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백제가 석탑양식이 남아 있는 고려 석탑

전남 화순군 운주사 경내에 있는 칠층석탑이다. 운주사가 있는 골짜기 중심에 위치한 석조불감(보물) 앞에 세워져 있다. 앞에 있는 칠층석탑들과는 달리 낮은 받침돌 위에 탑신을 올려 놓았다. 통일신라 석탑 양식을 따르고 있는 다른 석탑과는 달리 지붕을 넓게 만드는 등 백제계 석탑 양식을 적용하고 있다. 전체적인 비례는 안정적이지 못하며 세부 조각수법도 투박한 편이다.

운주사(雲住寺)는 도선국사가 하룻밤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이 있는 사찰로 창건 연대나 내력에 대해서는 크게 알려진 것이 없다. 고려 중기부터 고려말까지 지역에서 크게 번창했던 것으로 보이며, 정유재란 이후 폐사된 것으로 보인다. 사찰에는 불상 70여구와 석탑 18기가 남아 있는데, 조선초까지 천여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사찰내 남아 있는 문화재로는 구층석탑(보물), 석조불감(보물), 원형 다층석탑(보물) 등이 있다.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운주사의 중심영역이었던 석조불감 앞에 세워져 있다.

<옆에서 본 모습>

탑은 평지와 거의 비슷한 높이의 낮은 기단 위에 탑신을 올려 놓았다. 전체적으로 불안정해 보이며 세부 조각수법도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기단 역할을 하는 탑신부 1층 몸돌과 지붕돌>

<탑신>

지붕돌을 넓고 평평하게 만드는 등 백제계 석탑의 양식이 남아 있다.

<안쪽에서 본 모습>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전남 화순군 도암면 천태로
석조불감 바로 앞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의 다른 석탑이 큰 방형 지대석을 설치하여 기단을 대신한 것과 달리 규모가 작고 낮은 지대석 위에 1단 괴임을 마련하여 탑을 세웠다. 옥개석의 층급 받침은 양하며 상면에 탑신괴임이 생략되었다. 넓고 평평한 옥개석과 그 윗면 네 귀퉁이의 우동마루가 예리한 선을 이루지 않고 두툼하게 표현된 것은 백제계 석탑에서 나타나는 기법이어서 주목된다. 또한 옥개석의 폭과 탑신 높이의 체감이 전체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탑으로 고려시대의 작품이라 추정된다. (안내문, 문화재청, 2017년)

<출처>

  1. 문화재청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