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제천 수산 지곡리고가, 선비계층이 살았던 작은 규모의 한옥

충북 제천시 청풍면 물태리 청풍문화재 단지에 있는 수산 지곡리 고가이다.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수산면 지곡리 마을에 있던 가옥을 현재의 위치로 옮겼다.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자존심이 높았던 선비계층 가옥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가옥은 안채, 곡간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었다. 안채는 ‘ㄱ’자형으로 지어진 팔작기와집이며, 문간채와 곡간채는 초가를 얹은 ‘-‘자형 건물로 간소하게 지었다. 남녀구별을 강조해서 안마당은 출입문과 담장으로 곡간채가 있는 바깥마당과 공간을 분리하고 있다.

<제천 수산 지곡리 고가>

충주댐 건설로 수몰된 남한강 근처 마을에 있던 선비계층이 살았던 크지 않은 규모의 고택이다.

<문간채>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자형 건물로 대문과 창고로 구성되어 있다.

<문간채 내부>

마당을 바깥에서 볼 수 없도록 벽으로 막아 놓았으며 ‘ㄱ’자로 꺾어서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양반가옥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형태이다. 안마당으로 출입할 수 있는 작은 출입문을 별도로 두고 있다.

<곳간채가 있는 바깥마당>

곳간채는 ‘-‘자형 초가지붕을 하고 있는 건물로 사랑채 역할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채 건너방 앞에도 작은 툇마루를 두고 있어 사랑방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중문과 담장>

안채가 있는 안마당과 곡간채가 있는 바깥마등은 판자로 만든 담장으로 공간을 분리하고 있으며, 작은 출입문을 두고 있다.

<가족들이 생활공간인 안채>

1칸짜리 작은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온돌방이 배치되어 있다.

<안마당 문간채>

안마당 앞 문간채는 광으로 사용하고 있다. 소를 키우던 외양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뒷마당에서 본 안채>

‘ㄱ’자형 건물로 부엌을 크게 사용하고 있다.

<부엌 내부>

<안주인이 생활하는 안방>

<안채 뒷마당 툇마루>

안채 뒷마당쪽으로 툇마루를 두어 여자들이 생활하면서 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뒷마당 장독대>

<대청마루 뒷편>

대청마루 뒷편에도 출입문과 툇마루를 두고 있다. 여자들이 사용하는 뒷마당이 꽤 넓은 편이다.

수산 지곡리 고가
이 집은 본래 수산면 지곡리 웃말에 있던 민가주택이다. 충주댐의 건설로 1985년 지금의 자리로 옮겨 복원한 것이다. 집의 구조는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ㄱ’자형의 팔작 기와집이며, 사랑채와의 사이를 담장으로 경계를 이루고 사랑채로 연결하는 판문을 달아 출입하도록 꾸며져 있다. 사랑채와 행랑채는 ‘-‘자형의 초가로 되어 있다. 행랑채는 대문간 우측으로 와양간, 방앗간을 이루고 다락을 꾸미고 있다. 이 집의 행랑채의 구조 및 부엌의 배치 등은 지곡리 마을의 특징 있는 일반형이라고 할 수 있다. (안내문, 제천시청, 2011년)

<출처>

  1. 안내문, 제천시청, 2011년
  2. 국가문화유산포탈, 문화재청, 2018년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1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