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국보), 선사시대 생활모습을 표현한 그림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에 위치한 반구대 암각화(국보)이다. 태화강변의 바위절벽에 새긴 그림으로 사람을 비롯해 사냥대상이던 고래, 거북이, 사슴, 호랑이, 멧돼지 등이 새겨져 있다. 사람은 짐승을 사냥하거나 배를 탄 모습, 그리고 춤을 추는 형태로 나타나는데 성기를 강조한 경우가 많다. 짐승은 그물이나 우리에 갇히거나, 새끼를 배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선과 점을 이용하여 동물과 사냥장면을 생동감있게 묘사하고 있다. 사냥 및 고기잡이의 성공을 빌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며,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풍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시베리아 일대의 선사시대 바위그림들과 비교되며 신석기시대 말기에서 청동기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반구대(盤龜臺)는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에 있는 태화강 태화강 상류지역을 말한다. 이 곳 반구대의 계곡은 암각화가 있는 곳을 비롯하여 바위절벽이 여러곳에 있어 예로부터 경치가 좋은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경부고속도로 언양IC에서 나와 경주방향으로 20분쯤 달려가다 고속도로 방향으로 좁은길로 들어서서 한 10분쯤 자동차로 달려가면 반구대가 있는 계곡을 찾아 갈 수 있다. 1965년 건설된 사연댐때문에 겨울을 제외하고는 암각화는 대부분 물에 잠겨 있다. 암각화를 볼 수 없을 때가 많지만, 반구대 주변의 경치 또한 뛰어나다.

<반구대 암각화가 있는 바위절벽>

댐건설로 대부분 물에 잠겨 있다.

<암각화가 잠겨 있는 부분>

<겨울 동안 물이 빠졌을 때 드러난 반구대 암각화>

<반구대 암각화 사진>

신석기인의 생활모습과 정신세계를 잘 보여주고 있다. 신석기시대 후기 또는 청동기 초기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어로를 중심으로 생계를 이어갔던 한반도 신석기인의 바램을 보여주고 있다.

<반구대 들어가는 길>

반구대 암각화가 있는 곳으로 들어오는 길에 볼 수 있는 바위절벽. 이곳을 반구대라고 부르며, 주변에서 바위절벽이 있는 지형이 많다. 맞은 편에 반구서원이 있다.

<반구서원 앞을 지나는 길>

<2개의 하천이 만나는 지점>

암각화가 있는 곳에서 약간 떨어진 곳이지만 물에 잠기지는 않았다.

<암각화가 있는 곳으로 들어가는 길에서 보이는 반구서원>

<암각화 근처>

<반구대 암각화 앞 안내표지판>

이곳에서 암각화가 있는 바위 절벽을 내려다 볼 수 있다.

<암각화가 새겨져 있는 바위절벽>

태화강 상류에 위치한 반구대는 기암괴석이 만들어 내는 경치가 빼어난 곳이다.

<암각화가 있는 절벽 부근>

울산 대곡리 반구대암각화, 국보, 울산시 울주군 언양읍 대곡리
이것은 암벽 경사면(10 m × 3 m)에 290여 점의 물상들이 새겨져 있는 선사시대의 암각화이다. 강바닥보다 높은 암반 위에 새겨져 있어서 원래는 물에 잠기지 않았으나 주변에 사연댐이 건설되면서부터 댐속에 잠겨 가뭄 때가 아니면 볼 수 없게 되었다. 암각화는 여러가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인물상, 동물상, 기타 배 같은 물상들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인물상은 탈을 쓴 가면, 물짐승을 잡는 사냥꾼, 배를 타고 고기잡이 하는 어부 등이며, 동물상은 사슴, 호랑이, 멧돼지, 고래 등이고, 물상은 이 짐승들을 잡는 배, 그물, 덫 등이다. 이 조각(그림)들은 바위면을 쪼아가는 기법으로 조각한 것인데 선과 점으로 단순 소박하게 새겼지만,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듯한 생동감과 역동감을 느낄 수 있어서 자연주의 양식에서 추상주의 양식으로 옮겨가는 과도기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신석기 후기 내지 청동기시대으 사냥미술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겠다. 따라서 이 조각은 울산지역에서 고기잡이와 사냥에 종사하던 수렵어로인들이 사냥의 풍성과 다산을 기원해서 만든 일종의 종교적인 선사미술의 대표작품이다. (안내문, 울산시청, 2008년)

<출처>

  1. 울산시청
  2. 문화재청
  3. 중앙박물관
  4. 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