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태그:] 불경

  •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보물)

    안동 광흥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보물)이다. 흰종에 먹으로 글씨를 쓴 것으로 전체 7권 중 1,3권이 남아 있다. 각권의 크기와 글씨체가 달라 여러 사람을 거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끝부분에 책을 만들게 된 경위가 기록되어 있어 정확한 간행연대를 알 수 있다. <백지묵서묘법연화경 권1, 3, 고려 1398년경, 안동 광흥사, 보물> 흰 종이에 먹으로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쓴…

  •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3 ~4(보물)

    안동 광흥사에서 소장하고 있는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3, 4>(보물)이다. 법화경의 내용을 청색 종이에 금색 글씨로 옮겨 쓴 것으로 권3과 권4가 전해지고 있다. 권3의 끝에 ‘施主權圖南(시주권도남)’이라고 적혀 있다. 고려말에 펴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감지금니묘법연화경(보물)> 감지금니묘법연화경 권3, 4, 고려 14세기, 안동 광흥사, 보물 감색 종이에 금으로 <묘법연화경>의 내용을 쓴 사경이다. 현재 권3과 권4가 남아 있는데 필체가 유사하여 동일한 인물이…

  • 영주 부석사 고려목판(보물)

    영주 부석사에 있는 고려목판(보물)이다. <화엄경> 정원본 40권, 진본 60권, 주본 80권 등 3종의 대방광불화엄경을 목판에 새긴 것이다. 정원본(貞元本)은 반야가 번역한 화엄경 40권을 가리키고, 진본(晋本)은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 60권을, 주본(周本)은 실차난타가 번역한 화엄경 80권을 가리킨다. 13세기 거란에서 불경을 수입하여 다신 새긴 것으로 추정된다. <대방광불화엄경 경판, 고려 12~13세기, 영주 부석사, 보물> <대방광불화엄경 경판, 고려 12~13세기, 영주 부석사,…

  •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보물)

    불교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初雕本 佛說迦葉赴佛般涅槃經, 보물)이다. 11세기 거란에 침입에 대응하여 판각한 초조대장경에서 인출한 것이다. 해인사 대장경에는 <가섭부불반열반경(迦葉赴佛般涅槃經)>으로 되어 있는 등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분량이 많지 않지만 <초조대장경>과 <재조대장경>을 비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는 유물이다. 의성 운람사 목조아미타여래좌사 복장유물 중 하나이다.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고려 11세기, 의성 운람사, 보물> <뒷부분>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고려 11세기, 의성 운람사, 보물…

  •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국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初雕本 瑜伽師地論 卷三十二), 국보)이다. 최초의 대장경인 초조대장경을 11세기 전반에 인쇄한 것이다. 100권 가운데 32권으로 처음 새긴 본이다. 해인사에 있는 재조대장경 판본과 비교하면 판수제와 권, 장, 함차 표시의 위치가 다르다. ‘유가사지론’은 인도 미륵보살이 지은 글을 당나라 현장이 번역하여 천자문 순서대로 100권을 수록한 것이다. ‘성문영어’ 시리즈의 저자 송성문씨가 입수하여 기증한 것이다. <거란군을…

  • 월인석보 권11(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월인석보 권11(보물)’이다. <월인석보>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하여 편찬한 불경언해서이다. 권11, 12는 1459년(세조5)에 간행된 초판본이다. <월인천강지곡>을 본문으로 쓰고 <석보상절> 구절로 해설한 후 작은 글씨로 보충설명을 적었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제일 먼저 나온 한글불교대장경으로 훈민정음 연구와 불교학, 서지학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월인석보 권11, 조선 1459년, 종이에 목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옆에서 본 모습> 월인석보…

  •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 권175 (보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감지금니 대반야밀다경 권175(보물)’이다. 금강경(金剛經)이라고도 부르는 이 불경은 조계종의 근본 경전이다. 당나라 현장이 번역한 <대반야경> 600권 가운데 권175이이다. 검푸른 빛이 나는 종이에 금색으로 글씨를 썼다. 고려 문종 때(1055년) 김융범이 부모와 조상의 명복을 빌기 위해 조성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고려 1065년, 감지에 금니,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옆에서 본 모습> 대반야바라밀다경 권175, 고려 1065년, 감지에…

  •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국보), 초조대장경으로 인쇄한 책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초조본 현양성교로 권11(국보)’이다. 인도인 무착이 지은 글을 당나라 현장이 한문으로 번역하여 20권을 수록한 책이다. 이책을 인쇄한 목판은 11세기에 거란에 침입을 물리치려고 조성한 초조대장경이 일부이다. 이 책은 11세기에 간행하여 인출된 것이다. 후대에 다시 판각한 것보다 판각기술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1, 고려 11세기, 종이에 목판 인쇄,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다른 방향에서 본…

  •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보물), 최충헌 가족을 위한 호신용경전과 경갑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보물 )이다. 고려 최씨 무신정권의 최고 권력자 최충헌(1149~1219)과 그 두 아들 최우.최향을 위해 만든 휴대용 불경과 경갑이다. 병풍처럼 펼쳐서 볼 수 있는 형태로 크기는 세로 5.3 cm, 가로 275 cm이다. 권 상.중.하 뒤에는 <일자정륜왕다리니>, <자재왕치온독다리니>, <관세음보살보문품>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은에다 금을 입혀 만든 상자에 책을 넣고 다시 나무상자에 넣어 보관했다. 은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