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창덕궁 외조, 돈화문에서 인정문까지

조선시대 궁궐에 있어서 외조(外朝)라 함은 관료들이 근무하는 관청이 배치는 구역을 말한다. 좁게는 국왕의 즉위식이 거행되는 정전 출입문이 중문앞 공간을 말하며, 궁궐 정문에서 중문에 이르는 공간을 공간을 말한다. 창덕궁 외조는 정문인 돈화문에서 금천을 건너, 외조 중문에 해당하는 진선문을 지나 정전 출입문인 인정문까지의 공간이다. 창덕궁은 1405년(태종5)에 상왕을 위한 이궁(離宮)으로 세워진 공간으로 현 위치 앞에 이미 종묘가 세워져 있었고, 정궁이 아니었기때문에 경복궁과는 달리 외조, 정전, 편전, 내전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지 않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보물)은 석축으로 쌓은 홍예문으로 된 경복궁 광화문과는 달리 돈화문은 2층 문루로 지어졌다. 창덕궁을 창건할 당시 궁궐 앞쪽에 종묘가 있었기때문에 궁궐 서남쪽 모퉁이에 위치하고 있다. 돈화문은 왕의 행차와 같은 공식적인 행사에 사용하는 정문으로 당상관 이상 고위관료와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의 언관만이 출입이 가능했고 나머지 신하들과 궁궐에 일하던 사람들은 서쪽편 금호문을 통해 출입하였다고 한다. 돈의문에서 시작된 삼도(三道)는 금호문 앞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금천교와 진선문을 지나 공식적인 행사가 거행되었던 인정문 앞 마당으로 들어선다. 실질적인 외조라 할 수 있는 이 공간은 문과 행각으로 둘러져 있으며, 행각에는 오늘날 경호실과 비서실에 해당하는 관청인 정청, 호위청, 상서원이 들어서 있다. 정전이 있는 영역에서 국가적인 행사가 대부분 거행될 때 하급관리들은 외조에 도열하고 있었으며, 국왕즉위식과 격식이 중요하지 않은 일상적인 조례는 이곳에서 거행되었다.

<창덕궁 정문인 돈화문>

앞면5칸, 옆면2칸에 우진각지붕을 하고 있는 2층 문루이다. 돈화문은 1412년에 처음 세워졌고, 임진왜란 이후 광대군대에 중수한 것으로 현존하는 궁궐 정문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돈화문 월대>

<돈화문 앞 대로>

 돈화문 앞 넓은 월대를 쌓아 궁궐을 드나드는 신하들이 대기하거나 공식적인 행사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놓고 있다. 광화문 일대에 의정부를 비롯한 관청들이 들어서 있었지만, 경복궁이 불타버린 임진왜란 이후 상당기간 창덕궁이 정궁의 역할을 했기 때문에 돈의문 주변에 많은 관청들이 들어서 있었다고 한다.

<돈화문>

<돈화문 안쪽 마당>

돈화문을 들어서면 정면에는 인정전 동쪽편에 자리잡은 규장각을 비롯한 궐내각사가 보인다. 서쪽편 당상관 이하 관료들과 궁궐을 왕래하는 사람들이 출입하는 금호문에서 방향을 바꾸어 동쪽편 인정전 앞 외조로 향한다.

<금호문>

당상관 이하 신하들과 일반인들이 궁궐을 출입하는 금호문. 주변에는 수령 300~500년 된 8그루의 회화나무를 볼 수 있다.

창덕궁의 회화나무
돈화문 안마당 좌우에 자라는 8그루의 회화나무가 모두 천연기념물이다. 나무는 높이 15.0~16.0m, 가슴높이 줄기 둘레 90~178cm, 나이는 300~500년에 이른다. 이곳 회화나무는 1830년 무렵의 창덕궁 그림(동궐도)에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버린 창덕궁을 다시 지을 때 심은 것으로 짐작된다. 돈화문 주변은 조정의 관료들이 집무하는 관청이 배치되는 공간으로, 이곳에 회화나무를 심은 것은 ‘궁궐 정문 안쪽에 과목(회화나무와 느티나무)를 심고 그 아래에서 삼공이 나랏일을 논했다’는 중국 고사에 의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궁궐 이외에 학덕 높은 선비들이 사는 마을에 흔히 심었다. 그래서 학자나무라고도 한다. <출처:문화재청>

<창덕궁 서쪽편 담장길>

원래 길이 있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지금은 후원을 탐방하고 나오는 길로 사용하고 있다.

<창덕궁 정전 동쪽편 궐내각사>

<진선문 방향>

창덕궁 남쪽에 종묘가 먼저 들어서 있었고, 이궁(離宮)으로 지어졌기 때문에 길은 금호문 앞에서 방향을 바꾸어 동쪽으로 향한다. 창덕궁 금천 또한 북악에서 흘러내리는 개천을 활용했기때문에 북에서 남으로 흐르고 있다.  창덕궁 금천교는 1411년에 지어진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궁궐 동다리이다. 금천교는 길이 12.9m, 폭 12.5로 국왕의 행렬이 지나갈 수 있는 넓은 규모를 하고 있다.

<금천>

금천은 궁궐을 바깥 세상과 구별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큰 개천으로 중국 자금성에는 금수라고 부르며 보통 정전 출입문 앞을 서에서 동으로 흐른다.

<궐내각사>

창덕궁 금천교를 건너면 북쪽편에 궐내각사들이 들어서 있다. 그 중 제일 먼저 보이는 건물로 옥당이라고 불리던 조선시대 엘리트들이 선호했던 삼사 중 하나인 홍문관이다. 홍문관 안쪽으로는 국왕의 말과 글을 대필하는 보좌기관인 예문관과 국왕의 건강을 담당했던 내의원이 들어서 있다.

<진선문>

실질적인 외조(外朝)라 할 수 있는 인정문 앞 공간으로 들어가는 출입문으로 또다른 중문인 진선문이 있다. 3문으로 된 단층 출입문인 진선문을 일제강점기에 헐렸다가 1999년에 복원되었다고 한다. 진선문 양쪽으로는 외조 관청이 들어서 있던 행각이 연결되어 있다.

<금호문 앞에서 중문인 진선문으로 들어오는 길.>

<인정문 앞 외조>

진선문에서 인정문과 숙장문까지 삼도(三道)로 연결되어 있다. 이 공간이 국왕 즉위식이 열리는 실질적인 외조(外朝)라 할 수 있으며, 사방이 행각과 문으로 둘러져 있다. 외조에는 정청을 비롯하여 호위청, 상서원 같은 국왕 직속 관청들이 들어서 있었다.

<정청>

진선문 왼쪽 행각에는 정청이 있다. 정청은 이문원이라고 했으며, 역대 국왕의 어진,어필,어제 등을 보관하는 규장각 소속 관청이었다.

<인정문 맞은편 행각>

원래는 이곳에 정문이 있어야 하지만, 뒷쪽에 종묘가 자리잡고 있어 행각을 지어 창덕궁 관원들이 머무는 곳으로 사용했다.

<호위청>

<상서청>

 외조 남쪽편 행각에는 호위청과 상서청이 들어서 있다.  호위청은 인조반성 후 국왕호위를 목적으로 창설된 부대로 호위별장 1명과 30여명의 호위군관이 이곳에서 경비하였다고 한다. 상서원은 옥새를 비롯하여 국왕을 상징하는 절월(도끼), 병부(군대 동원을 명령하는 나무패) 등을 관리하는 부서로 호위청과 함께 창덕궁 방어와 군사업무를 위한 부서라 할 수 있다.

<창덕궁 외조 행각>

지금은 회랑처럼 복원해 놓고 있다.

<인정문>

창덕궁 정전인 인정전이 있는 치조(治朝)로 들어가는 출입문인 인정문이다. 인정전 앞 마당을 외조라 부르며 국왕 즉위식을 비롯하여, 일상적인 조례 등의 행사가 많이 거행되었다. 또한, 정전에서 국가적인 행사가 있을 때에 하위 관리들이 도열해 있던 장소이다. 조정(朝廷) 출입문인 인정문은 보물 813호로 지정된 문화재로 앞면 3칸, 옆면 2칸에 팔작지붕을 하고 있는 목조건축물이다. 삼문의 형식을 하고 있으며, 가운데 출입문은 국왕이, 동쪽은 문관, 서쪽은 무관이 출입했다.

<외조에서 편전으로 들어가는 숙장문>

 돈화문 일원 (Donhwamun and Vicinity)
창덕궁의 정문인 돈화문은 왕의 행차와 같은 의례에 사용되었고, 신하들은 서편의 금호문으로 드나들었다. 창건 당시 이미 종묘가 창덕궁 앞에 자리잡고 있었기때문에 돈화문은 궁궐의 서쪽 끝에 놓여졌다. 궁궐의 중심부가 동쪽에 있기 때문에 정문을 들어서면 동쪽으로 금천교를 건너 정전인 인정전 일곽과 연결된다. 1608년 재건된 돈화문은 2층 누각형 목조건물로 아래층은 출입용으로, 위층은 감시 전망용으로 사용되었다. 앞의 넓은 월대를 두어 출입시의 대기 공간으로 사용했고, 원래는 여기서부터 종로까지 관청가가 조성되었다. <출처:문화재청>


크게 보기


Comments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