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 Hitstory Traveling

Since 2008, Korea & World by younghwan

[중앙박물관특별전, 신안해저선] 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1.전시개요2.중국 송대 복고풍 문화3.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4.고려의 공예문화5.차.향.꽃 문화6.경원을 떠나 하카타로7.용천요 청자8.도자기9.도기 항아리, 자단목, 동전10.금속으로 만든 물품11.향신료, 기타12.선상생활

차, 꽃꽂이, 향은 지금도 일본의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분야이다. 중국과 교류가 활발했던 당나나라 때부터 선종 불교와 함께 일본 상류층에 큰 영향을 주었던 부분으로 가마쿠라 막부의 고위 인사, 상급 무사, 선종 사찰과 상류 귀족층에 크게 유행하였다. 신안해저선에서는 이와 관련된 기물들이 다량으로 실려있어 당시 중국과의 교류관계와 선호했던 물품들을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당시 일본 상류층들의 생활모습을 표현한 옛 자료에 나타난 기물들을 신안해저선에 실렸던 유물들과 비교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일본의 차문화와 관련된 찻잔과 물병, 꽃꽂이에 사용되었던 화병, 향을 피웠던 향로 등이 이에 해당하며, 술을 마셨던 청자 매병의 용도도 확인할 수 있다.

< 병, 청자 준형 병,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신안해저선에 실렸던 화물 중에는 당시 일본 막부 고위 무사계층과 선종 사찰, 상류 귀족층에 큰 인기를 끌었던 창, 향, 꽃꽂이와 관련된 기물들이 많이 포함되어 중국과의 문화교류 관계를 확인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일본 상류층의 중국 취향
신안해저선에서 발견된 문화재 가운데에는 차, 향 그리고 꽃과 관련된 기물들이 눈에 띠게 많습니다. 가마쿠라 시대(1192~1333년)에 일본은 중국과의 활발한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받아들였습니다. 특히 중국에서 유행하던 차를 마시고, 향을 피우고, 꽃을 완상하는 문화가 선종 사찰, 가마쿠라 막부의 주요 인사, 그리고 상급 무사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에 따라 관련 기물들이 중국에서 대량으로 수입되어 유통되었습니다. 당시에 이런 중국제 물건을 가리켜 ‘가라모노(唐物)’라고 불렀습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보키에코토바 권2, 난류원의 주방(그림 중 왼쪽), 나카이 뇨운 모사, 메이지 시대 19세기,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중세 일본 사찰의 모습을 그린 그림에서 신안해저선에 실렸던 주요 기물들의 사용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보키에코토바 권2, 난류원의 주방(그림 중 오른쪽), 나카이 뇨운 모사, 메이지 시대 19세기,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보키에코노바(幕歸續詞)는 혼간지(本願寺) 제3세이자 정토진종(淨土眞宗)의 승려인 카쿠뇨(1271~1351년)의 전기를 그린 에마키(繪券)이다. 전시품은 쿄토 니시혼간지 소장의 원본(1351년, 일본 중요문화재)를 19세기에 모사한 것이다. 해당 장면은 가쿠뇨가 14살이던 해의 봄에 미이데라(三井寺) 난류원의 고승 쵸진의 제자가 된 일을 묘사했다. 음식을 준비하는 승려들의 앞에 놓인 청자 매병과 대발, 백자 소발과 동일한 기형의 청자와 백자가 신안해저선에서 발굴되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보키에코토바 권6, 기타노사의 배전, 기모토 고레에 모사, 메이지시대 19세기,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음식을 준비하는 모습>

그림 중 왼쪽에는 배전에서 승려와 하인들이 음식을 준비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청자 매병으로 술을 따르는 모습이 있어 매병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보키에코토바는 1351년에 제작되어 14세기 가마쿠라시대 사원의 실내공간과 그곳에서 사용한 도자기, 칠기 등의 도구류의 이용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이 장면은 전 주나콘 히노 도시미츠(1260~1326년)가 가쿠뇨의 거처인 기타노사를 방문한 일을 묘사하고 있다. 기타노사 배전(拜殿) 하단의 승려와 하인들이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을 보면 청자 매병에 든 술을 따르는 이와 음식과 국자가 담긴 청자 대반 등이 보인다. 이로보아 당시 매병은 주로 술병으로 애용된 것으로 생각된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군다이칸소우초기, 무로마치 1560년, 일본 국립역사민속박물관>

군다이칸소초키는 아시카가 쇼군가의 사교를 위한 건물인 회소(會所)를 장식한 물품들에 대한 기록이다. 「화인록(畵人錄)」, 「장식의 순서」, 「기물의 설명」 등 3부로 구성되어 있다. 신안해저선에서 발견된 도자기와 유사한 꽃병, 수반, 화분, 잔받침 등의 배치 방법을 그림으로 설명하고 있어 ‘가로모노’활용의 한 단면을 확인할 수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병, 백탁유 병, 철점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완, 백탁유 완, 철점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네귀 항아리, 백탁유 사이 대호, 자주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세발 수반, 백탁유 삼족 수반, 철점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구름무늬 매병, 청백자 각화 운문 매병,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새모이 통, 청백자 조식 통,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삼동자 소뿔모양 장식, 청백자 삼동자 우각 장식,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납작모양 주전자, 청백자 편형 주자,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모란무늬 병, 청백자 각화 모란문 병,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완, 청자 완,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잔과 잔받침, 청자 탁잔,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베개, 청백자 침,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매화무늬 두 귀 병, 청백자 첩화 매화문 양이병,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긴 목 병, 청자 장경병,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작은 항아리, 청자 유개 소호,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주름무늬 항아리, 청자 호문 호,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수반, 청자 수반,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병, 청자 병,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매화.달.구름무늬 잔, 청백자 철화 매월운문 잔, 경덕진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표주박모양 주전자, 청자 인화 팔보문 표형 주자,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큰 그릇>

화분처럼 보이는 그릇이다.

<후쿠토미조시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당시 도자기의 사용모습>

신안해저선 화물 중에 그림에서 표현된 도자기들이 포함되어 있다. 당시 중국에서 수입한 주요 물품임을 알 수 있다.

<당초무늬 완, 청자 당초문 완,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완, 흑유 완, 건요, 송>

<연화무늬 꽃모양 접시, 청자 연화문 화형 대반,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모키에코토바 중 등잔과 향료, 화병의 사용 모습이 표현된 부분>


<모란.넝쿨무늬 큰 화병, 청자 각화 모란당초문 병,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등잔, 금속제 등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향로, 청자 향로, 용천요,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아시카가 쇼군가의 건물을 장식한 물품의 기록.>

그림을 걸었던 족자의 용도를 알 수 있다. 신안해저선에서는 그림족자의 축이 실려 있어 중국에서 수입되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족자의 축, 원 13세기 후반 ~ 14세기 전반>

<군다이칸소초우키>에는 그림을 걸어 장식하는 법이 설명되어 있다. 이와 연관시켜 볼 수 있는 신안해저선 출토품으로 족자 또는 두루마리에 사용되는 하축 4점과 축두로 추측되는 나무 편 6점이 있다. 족자와 두루마리는 그림 주위에 비단 또는 종이로 덧대어 꾸미고, 위아래나 좌우에 나무 축을 부착하여 말아서 보관하는 형식이다. 이때 위, 아래 부착하는 나무를 각각 상축, 하축이라 부른다. 신안선에서 발견된 하축은 둥근 나무봉 형태이며 양쪽 끝을 축두로 장식한다. 축두는 요(凹) 형태이며, 둥근 봉 양쪽 끝은 철(凸) 형태로 제작하여 서로 끼워 결구하게 된다. 분리되어 있지만 요철 형태는 그대로 남아 있다. 서화 또한 교역의 대상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안내문, 중앙박물관, 2016년)

<출처>

  1. 중앙박물관