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일본실] 일본의 전통 회화

1. 일본이 도자기와 공예품2. 전통회화3. 도카이도 53역 풍경

일본의 전통 회화는 불교의 전래와 함께 불화(佛畵)를 그리는데서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 아스카, 나라 시대에는 신앙의 대상으로 그려진 불화과 주를 이루며 고구려 승려 담징이 그린 호류사 금당벽화가 고대 일본의 전통 회화를 대표하는 작품이었다. 이후 귀족문화의 발달과 함께 10세부터는 풍경이나 풍속을 표현한 야마토에(大和絵)라는 그림이 그려졌다. 전통적인 동양화라 할 수 있는 수묵화는 15세기에 독자적인 모습으로 발전하였다. 에도시대에는 일본미술을 대표하는 분야로 풍경이나 풍속을 간략한 선과 화려한 색채로 표현하는 우키오예 浮世絵)가 많이 그려졌으며, 판화(版畵)형태로 널리 공급되었다. 일본의 그림들은 한국이나 중국의 산수화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주고 있으며, 이런 일본의 회화는 유럽의 인상파 화가들을 비롯하여 서구 미술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
겐지모노카타리는 11세기 초의 여성작가 무라사키 시키부(紫式部)의 장편소설로, 뛰어난 재능과 감성, 그리고 아름다운 외모의 소유자인 동시에 천왕의 아들로 지체 높은 신분까지 갖춘 히카루 겐지(光源氏)의 일생을 다룬 이야기이다. 총 54권에 이르는 장대한 스케일의 일본 고전 문학의 걸작으로, 이후 천년 동안 귀족 문화의 상징으로 회자되며, 또 다른 장르의 예술작품으로 승화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여기에 전시된 화첩 역시 에도 시대에 남아 있던 화려한 헤이안 귀족 문화에 대한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겐지모노가카리가 역사상 일본인의 감서에 미쳐온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예이기도 하다. <출처:중앙박물관>

겐지모노가타리 화첩 중 제27첩 <가가리비(篝火)>, (전) 도사 미쓰오키, 에도시대 17세기 중반, 종이에 채색

겐지모노가타리 화첩 중 제49첩 <야도리기(宿木)>, (전) 도사 미쓰오키, 에도시대 17세기 중반, 종이에 채색

겐지모노가타리 화첩, (전) 도사 미쓰오키, 에도시대 17세기 중반, 종이에 채색

겐지모노가타리 화첩, (전) 도사 미쓰오키, 에도시대 17세기 중반, 종이에 채색

도사 미쓰오키, 화첩을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도사 미츠오키는 에도 시대 초기 도사파 화가로서, 17세기 중반 궁중화가로 활동화면서 야마토에를 중심으로 하는 도사파를 부흥시킨 인물이다. 주로 귀족들의 후원을 받아 활동한 도사파는 무사들의 후원을 받은 가노파와 함께 에도 시대의 대표적인 회화 유파 중 하나이다. 헤이안 귀족들의 생활상이 아름답게 묘사된 각 화면에서 에도인들의 귀족 문화에 대한 동경심을 느낄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새와 인물 그림 병풍, 가이호 유쇼(1533~1615년), 17세기 초, 종이에 먹

아즈치.모모야마(安土桃山) 시대의 화가 가이호 유쇼의 그림 6장을 붙여 만든 6곡병풍이다. 본래 무사출인인 유쇼는 당시 화단을 장악한 가노파(狩野派)에게 그림을 배웠지만, 장년에 이르러 가노파와 구별되는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 세계를 이룩하였다. 그 중에서도 중국 남송의 화가 양해(梁楷)의 인물화를 연상시키는 ‘포대자루 인물’ 고가도가 잘 알려져 있는데, 전시된 병풍은 이러한 인물화에 새와 꽃 그림을 조합시킨 독특한 예이다. 각 폭의 장방형 백문인(白文印)은 게이초 7년(1602) 이후에 사용한 것이다. <출처:중앙박물관>

와타나베 가잔(渡邊崋山, 1793~1841)
와타나베 가잔은 에도시대 후기 미카와 다하라 번(三河国田原藩, 현재의 아이치현 동부)의 무사로 에도(江戶)를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인 동시에 지식인이었다. 가잔은 무사로서 갖추어야 할 전통적 유학은 물론이고 서양의 새로운 학문에도 정통하였다. 가잔에게 있어 그림은 빈곤한 가계를 꾸리기 위한 수단이었으나, 대상에 대한 세밀한 묘사가 돋보이는 초상화 등에는 그의 학문세계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가잔은 또한 충효를 중시하는 인품으로 문인화가 쓰바키 진잔(1801~1854)을 포함한 많은 제자들의 존경을 받았다. 제목에 보이는 젠라쿠도(全樂堂)는 가잔의 호 중의 하나이다. <출처:중앙박물관>

화훼권 중 <생쥐와 포도>, 와타나베 가잔(1793~1841년), 1835년, 종이에 채색

화훼권 중 <물고기와 연잎>, 와타나베 가잔(1793~1841년), 1835년, 종이에 채색

가잔의 하훼권을 모사한 화금보 중 <생쥐와 포도>, 쓰바키 진잔(1801~1854년), 19세기 중엽, 종이에 채색

화훼권 중 <북풍속의 수선>, 와타나베 가잔

화훼권 중 <뽕잎과 누에, 그리고 참새>, 와타나베 가잔

화훼권 중 <뽕잎과 누에, 그리고 참새>, 쓰바키 진잔.

와타나베 가잔의 작품을 모사한 것이다.

단유의 축소 그림, 가유 단유, 1673년, 종이에 채색

단유의 축소 그림, 가유 단유, 1673년, 종이에 채색

단유의 축소 그림, 가유 단유, 1673년, 종이에 채색

단유의 축소그림(探幽縮図),
17세기 중반에 활동한 가노파의 화가, 가노 단유(狩野探幽, 1602~1674년)의 축소그림이다. 축소그림이란, 막부에 속한 화가들이 소장품의 진위 감정이나 창작 활동과 제자 양성에 사용하기 위하여, 중국이나 한국, 그리고 일본의 옛 그림을 본래의 크기보다 작게 모사한 것을 말한다. 단유는, 본래 교토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던 가노파가 도쿠가와 막부의 성립과 함께 에도로 옮겨와 활동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며, 그가 남긴 축소 그림은 이후 가노파 화가들에게 중요한 데이터베이스가 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인물화조권도, 가노 구니노부(狩野州信), 19세기초, 종이에 채색


인물화조권도, 가노 구니노부(狩野州信), 19세기초, 종이에 채색

버드나무와 다리, 그리고 물레방아 그림의 병풍, 17~18세기,

산수 인물도권, 가노 우지노루,

인물의 표현이나 물결의 표현 등 일본적인 특징이 많이 보이는 그림이다.

산중의 숙소 그림,

중국이나 조선의 동양화풍과 큰 차이가 없는 정통적 수법의 그림으로 보인다.


십이천도 중 <수천>, 가마쿠라시대


십이천도 중 <나찰천>, 가마쿠라시대

십이천도 중 <수천>과 <나찰천>. 십이천은 힌두교의 영향을 받아 성립된 불교의 수호신이다. 팔방의 방위에 하늘과 땅, 그리고 해와 달의 신을 더한 열두 수호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십이천은 9세기 초 도지의 승려 구카이호에 의해 일본에 전해진 뒤 많은 밀교의식에서 사용되었다. <출처:중앙박물관>

能(노)와 일본미술
노(能)는 14세기 말에 발달한 가면극입니다. 중세 무로마치 막부 무사들의 후원 속에 성장하여, 에도시대를 지나 지금의 격식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600년 동안 이어진 노 무대 위에서 펼쳐지는 장면들은 일본인들도 모르는 사이에 그들의 뇌리 속에 하나의 이미지로 자리잡았습니다. 예를 들어, 노의 작품 중 하나인 <샷교(石橋)>에는 모란을 배경으로 사자가 춤을 추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작품의 영향으로 모란과 사자가 하나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지면서 다양한 장르의 예술품에 사용되었습니다. <출처:중앙박물관>


가기미지시(鏡師子), 가도미 가쿠스이, 20세기초, 비단에 채색

화려한 옥색 고소데(小小袖)를 입은 여인이 긴 천이 달린 사자 머리를 들고 있는데, 그 뒤로 모란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다. 제목인 ‘가가미지시’란 1893년에 초연된 가부키 <슌코가가미지사>를 일컫는 것으로 이는 노 <삿교>의 영향을 받아 에도 시대에 성립된 가보기 ‘삿교모노’의 한 종류이다. <출처:중앙박물관>


란부(亂舞), 기무라 시코(1895~1976년), 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흰 가발을 쓰고 모란과 부채 장식을 머리에 얹은 여인이 두 손에 역시 모란꽃을 들고 춤을 추고 있다. 얼핏 보면 사자가 없지만, 여인의 의상에 중요한 힌트가 숨어 있다. 즉 기모노의 검은 치맛자락에 ‘돌다리’가 그려져 있다. 이는 18세기 후반에 ‘삿교모노(石橋物)’를 연기하고 있는 가부키 배우의 모습을 그린 우키요에를 모델로 하여 제작한 근대 일본화이다. 여인의 흰 가발이 노 <삿교>에서 사자가 쓰고 나오는 것과 동일하며, 역시 화면 속에 사자와 모란이 함꼐 등장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국화와 대나무 문양의 고소데(小袖), 에도시대


미즈오 마을의 가을, 미쓰모토 이치요(1893~1952년), 비단에 채색

마쓰모토 이치요는 교토 출신으로, 야마모토 슌코와 가와무라 만슈에게 그림을 배우고 관전(官展)을 중심으로 활동한 일본화가이다. 특히 야마토 그림의 전통을 부흥시키기 위하여 노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즈오(水尾)는 작가의 고향인 교토의 북서쪽에 위치한 산골 마을이다. 주미는 아타고, 다카오 등 역사 유적과 전설을 품은 명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이제 막 나뭇잎 끝이 물들기 시작하는 초가을, 냇가에서 지푸라기로 병을 씻고 있는 산골 여인이 수수하지만 어딘지 모르게 농염한 매력을 포착하였다. <출처:중앙박물관>

솔바람(마쓰카제), 미아케 고하쿠(1893~1957년)

매사냥, 마에다 세이손, 20세기


동백꽃, 1941년, 모치즈키 슌코

야마나시 출신의 모치즈키 슌코는 1919년 도쿄미술학교 일본학과의 수석졸업생이며, 유키 소메이의 제자이기도 하다. 스승 소메이는 전통적인 일본화에 서양화적 기법을 도입하고 시도한 화가로 유명한데, 전시된 작품 <동백꽃>에는 이러한 스승의 영향이 드러나 있다. 유화의 기법을 연상시키듯이 안료를 덧발라 미끈한 가지와 두터운 잎사귀의 질감을 표현한 것이나, 동백꽃의 형태를 단순화시키고 평면적 느낌으로 처리한 것 등이 그러하다. <출처:중앙박물관>

설중미인, 이토신스이,

이토 신스이는 도쿄출신으로 본명은 하지메이다. 일본화의 대가인 가부라키 기요카타를 사사하여, 신스이의 호를 받았다. 이후 판화 제작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는데, 에도 시대의 목판화 제작 기법을 부흥시킨 신판화운동에 참여하여 새로운 시대의 풍속을 전통적 방식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는 당대의 풍속을 가장 잘 반영하는 것은 여인들의 모습이라 여겨, 정밀하면서도 온화한 분위기의 미인화를 많이 남겼다. 연한 채색과 대담한 필치가 특징적인 본 작품은 신스이의 평소 화풍과 많은 차이가 있지만, 여인의 검은 머리 위에 올려진 꽃장식과 매화를 수놓은 검은 기모노의 표현에는 섬세한 신스이 미인화의 특징이 여전히 잘 남아 있다. <출처:중앙박물관>

여성, 히나고 지쓰조(1893~1945년)

<출처>
1. 중앙박물관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