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 신안실] 장시성 길주요, 칠리진요, 허베이성 자주요, 정요

1. 신안선 발굴,  2. 신안선에 실린 도자기들,  3. 화물주인과 선원들의 생활4. 차,꽃,향과 관련된 기물5. 청자의 고장, 용천요, 6. 청백자의 고장, 경덕진요, 7. 자주요, 길주요 등8. 복건성 가마들

장시성(江西省)은 중국 장강(長江) 중류 남쪽에 위치한 성(省)이다. 지역내 고령토의 주산지인 고령촌이 있어 일찍부터 도자기 생산되었던 곳이다. 청화백자로 유명한 정덕진요를 비롯하여 길주요(吉州窯), 칠리진요(七里鎭窯) 등이 장시성 내에 위치하고 있다. 장강 수운을 이용하여 중국내 대부분의 지역과 쉽게 연결되면 장강 하구에 위치한 상해나, 광동성, 복건성의 주요 항구를 통해 서구와 연결되기때문에 명.청대 이후 도자기 생산의 중심지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길주요(吉州窯, Jizhou Kiln)는  남송시기 이후 북방에서 내려온 자주요(磁州窯) 도공의 기술로 흰 바탕에 흑색 안료로 문양을 그려내는 흑화갈채자기와 흑색 유약을 입힌 후 문양을 긁어내는 척화지가 유명하다. 칠리진요(七里鎭窯, Qilizhen Kilns)는 간저우시(贛州市)에 위치하고 있어 감주요(赣州窯, Ganzhou Kiln)라고도 불린다. 유두문소호(乳頭文小壺)는 감주요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안쪽에는 흑색유약이 입혀져 있으나 겉면은 유약을 바르지 않은 채 타원형 무늬가 겹겹을 새겨져 있다.


모란넝쿨무늬 매병, 길주요, 14세기 초반

장시성

장시성은 장강 중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고령토 주산지인 고령촌과 경덕진요가 장강 남안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주요와 칠리진요는 장시성 남쪽편에 위치하고 있다.

장시성(江西省) 길주요(吉州窯, Jizhou Kilns)
장시성(江西省) 지안시(吉安市) 용허진(永和鎭)에 위치한다. 지안은 옛 길주(吉州)에 속하여 길주요라고 부른다. 당나라 말에 도자기를 제작하기 시작해서 남송 때에 흥성했고 원대에는 쇠퇴했다. 북송대에 청백자를 주로 제작했고 남송대에는 백지흑화(白地黑花, 백유 바탕에 흑유로 문양을 장식하는 기법)자기의 발전이 두드러진다. <출처: 중앙박물관>

두 귀 병, 黑釉 梅花紋 兩耳甁, 길주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작은 병, 白磁 小甁, 길주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칠리진요(七里鎭窯, Qilizhen Kilns)
교통이 편리하고 자토와 자원이 풍부한 장시성 간저우시(贛州市)에 위치한다. 만당오대(晩唐五代)부터 시작되었고, 남송부터 원대에 주로 갈유와 흑유자기를 제작하였다. 칠리진요 자기는 기형이 다양하고, 유색이 풍부하며 조형이 수려하다. 신안해저선에서도 칠리진요에서 제작한 흑유와 갈유자기가 발견되었는데 푸젠성의 홍당요(洪唐堯)에 비해 태토가 무거운 것이 특징이다. <출처: 중앙박물관>

유두무늬 항아리, 黑釉 露胎 乳頭紋 壺, 칠리진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유두무늬 항아리, 黑釉 露胎 乳頭紋 壺, 칠리진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작은 병, 天目 小甁, 칠리진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허베이성(河北省)은 황하강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방민족과 접경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자주요(磁州窯, Cizhou Kiln)는 고대문명이 생긴 이래로 도기의 생산지였으며, 송, 금, 원대에는 민간자기를 생산했다. 자주요는 흰 바탕에 흑색 혹은 갈색 안료로 소박하고 자유분방한 화풍의 문양을 그린 백지흑화자와 함께 흑유자가 유명하다. 정요(定窯, Ding Kilns)는 송대 유명한 백자 생산지로 잘 알려져 있으며,북방민족인 금에게 점령된 이후 쇠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허베이성

황하강 이북 베이징 주변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고대 중국문명이 발생한 지역이자 북방 이민족과 교류가 많았던 지역이다.

허베시성(河北省) 자주요(磁州窯, Cizhou Kilns)
허베이성 한단시(邯鄲市)와 츠현(磁縣) 일대에 위치한다. 백지흑화자(白地黑花磁)가 유명하며 자기 회화장식의 새로운 영역을 펼친 동시에, 송대 이후 경덕진요 청화자기와 채회(彩繪)에 영향을 주었다. 자주요는 원대에 다시 전성시를 맞으며 대형 기물의 생산이 증가하였다. 기형과 문양장식이 민간에서 인기를 끌며 수요량이 증가하였는데, 이에 타 지역에서도 유사한 자기들이 생산되면서 자주요계가 형성되었다. <출처: 중앙박물관>

꽃무늬 대야, 白地黑花 花紋 盆, 자주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완, 黑釉 鐵斑紋 碗, 자주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완, 黑釉 鐵斑紋 碗, 자주요, 14세기 초반

두귀 달린병, 黑釉 兩耳 甁, 자주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항아리, 유두무늬 항아리, 자주요, 14세기 초반

허베시성(河北省) 정요(定窯, Ding Kilns)
송대 오대 명요 가운데 하나이다. 요지는 현재의 허베이성 취향현(曲陽縣) 젠츠촌(澗滋村) 일대에 위치한다. 정요는 당대부터 도자기를 생산했는데 오대를 거쳐 북송에서 금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맞게 되며 원대에는 쇠락하였다. 백자가 유명하며 태가 얇고 가볍지만 단단하며 유색이 상아백색으로 불투명하다. 이밖에 정요는 흑유(黑釉), 장유(醬釉)와 녹유(綠釉) 등을 생산하였다. <출처: 중앙박물관>

연꽃.모란무늬 큰 접시, 白磁 印花 蓮花.牡丹紋 盤, 정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연꽃.모란무늬 큰 접시, 白磁 印花 蓮花.牡丹紋 盤, 정요, 원 13세기 후반 ~14세기 전반

<출처>
1. 중앙박물관
2. 두산백과
3. 위키백과
4. 한국민족문화대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