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안동 하회마을,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풍산류씨 세거지

안동 하회마을은 풍산류씨가 집성촌을 이루며 대대로 살아온 대표적인 양반마을이다. 이중환의 택리지에 경주 양동마을, 안동 천전마을, 봉화 닭실마을과 함께 영남지역을 대표하는 길지로 손꼽혔던 마을로 서애 류성룡을 비롯하여 많은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하회마을은 원래는 허씨와 안씨가 살았던 집성촌인데, 조선초 인근 풍산에서 고려시대 지방 호족에 해당하는 향리였던 풍산류씨가 들어왔다. 마을에는 풍산류씨 입성조인 류종혜가 심었다는 수령 600년이 넘은 삼신당이 있으며, 그곳에서 한국탈춤을 대표하는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시작된다고 한다. 하회마을은 낙동강이 동에서 서쪽으로 흐르면서 마을을 휘감아 돌고 있는 지역으로 동쪽으로는 화산이 가로막고 있고, 남.서.북쪽으로 낙동강이 흐르는 고립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을에는 아주 넓지는 않지만 자급자족할 수 있을 정도의 농토를 가지고 있다. 마을 동쪽편 부용대에서 내려다 보는 하회마을과 낙동강의 경치가 빼어나며, 부용대 아래에는 겸암 류운용과 서애 류성룡이 짓고 살았다는 정자인 겸암정사와 옥연정사, 류운룡을 모신 화천서원이 자리잡고 이다. 마을에서 동쪽으로 조금 떨어진 화산 아래 낙동강변에는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서원 중 한곳인 서애 류성룡을 모신 병천서원이 자리잡고 있다.

<낙강강변 부용대 언덕에서 내려다 본 하회마을 전경>

하회마을은 마을입구에서 종택에 해당하는 양진당과 충효당이 있는 서쪽끝으로 큰 길이 있는데 북쪽을 북촌, 남쪽을 남촌이라 부른다. 북촌은 종택인 양진당(보물)을 비롯하여, 마을에서 가장 큰 저택인 북촌댁 화경당, 작천고택같은 오래된 고택과 담연재같은 구한말에 크게 중건한 저택들이 많이 들어서 있다. 또한 낙동강변과 부용대에 가까운 지역으로 빈연정사나 원지정사같은 정자와 마을의 중심이 되는 삼신당이 들어서 있다. 반면에 남촌은 서애 류성룡종택인 충효당(보물), 남촌댁이라 불렸던 큰 저택인 염행당을 비롯하여 가온당, 주일재, 하동고택, 지산고택 같은 고택들이 많이 남아 있다. 남촌은 주로 마을에서 분가한 후손들 중 경제적으로 성공했던 후손들이 지은 집들이 많아 보인다. 남촌은 하회마을 후손들이 증가하면서 마을이 확장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60~70년대 도시화를 거치면서 마을규모가 줄어드는 모습을 확인해 볼 수 있다. 하회마을은 지방 권문세가들이 살았던 고택들과 그 일가들이 살아왔던 초가들이 그 원형을 보존하고 있으며, 삼신당.국사당.서낭당 같은 민속신앙과 서민들의 놀이인 ‘하회별신굿탈놀이’와 선비들의 풍류놀이인 ‘선유줄불놀이’가 남아 있고, 양반들의 별장이었던 정자와 교육기관이었던 서원과 서당 등 전통양반마을이 갖추어야 할 구성요소 대부분을 갖추고 있다. 이런점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주거지로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마을입구 주차장>

 하회마을이 양동마을과 함께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마을입구에 있었던 주차장이 마을 들어가는 초입에 있는 탈박물관 근처로 옮겼다. 부근에는 장터를 조성해 놓고 있으며, 장터를 걸어서 지나 셔틀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타고 들어간다. 이곳에서 하회마을까지는 약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장터>

원래 마을에 있었던 식당들과 민박집들은 이곳 장터로 옮겨 놓았으며, 마을은 원래의 모습을 보존할려고 하고 있다.

<마을 입구>

<하회마을로 들어가는 길>

크게 자라지는 않았지만 은행나무 가로수가 심어져 있다.

<낙동강 제방으로 들어가는 길>

제방 건너편으로 하회마을 전경이 내려다 보이는 낙동강 명승지인 부용대가 보인다.

<마을 입구에 세워진 비석>

<들판에 서 있는 허수아비>

마을 동쪽편에서 화산까지는 마을의 경제적 기반이 되는 농토가 펼쳐져 있다. 기본적으로 마을에 자급할 수 있을 정도의 농토이지만, 권문세가들의 집성촌이었던 하회마을 부자들은 강건너 평야에 농지를 소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하회마을 입구>

조선시대 권문세가 대저택의 문간방이 있는 솟을대문이 보이기 시작한다.

<마을입구 초가>

하회마을이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전 관광객을 상대로 음식을 팔았던 집들을 볼 수 있다. 지금은 대부분 주차장 부근에 조성된 장터로 옮기고 살림집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옥으로 지어진 마을 보건소>

하회마을 풍산류씨 후손들은 지금도 지역에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작은 시골마을에 보건소를 두고 있다.

<마을입구 부근에 위치한 초가집>

집의 규모로 볼 때 일반 농민들이 살았던 초가집은 아니고 어느 정도 경제력이 있는 풍산류씨 후손이 사는 집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양반들 중 기왓집에 사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다고 하며, 초가집에 사는 것이 보편적이었다고 한다. 대체로 집의 규모나 구조 등으로 양반들이 살았던 집과 농민들이 살았던 집을 구분할 수 있다.

<마을 큰길>

마을입구에서 종택인 양진당과 충효당이 있는 서쪽끝으로 들어가는 길로 마을 중앙을 가로지르는 큰 길이라 할 수 있다. 이 마을은 조선 최고의 양반들이 살았던 세거지로  오늘날 강남처럼 지주들이 살았던 상당한 경제력을 가진 부촌이지만, 오늘날 사람들의 눈에는 전통기와집과 초가집, 흙담장, 텃밭이 어우러진 전통 농촌마을로 보인다.

<마을입구 보건소 부근에 있는 하동고택>

예전에는 식당으로 운영했던 것으로 기억되는데 지금은 살림집으로 이용하고 있다. 조선후기에 지어진 전형적인 양반가옥으로 사랑채가 바깥쪽에 있고, 안채와 함께 안동지역의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는 저택이다.

<하동고택에서 들판이 있는 남쪽으로 연결되는 골목길>

<초가를 얹은 고택>

양반들이 살았던 보편적인 집으로 보인다. 초가를 얹은 지붕이지만, 문간방을 별도로 두고, 대문 또한 기와집과 비슷한 형태이다.

<기와를 얹은 흙담>

최근에 유네스코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새로 수리한 것으로 보이는 기와를 얹은 흙담이다. 실제 옛사람들이 살았던 집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시가 아닌 시골에서 이런 규모의 담장을 쌓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대체로 안채가 있는 ‘ㅁ’자형 주택자체가 담장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랑채는 바깥에 개방된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담장 안쪽에 있는 고택>

담장규모와는 달리 전형적인 ‘ㅁ’자형 양반가옥을 하고 있다. 저택의 규모로 볼때 중농규모의 경제력을 갖춘 분가한 후손이 사는 집으로 보인다.

<남쪽 끝에 위치한 골목길>

<마당이 넓은 집>

들판이 보이는 마을 남쪽편에 있는 마당히 상당히 넓은 가옥이다. 특별히 당호(집이름)이 걸린 집은 아니지만, ‘ㅁ’자형 안채와 사랑채를 제대로 갖추고 있는 집이다.  마당 앞에 문간채나 부속건물이 있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지금은 큰 장독들을 마당 앞에 내어놓고 있다.

<골목 안쪽에 있는 집>

골목길을 돌아서 마을 안쪽으로 들어오면 크고 작은 초가집과 기왓집들을 볼 수 있다. 이 고택은 낡아 보이는데 사랑채와 중문채가 없지고 안채가 남아 있다. ‘ㅁ’자형 한옥에서 안채는 생활공간이라 관람객들에게 공개를 잘 하지 않는데, 이 집은 안채만 남아 있어서 그 형태를 살펴볼 수 있다. 가운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날개채를 두고 있는데, 안채의 규모가 적지 않은 편이다.

<남촌댁 솟을대문>

마을 안쪽으로 들어오면 북촉댁과 함께 하회마을에서 가장 큰 규모를 하고 있는 남촌댁을 볼 수 있다. 솟을대문과 문간채에서 이 고택의 규모를 가름해 볼 수 있다. 남촌댁이라 불리는 염행당은 18세기말 류치목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인데, 현재의 집은 1905년에 그의 증손자인 류영우가 크게 확장한 것이라 한다. 마을에서 이런 형태의 솟을대문과 문간채를 두고 있는 집을 여럿 볼 수 있는데, 대체로 19세기말~20세기초에 크게 확장한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이다.

<남촌댁 염행당>

 남촌댁 염행당은 안채와 사랑채로 이루어진 ‘ㅁ’자 본채와 작을별당, 문간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안채와 사랑채는 1950년대 화재로 불탄것을 최근에 복원하였다고 한다.

<남촌댁 사당과 별당>

화재로 소실되지 않고 살아남은 건물이다.

<마을에 거주했던 농민이 살았던 작은 초가집>

양반이 살았던 초갓집은 기둥과 벽이 기와집과 큰 차이 없이 튼튼하게 지었는데 반해, 농민들이 살았던 집은 나무기둥을 많이 사용하지 않고 있으며, 그 재질 또한 빈약하다.

<초가집>

<별채로 사용했던 것으로 보이는 앞면 3칸짜리 ‘-‘자형 초가집>

<초가를 얹은 큰 규모의 집>

 ‘-‘자형 초가 건물 2동 넓은 마당을 사이에 두고 ‘ㄱ’자로 배치되어 있다. 초가지붕을 하고 있지만 규모가 꽤 큰 편이며,  목재기둥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중농 규모 정도의 경제력을 가진 농민가옥으로 볼 수 있다.

<크고 작은 초갓집>

기와를 얹은 구조는 비슷한데 초가를 얹어 놓고 있다. 아마도 기와담장과 비슷한 시기에 정비한 것으로 보인다.

 <충효당으로 이어지는 골목길>

<양오당>

 서애 류성룡 종택 뒷편에 위치한 고택인 양오당이다. 이 집은 류성룡의 증손 류인하(1624~1711)이 분가하면서 지은 집으로 그의 아들이 증축하였다. ‘ㅁ’자형 안채, 사랑채, 문간채, 사장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양반가옥의 모습을 잘 갖추고 있고 그 형태가 거의 표준주택이라 할 수 있는 집이다.

<양오당 맞은 편에 있는 ‘ㄱ’자형 초가집>

건물 규모는 크지 않지만 마당이 넓고 잘 지은 집이다.

<양오동 근처 분가한 후손이 지은 가온당>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양반가옥으로 누마루가 있는 사랑채를 두고 있다. 일제강점기에 증축한 한옥은 솟을대문이 있는 문간채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 초가지붕을 얹은 문간채를 사용하고 있다. 사랑채에 누마루가 있는 것으로 볼 때 구함말에 증축한 것으로 보인다.

<큰 길에서 남촌댁으로 연결되는 골목길>

<북촌댁으로 들어가는 골목길>

<북촌댁 솟을대문>

북촌댁의 원래 이름은 화경당이며 1797년(정조21)에 류사춘이 사랑채, 날개채, 대문채를 짓고, 증손자 류도성이 1862년(철종13)에 안채, 큰사랑채, 사당을 지었다고 한다. 류성룡을 비롯하여 많은 고관대착을 배출한 풍산류씨 집성촌인 하회마을에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고 있다. 솟을대문을 사용하고 있으나 문간채를 두고 있지 않다. 담장은 기와와 회백토로 쌓았는데, 화재를 막기 위함이다.

<북촌댁 본채>

살림집인 안채와 작은 사랭채인 화경당이 함께 ‘ㅁ’자를 이루고 있다.

<바깥 사랑채>

 본채 오른편에는 이 저택을 크게 중건한 철종대 류도성이 세운 바깥사랑채인 북촌유거가 있다. 이집 주인이 주로 거처하는 북촌유거는 앞면 7칸에 이루는 큰 건물로 왼쪽에 부엌, 그 옆으로 방과 대청마루, 누마루가 배치되어 있다. 누마루에서는 마을을 휘감아 흐르는 낙동강과 북쪽편 절경인 부용대를 비롯하여 마을의 경치가 한눈에 들어온다. 뒤편 뜰에는 화회마을 낙동강이 흐르는 모습을 닮은 수령 300년의 하외마을 소나무가 심어져 있다.

<북촌댁 옆 큰 솟을대문을 하고 있는 문간채가 있는 집>

<큰 길 옆에 있는 고택>

하회마을 입구에서 종택인 양진당과 충효당으로 연결되는 큰 길 주변에 있는 고택. 큰 길 주변에는 경제적으로 성공한 후손들이 자리를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맞은편에 있는 고택>

솟을대문은 없지만 마당이 넓고 구조상 규모와 짜임새가 있는 가옥이다.

<종택택인 양진당까지 이어지는 큰 길>

<양진당 옆에 있는 큰 규모의 저택>

건물의 형태로 볼 때 구한말 또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며 솟을대문이 있는 큰 문간채와 본채로 구성되어 있다. 건축의 양식에서 구한말 서울의 주택양식을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담장너머로 보이는 집>

<하회마을 중앙에 위치한 삼신당을 들어가는 길>

주변에 양진당, 충효당, 북촌댁 증 마을에서 중요한 큰 저택들이 들어서 있다.

<고목>

삼신당은 하회마을 입향조 류종혜가 이 마을에 처음 들어왔을 때 심은 것으로 수령이 600년이 넘은 나무이다. 화산 중턱의 서낭당, 국사당과 함께 마을 주민의 소망을 비는 삼당을 이룬다고 한다. 정월대보름 밤에 마을의 안녕을 비는 동제를 서낭당과 국사당에서 지내고, 그 다음 이곳에서 제를 올리는데 하회별신굿탈놀이가 시작된다고 한다.

<삼신당에서 보이는 북촌댁>

<양진당(보물)>

풍산류씨 집성촌인 하회마을에서 종갓집에 해당하는 양진당(보물)이다. 이집은 풍산에 살던 류종혜가 하회마을에 들어와 최초로 집을 지은 곳이다. ‘ㅁ’자형 구조를 하고 있는 안채와 별채형식으로 본채 오른편에 사랑채가 붙어 있는 구조이다. 별채의 규모는 앞면 4칸, 옆면 3칸의 큰 규모로 앞면 3칸은 대청마루, 1칸은 온돌방으로 되어 있다.

<별채>

입암고택이라고 적힌 현판이 걸려 있는 별채건물은 ‘ㅁ’자형을 이루고 있는 본채건물 오른쪽에 별채 형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대청마루가 상당히 큰 이 건물은 일반 양반가옥의 사랑채건물보다는 서원이나 향교의 강당건물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하회마을 풍산류씨 종택으로 문중회의나 행사 등이 열리는 장소 이기도 하다. 행사를 위해 개방된 마당을 상당히 넓게 두고 있으며, 음식을 나르기 위해 안채와 복도로 연결되어 있다.

<하회 충효당(보물)>

 종택인 양진당과 함께 하회마을을 대표하는 서애 류성룡 종택인 하회충효당(보물)이다. 원래 서애 류성룡이 살던 집은 작은 초가집이었는데, 그의 손자와 제자들이 그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해 지었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17세기에 지은 것이라 한다. 이 가옥의 큰 특징인 12칸의 행랑채는 류성룡의 8세손 류상조가 병조판서를 제수받고 수행원들을 수용하기 위해 지은 것이라 한다.

<사랑채>

안채 남쪽으로 달아내어 놓은 ‘-‘자형으로 지은 긴 사랑채. 앞면 6칸의 큰 건물로 가운데 2칸은 넓은 대청마루를 두고 오른쪽에는 안채와 연결된 온돌방으로, 왼쪽에는 난간이 있는 누마루나 정자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마루와 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모각>

 서애 류성룡의 유품들을 전시하는 공간인 영모각이 충효당에 세워져 있다.

<류성룡이 사용했던 갓끈>

영모각에는 류령룡 종가 유물(보물), 임진왜란 극복과정을 기록한 징비록(국보), 류성룡 종가문적(보물)를 소장하고 있다. 그중 징비록 원본은 국학진원원에서 소장하고 있다고 한다.  그 중 서애 류성룡이 사용했던 갓끈이다.

<양진당과 충효당 바깥쪽에 있는 작은 초가>

<전형적인 일반 농민들이 살았던 초가집>

‘-‘자형 주택으로 앞면 4칸 규모로 방3개와 부엌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재기둥을 사용하고 있으며, 부엌에는 토담으로 지붕을 받치고 있는 전형적인 농가의 모습이다. 툇마루와 대청마루를 두고 있지 않다.

<작전고택>

양진당과 충효당에서 북쪽으로 연결되는 골목길에서 첫번째로 볼 수 있는 작전고택이다. 이 건물이 지어진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았다. 처음에는 두채였으나, 1934년 대홍수로 문간채가 쓸려나가고 지금은 ‘-‘자형 안채만 남아 있다.

<담연재가 있는 골목길>

 하회마을을 대표한 인물인 탤런트 류시원이 살았던 고택인 담연재를 볼 수 있다. 상당히 큰 규모의 문간채와 솟을대문을 두고 있는 집으로 내부는 일반인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

<담연재 맞은편 한옥>

 담연재 맞은편에 있는 한옥으로  ‘-‘자형으로 지은 사랑채와 안채를 나란히 있다. 사랑채에 중문을 두어 안채로 출입하게 하고 있다. 중부지방에서 볼 수 있는 한옥구조이다.

 <초가지붕을 얹은 문간채가 있는 집>

<사랑채>

초연재라는 택호가 있다.  이 가옥도 ‘-‘자형 안채과 사랑채가 ‘ㄱ’자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가 대청마루가 넓은 일반가옥과는 달리 서원 강당과 비슷한 형태를 하고 있다.

<마을 골목길>

<낙동강 제방길>

골목길을 벗어나면 하회마을을 굽이쳐 흐르는 낙동강을 볼 수 있다. 이 마을 좋은 입지를 하고 있지만, 큰강을 끼고 있어 홍수를 피해갈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제방을 쌓고 있으며, 제방에는 방풍림을 심어두고 있어 산책하기에 좋다.

<빈연정사>

 하회마을 서쪽 낙동강과 부용대가 내려다 보이는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빈연정사. 이 정자는 서애 류성룡의 형으로 대학자였던 류운룡이 은퇴한 후 지은 정자로 원래는 양진당 근처에 있었는데, 일제강점기에 이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마을 북쪽편의 초가집들>

<기념품을 파는 가게>

<낙동강변 소나무숲.>

<부용대>

부용대는 하회마을 북쪽 낙동강 건너편에 있는 언덕이다. 부용대는 하회마을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언덕으로 하회마을에서 보이는 부용대의 풍경도 아름답지만, 부용대에서 마을을 내려다 보는 것이 더 큰 즐거움이라고 한다. 부용대 아래에는 류운룡, 류성룡 형제가 세운 겸암정사와 옥연정사가 있는데 부용대 아래에는 마을의 번잡함을 피하고 조용한 곳에서 독서를 하며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서 였다고 한다.

<백사장>

백사장에는 부용대를 건너갈 수 있는 나룻배가 있다.

<부용대에서 내려다 보이는 하회마을과 낙동강>

<화천서원>

 부용대 아래에 있는 겸암 류운룡(1539~1681)을 모신 화천서원이다. 병산서원과는 달리 비교적 늦은 시기인 정조10년(1786)에 세워졌다가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 지금의 서원은 1996년에 복설한 것이라 한다.

<옥연정사>

 부용대 아래에 있는 옥연정사는 서애 류성룡이 지은 정자이다. 번잡한 하회마을을 떠나 조용히 거처하기 위해 지은 집이다. 이곳은 류성룡이 관직에 물러난 후 임진왜란에 대해 기록한 징비록(국보)을 저술한 장소로 그 이미가 깊은 곳이다.

<병산서원(사적)>

서애 류성룡을 모신 서원인 병산서원이다. 경치가 빼어난 낙동강변에 자리잡은 서원으로 도산서원과 함께 서원을 대표하는 장소이다. 병산서원은 서애 류성룡이 이지역 교육기관이었던 풍악서당을 조용한 이곳으로 옮겨오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하회마을
이 마을은 풍산류씨가 600여 년간 대대로 살아온 한국의 대표적인 동성마을이며, 와가와 초가가 오랜 역사 속에서도 잘 보존된 곳이다. 특히 조선시대 대유학자인 류운룡과 임진왜란 때 영의정을 지낸 류성룡 형제가 태어난 곳으로도 유명하다. 마을 이름을 하회라고 한 것은 낙동강이 ‘S’자 모양으로 마을을 감싸 안고 흐르는 데서 유래되었다. 하회마을은 형국상으로 태극형.연화부수형.행주형에 해당하며, 이미 조선시대부터 사람이 살기에 좋은 곳으로도 유명하였다. 마을의 동쪽에 태백산에서 뻗어 나온 해발 327m의 화산이 있고, 이 화산의 줄기가 낮은 구릉지를 형성하면서 마을의 서쪽끝까지 뻗어 있으며, 수령이 600여년 된 삼신당 느티나무가 있는 지역이 마을에서 가장 높은 중심부에 해당한다. 하회마을의 집들은 삼신당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강을 향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향이 일정하지 않다. 한국의 다른 마을들의 집들이 정남향 또는 동남향을 하고 있는 것과는 상당히 대조적인 모습이다. 또한 큰 와가를 중심으로 주변의 초가들이 원형을 이루며 배치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라 하겠다. 하회마을에는 서민들의 놀이인 ‘하회별신굿탈놀이’와 선비들의 풍류놀이인 ‘선유줄불놀이’가 현재까지도 온전히 전승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전통생활 문화와 고건축양식을 잘 보여주는 문화유산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출처:안동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