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통일신라 석등 양식을 잘 갖추고 있는 석등

전북 남원 실상사 백장암에 있는 석등(보물)이다. 삼층석탑(국보)과 나란히 백장암 경내에 세워져 있다. 소박하면서도 간결한 모습을 하고 있는 석등으로 통일신라 석등의 기본형태를 잘 갖추고 있다. 받침돌은 연꽃모양이 새겨진 아래.위받침돌과 가운데 팔각형 기둥으로 되어 있다. 불을 밝히는 화사석이 받침돌 위에 놓여 있다. 화사석은 8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4면에 창을 뚫어 불빛이 퍼져 나오도록 하고 있다. 지붕돌을 간결하게 처리되었다. 원래 지붕돌 위에는 연꽃모양의 장식 올려져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장식이 없어졌다.

불을 밝히는 등(燈)은 인류의 문명생활과 함께 다양한 형태와 재료로 만들어졌다. 석등은 부처의 광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불을 밝혀 조명을 하는 등기(燈器)와 부처에 불빛을 올리는 공양구의 성격을 같이 가지고 있다. 목조건물을 모방해서 만든 승탑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는데 석탑이나 승탑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통일신라 이후 많은 사찰에서 석등을 세웠는데 경주보다는 지방의 화엄십찰이나 선종계통 사찰에서 크고 웅장한 석등이 많이 남아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보물)>

받침돌, 화개석, 지붕돌로 구성된 통일신라 석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전체적으로 8각형으로 되어 있다. 화개석은 4면에 창을 뚫어 불을 밝힐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삼청석탑과 마찬가지 화개석 아래 윗받침돌에는 난간장식을 새겨 놓고 있다. 지붕돌은 간결하게 처리했으며, 그 위에 있었다는 머리장식은 지금은 없다. 문화재청 자료에서 볼 수 있는 석등의 모습과 다른 점이다.

OLYMPUS DIGITAL CAMERA받침돌은 가운데 팔각기둥이 있고 아래와 위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받침돌이 있다.

OLYMPUS DIGITAL CAMERA대웅전에서 내려다 본 석등과 삼층석탑.

OLYMPUS DIGITAL CAMERA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국보10호)와 석등(보물40호)

남원 실상사는 지리산 천왕왕 서쪽편 달궁계곡, 뱀사골 등 지리산의 여러 계곡들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이다. 통일신라 흥덕왕 때(828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며, 지방호족의 지원을 받은 선종계열을 대표하는 구산선문 중 하나였다. 백장암은 실상사에 딸린 작은 암자로 실상사 서북쪽 수청산(772m)  중턱에 위치하고 있다. 실상사가 조선초 세조때 화재로 소실된 이후 숙종대 중건될때까지 실상사 승려들은 이곳 백장암을 비롯하여 작은 암자에서 수행했다고 한다.

OLYMPUS DIGITAL CAMERA실상사 백장암 전경. 원래 삼층석탑과 석등만 있던 자리에 대웅전을 비롯한 불전을 옮긴 것으로 보인다. 사찰 건물 배치나 건물터 흔적 등으로 볼 때 원래 더 많은 건물들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남원 실상사 백장암 석등, 보물 40호, 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이 석등은 각 부분을 팔각형으로 만든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비교적 완연한 모습을 갖추고 있다. 받침부에 연꽃이나 난간을 새긴 기법이 옆에 있는 삼층석탑의 조각기법과 동일하여 서로 같은 시기인 9세기경에 세운 듯하다. 석등의 높이는 2.5 m이며 팔각형 몸체에는 한 면씩 건너 네 면에 네모진 창을 내었다. 몸체와 받침기둥은 거의 장식을 하지 않았고, 지붕은 간결하면서도 평평하게 처리하였다. 실상사 대웅전 앞에 있는 석등에 비해 전체적으로 간결하고 소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