에 있어 작아 보이지만 규모가 있는 상류층 저택이다. 일제강점기 지방에서 살았던 지배층이 생활모습을 보여주는 공간이자 대지주계층이 분가하는 과정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청송 송정고택 20230831_01<청송 송정고택>

청송 송정고택<공간배치>

청송 송정고택 20230831_02<대문채>

청송 송정고택 20230831_03<사랑채>

청송 송정고택 20230831_04<별채>

송정고택
송정고택은 1914년에 지어진 송정 심상광의 살림집이다. 심상광은 조선 후기 만석꾼이었던 송소 심호택의 차남으로, 안동 도산서원장, 안동 병산서원장, 청송향교 전교 등을 지낸 인물이다. 큰집인 송소소택과는 연접해 있으며 안채, 사랑채, 별채가 각각 독립되어 있으나, 이들을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ㅁ’자 배치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의 바깥쪽에는 큰 대문이 있고, 그 대문을 중심으로 전면에는 넓은 정원이 조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채로 들어가는 곳에 다시 작은 대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는 책방과 고방이 연결되어 있다. 송정고택은 조선후기 상류사회의 전통가옥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출처>

  1. 안내문, 청송군청, 2023년
  2.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청송 송정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2023년
  3. ‘청송 송정고택’, 디지털청송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소, 2023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