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직지사 대웅전 앞으로 옮겨온 두개의 탑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 대웅전 경내 서 있는 동.서삼층석탑(보물)이다. 문경시 산북면 웅창마을 도천사 옛 절터에 있던 것을 옮겨온 것이다. 1층 기단 위에 3층 탑신을 올려 놓은 통일신라 삼층석탑으로 비로전 앞 삼층석탑과 함께 3기의 석탑이 모두 같은 양식을 하고 있다. 기단을 받치는 넓직한 바닥돌이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경쾌한 느낌을 주고 있다. 상륜부는 직지사로 옮겨올 때 옛 모습을 추정하여 복원한 것이다. 전체적인 비례가 우수하며 조각수법 또한 양호한 편이다.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보물)>

통일신라 전형적인 가람배치에서 볼 수 쌍탑형식을 하고 있다. 비로전 앞으로 같이 옮겨진 삼층석탑과 같은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원래 3기의 탑이 배치되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통일신라 쌍탑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동삼층석탑>

바닥돌이 1층 기단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기단과 탑신 1층 몸돌을 높게 만들어 안정감과 경쾌한 느낌을 같이 주고 있다.


<서삼층석탑>

동삼층석탑과 같은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비로전 앞 삼층석탑>

도천사지 절터에서 같이 옮겨온 것으로 3기의 석탑이 모두 같은 양식을 사용하고 있다.

문경 도천사지 동.서삼층석탑, 보물, 경북 김천시 대항면 운수리
직지사 대웅전 앞에 동·서로 서 있는 2기의 석탑으로, 원래 경북 문경의 도천사터에 쓰러져 있던 것을 이 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두 탑 모두 각 부분의 양식이 같아서 1단의 기단(基壇)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여러 장의 넓적한 돌로 짜여진 기단은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뚜렷한 기둥 모양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 얇고 평평한 지붕돌의 밑면 받침으로 1·2층은 5단, 3층은 4단을 두었고, 수평을 이루던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들려 있다. 꼭대기에 올려진 거대한 모습의 머리장식은 1976년 탑을 옮겨 세울 때 새로 만들어 장식해 놓은 것이다. 탑신의 1층 몸돌 높이가 지나치게 높긴 하나, 전체적으로 세련된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 기단이 1단이고, 지붕돌의 들린 정도 등으로 보아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6년)

<출처>
1.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